무역/유통/물류
참여자 296,977명
 · 
글쓰기
회원님, 일 관련 고민이나 업계 이슈에 대한 생각을 들려주세요!
최신글
라운지
우울증 휴직 고민...
현재 물류업계에서는 조금 큰회사에 18년에 입사하여 7년차입니다 이전 회사까지 하면 물류업계 10년이 지나가고있네요... 작년가을 회사에서 대형 고객을 유치해, 신규 부서 오픈이 필요한 상황이었고 어찌저찌하여 제가 TF팀 및 해당부서 발령이되게되었고 운송파트너사 관리,소통,비용,자원산출 등등등을 제가 맡게되었었습니다 발령받으신분들이 대부분 저보다 선배였지만 나름의 목소리도 냈었고 기존에 잘 알던 파트너사라서 소통,협의는 제가 맡아서 좋은방향으로 이끌고자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대망의 오픈날... 여러가지 크리티컬한 이슈로 인하여 정상적인 운영이 되지못했고 정말 일주일가까이 집에도 못갈뿐 아니라 잠도 1도 못자고 회사를 떠나지 못했습니다 눈앞에서 벌어지는 현실에 심적 육체적 압박이 너무심했고 모든게 내 능력부족이었다는 죄책감에 사로잡혔었습니다 심적 스트레스가 극에달한 어느날.. 집에서 쪽잠자고 출근하려는데 정말 그냥 픽 쓰러졌습니다 새벽시간이었지만 다행히 와이프가 일어나있어서 곧장 병원에 갔고.. 과로가 주 원인인것같다는 진단만 받았고 회사에는 와이프가 어쩔수없이 연락을했었습니다 그날 하루 쉬고 자발적으로 그다음날 출근했는데 그닥 달라진것없는 회사 상황에, 제 상태는 회복되지 못했고 과호흡,어지럼,위경련 증상까지 왔었습니다 그 모습을 보신 예전 부서장님과 2차상사분께서 이전 부서로 우선적으로 복귀해라 말씀주셔서 정말 죄송하고 죄책감이 들었지만 그러겠다 하고 현재 이전 부서에서 업무중입니다 다만, 인사명령상으로는 복귀 처리가 아직 되지않았고 힘든곳에서 도망쳤다는 일부 시선과 예전같지않은 이전부서 동료들 태도에 제 자존감이 박살이 나는 느낌이었습니다.. 이전부터도 불면이 심해 신경안정제 복용이력도 있고, 알던 정신의학병원이 있어 방문하여 검진해보니, 우울에피소드라고 진단받았습니다 사소한 주변인의 언행에도 신경쓰고 상처받고 자책하고 있는 제 스스로가싫고, 이런 상황의 원인이 나 라는 자책까지 지속적으로 정신건강이 좋지못한채 업무중입니다.. 퇴사도 고민했으나 아이가 있는 한 가정의 가장이기도 하고 퇴사이후 자신없는,불확실한 미래가 더 큰 우울로 다가올까 겁이납니다 겁내하는 제 자신이 또 싫어지구요... 우울증이라는 진단으로 휴직을하며 쉬어가도될지 고민입니다.. 하지만 그러기에는 회사 분위기도 좋지못하고 부서 인원도 부족해, 또다시 피해를 주는 사람이될까 두렵습니다
cjl | 물류관리·SCM
02월 19일
조회수
2,030
좋아요
68
댓글
41
라운지
재택근무 할수 있는쪽으로 하고싶은데..
저는 해외수입담당하고 있고 4년차입니다 작은회사인지라 무역업무외 잡다한 업무도 다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인원은 줄고 업무는 계속 저한테 오는데, 이번에 3년 채우고 나면 이직을 하고싶은데요 잠깐 재택근무를 했었는데, 저하고 잘 맞는 것 같더라구요, 조용한 곳에서 혼자 일하면서 제 할일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어 실수도 잘 없었구요. 이러한 경험때문에인지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회사로 이직하고 싶은데 리맴버에서도 재택근무 가능한 회사가 있을까요?
된장찌개 맛있다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02월 17일
조회수
1,430
좋아요
6
댓글
1
라운지
이직의 기로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느덧 5년차를 넘어서고 있는 사회생활 초짜입니다. 처음 회사를 다니기 시작했을 무렵에는 1,2년이면 회사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 수 있겠지, 그럼 옮겨야지! 하는 건방진 마음으로 시작한 회사 생활이 어느덧 5년을 넘어섰고.. 이젠 새로운 도전을 하려합니다. 본래 다니던 회사를 그만 두고, 현재 본래 목표했던 곳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회생활 초기부터 알고 지내던 외국인 친구가 함께 국내 유통 사업을 해보자고 아이템을 몇개 가져왔는데.. 이게 믿어도 될 건지, 혹여 나중에 문제가 되었을 때 책임소재를 위한 내가 필요한건지. 어쨌든 소싱을 친구가 진행하는데, 다른 길을 포기하고 저 길을 가다가 나중에 낙동강 오리알이 되는건 아닌지.. 많은 고민이 있습니다. 그간 봐온 이 친구가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건 알고, 벌써 2년쯤 전부터 계속 했던 제안이라, 지금 갑자기 하는 얘기가 아닌것도 아는데.. 이 길이 무서운것도 사실입니다. 혹시 여기 계신 분들께선 이런 상황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건지, 그 후의 리스크 대비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의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만약 진행하게되면 현재 이 친구가 운영중인 회사에 적을 올려두고, 전 회사 연봉수준을 책정받아 다니되, 해당 회사 업무와 별개의 매출창구를 확보하는 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여기까지는 제안받은 내용입니다.) 도와주세요 ㅠ
초짜입니다 | PM·PMO(프로젝트)
02월 16일
조회수
1,348
좋아요
28
댓글
17
라운지
트럼프 관세전쟁 위협과 대응
트럼프의 관세부과에 대한 현실적인 위협과 대응방안 (25.2.3 작성)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부과를 바라보는 관점과 기업들의 대응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1. 트럼프2기 관세부과의 어리석음, 예상대로 될지 매해 세계 경제의 이슈를 끌고 가는 인물이 나타나는데, 최근 수년간 일론머스크, 샘 알트먼, 젠슨 황이었다면, 올해는 분명히 트럼프가 될 것임에 틀림이 없는 것 같다. 경제정책에 있어서는 실로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별로 없으니 새롭다고 주장되는 것들이 대개 서툴게 변장한 지난 세기의 폐기물로 판명이 된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 그리고 한국과 EU는 관세부과를 기다리라는 트럼프2기 관세부과정책도 결국은 1930, Smoot-Hawley Tariff Act(스무트-홀리법)과 같은 방향이긴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원하는 대로 이행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스무트-홀리법은 1929년 대공황직후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시행한 법으로 약 20,000개의 수입품에 관세를 평균 40%인상하여 외국제품의 가격을 높이고, 미국 내 생산을 촉진하는 것이 목표였는데, 결국 보복관세로 국제무역이 위축되어 세계 무역량이 급감하고, 미국 제품의 수출감소로 인해 미국 내 기업들이 타격을 입고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미국의 1930년대 대공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미국의 보호무역정책으로 국제 경제협력의 위축은 제2차 세계대전의 원인 중의 하나로 작용했다는 평가를 받고, 결국 자유무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1947년 GATT체결로 이어졌다. 오늘날 이러한 관세정책은 비현실적일 뿐만 아니라 설사 그것이 가능할지라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사실을 처음부터 분명히 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관세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재정확보이고, 다른 하나는 국내산업보호이다, 재정관세와 보호관세이다. 미국과 같은 대국인 경우에는 관세의 부과가 양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관세의 부과에 따라서 무역량은 감소하게 된다. 소국의 관세부과와 다른 점은 관세의 일부를 수출국에서 수출자가 부담하게 된다는 것이다. 수출가격이 당초보다 인하하게 된다. 소비자잉여가 소국과 마찬가지로 감소하게 되고, 수출자가 관세의 일부를 부담하게 되므로 미국은 조세당국으로 이전되어 소득의 재분배가 이루어진다. 물론 관세를 부과하면 일시적으로 관세수입은 증가하고, 국내생산을 늘릴 수 있지만, 수입물가가 상승하면서 소비자 물가상승으로 이어지고, GDP는 줄어들게 된다. 관세부과의 혜택은 미국이 불리한 일부 철강, 알루미늄, 반도체 등의 산업에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대다수 국민은 수입물가 상승과 중간재를 수입해서 제조하는 자동차, 가전기업들에게는 생산원가 상승으로 인해 고통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특히 저소득 소비자층이 겪게 되는 고통은 더욱 심하게 되어 결국 사회불안을 야기하게 되고, 이를 막기 위한 치안행정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전방위적인 관세부과가 일부 수혜를 입는 기업과 그 소속 임직원들에 비해, 피해를 겪게 되는 집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다원화된 경제상황에서는 트럼프대통령과 러트닉 상무장관의 생각대로 국내 생산을 늘리고 관세수입으로 확보한 재정으로 미국경제를 살리는 상황으로 장기간 전개되지는 않을 것이라는데 있다. 사람들은, 특히 트럼프는 흔히 경제문제를 물리학의 법칙 같은 불변의 자연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이 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런 생각에 기초한 결정과 구조가 경제적 불안정과 정치적 위험을 초래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트럼프의 관세부과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전세계 모든 국가와 기업과 국민뿐만 아니라 미국내 기업과 국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예측대로 흘러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될 수 있으면 빨리 인식해야 한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즈, 블룸버그 등 주요 언론에서도 “가장 어리석은 무역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트럼프의 관세부과는 전혀 설득력이 없다고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충고를 들을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2. 트럼프2기 관세부과를 어떻게 막을 것인가 캐나다에 대해 트럼프가 부과한 관세행정명령을 보면, 캐나다를 통해 갱단원, 밀수범, 인신매매업자 및 모든 종류의 불법약물이 유입되어 지역사회를 위험에 빠트리기 때문에, 미국 대통령으로서 헌법과 국제긴급경제권한법(50 U.S.C. 1701 et seq.) (IEEPA), 국가비상사태법(50 U.S.C. 1601 et seq.) (NEA), 1974년 무역법 제604조 개정판(19 U.S.C. 2483), 및 제목 3의 섹션 301에 따라 부여된 권한을 이용하여, 캐나다 제품에 대해 법률에 따라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고, 25.2.4일부터 부과를 한다고 한다. 동 행정명령 제3절에서 정기적으로 캐나다 국경상황에 대해 논의를 하고, 국토안보부장관은 캐나다 정부가 협력적 집행 조치를 통해 이 공공, 건강위기를 완화하기 위한 충분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대통령이 관세부과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결국 캐나다 정부가 카르텔, 갱단원, 밀수범을 검거하고, 펜타닐 등 불법 약품의 유입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관세부과를 면제하겠다고 하는 것으로서 일정부분은 트럼프의 요구사항을 캐나다 정부가 들어주어야 해결이 될 것 같다.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미국 의회에서 견제가 가능한데 의회는 법률제정(Legislation)권을 이용해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데 (특정 조항에 대한 대통령의 권한을 수정하거나 폐지) 이 경우에는 대통령이 거부권(veto)을 행사하면 2/3 찬성으로 다시 의결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의회는 공동결의안 (joint Resolution)을 통해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를 무효화할 수 있는데, 긴급경제권한법(IEEPA) 또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의회가 무효화할 수 있는 절차가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공동 결의안이 법적 효력을 가지려면 대통령의 서명이 필요한데 실질적으로 대통령의 동의가 어렵다. 또한 의회는 예산심의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에 대해 예산승인거부(Power of the Purse)권한을 가지고 특정 정책에 활용하지 못하도록 예산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기업이나 단체에서 미국 법원에 소송 (JUDICIAL REVIEW)을 제기하여 관세부과가 미국 헌법이나 법률에 위배된다고 제기할 수 있는데, 실제로 트럼프 1기 때에는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부과에 대해서는 기업들이 소송을 제기한 바가 있다. 의회는 외국 정부와 협력하여 외교적 압박(Diplomatic Pressure)을 할 수도 있고, 상무부와 USTR을 감독(Congressional Oversight)하여 의회 청문회를 통해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행정부의 무역정책을 수정하도록 압박할 수도 있다. 하지만, 미국의 대통령의 거부권과 행정부의 권한이 강력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제어가 쉽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3. 당장 기업들에 닥친 위기는 매출과 이익감소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품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의 수입자는 당장에 미국내에서 판매가 가능한 수준으로 수입가격을 인하해 달라는 요청을 하게 되고, 수출자는 가격인하로 인한 이익의 감소를 가져올 수 밖에 없다. 또한, 현재와 같이 전쟁과 인플레이션으로 원재료가격과 인건비부담이 큰 상황에서 수출가격인하 압박을 받게 되면 적자수출이나 거래단절의 위험까지도 감수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GDP감소 뿐만 아니라 수출국의 GDP감소가 발생하면 실업의 증가와 경기침체는 동시에 발생할 것이다. 특정국가만을 대상으로 한 보복관세가 아닌 보편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미국의 소비자와 제조기업이 가격인상을 감내할 수준이 될 때까지는 수출국은 가격인하의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며, 수입국인 미국도 당장은 수출국의 관세부담으로 인해 이익이 늘어날 수 있지만, 보복관세와 교역의 감소로 미국 국민의 소비자 후생도 줄어들게 된다. 트럼프의 예측 불가능한 행보로 경제 전반이 불확실해 진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미국 대통령의 화법과 달리 트럼프의 발언은 실제 실행의도가 어디까지 인지 알 수 없어서, “어떤 상황에 직면했을 때 특정 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하고, 양보를 얻어내고, 승리를 선언하는 패턴이 임기 내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워드 막스는 말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향후 6개월이내에 미중 관계의 진전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이때 트럼프가 자신이 승리했다고 발표하고 긴장은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는데 희망을 걸어야 할 것 같다. 4. 기업의 대응은 수입자와 수출자가 조금씩 양보하는 수 밖에 없다 당장에 기업은 최소 6개월에서 길면 2년정도 관세부과의 태풍이 지나갈 때까지 원가절감방안을 찾아 내야 하는데 그 기간 동안에는 결국 모두가 조금씩 양보할 수 밖에 없다. 미국의 수입자와 수출자가 서로 양보하는 수준에서 트럼프 행정부에 일정부분 맞추어 줘야 하지만, 무역전쟁까지의 파국은 막아야 한다. 미국은 혼자서 갈 수가 없다, 미국이 과거 어느 때보다 기술적 우월성이 휠씬 더 큰 상황이지만, 최근에 들어서 더 이상 세계의 경찰이 됨으로써 치러야 할 대가를 부담할 생각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아메리카 퍼스트는 이제까지 많은 희생을 감내했으니, 이제는 미국만 잘 살면 된다는 사고에서 나온 것이다. 우리가 보아 왔듯이 러우전쟁과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전쟁에서 미국인 잠자는 거인처럼 아무 일도 하지 못하는 것을 보았다. 이따금씩 위험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적극성을 나타낼 뿐, WHO와 기후협약 등 협력을 거부하는 데에 더 적극성을 나타내 왔다. 하지만 전세계 많은 국가가 미국의 문화와 컨텐츠를 소비하는 상황에서 미국은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서 자유 세계의 지도자 역할을 재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편관세는 거두어 들이면서, 미국이 맞은 불법약물과 갱단과 카르텔의 문제점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각 국가가 협력을 해야 한다. 트럼프가 협상의 카드로 관세를 사용할지, 정말로 재정수입과 국내산업보호를 위해 관세를 사용할지는 천천히 지켜보면서 각 기업은 필요한 대응을 해야 한다. 우리 나라를 비롯한 각 국가도 협상의 카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가 힘을 합쳐야 하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 트럼프의 관세부과는 당장은 환율, 이자율, 주식, 채권 등 금융시장에 더 큰 충격이 온다. 트럼프 태풍이 지나갈 때까지 날라가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한다. 너무 성급한 반응을 하지 않고, 우리에게 유리한 카드를 잘 활용해서 이 위기를 지나가야 한다.
@신한관세법인
서영진 | 신한관세법인
02월 06일
조회수
138
좋아요
6
댓글
0
라운지
물류 회사에서 유통회사 이직 하신 형님들 고민있어요…
형님들 코스피 상장 대기업 규모에 팀원으로 회사를 다니고 있는데 ㅈㅅ 코스닥 상장 유통회사에 팀장급 물류조직으로 이직 어떻게 생각해? 최근에 급성장하고 있고 업력도 20년에 기술도 나쁘지 않은거 같은데 한회사에 10년 다니다가 옴기려닌간 겁나는데… 커리어 측면에서 어떻게 생각해 형들…. 회사에 딱히 불만이 있지는 않은데 너무 오래 있었더니 게흘러지고 영혼없이 다니는거 같아서 좀더 배움이 있고 성장하고 싶은데… 가는게 맞을가? 연봉 직급 한단계 올려 간다는 조건이면…
hhhhhhha | 배송·운송·운전
02월 05일
조회수
1,672
좋아요
11
댓글
28
협업톡
포워더 영업직 3년차, 내근직 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독일계 포워딩에서 영업팀을 구성하고 있어요. 2~3년 경력 영업사원과 내근직 영업사원을 모집한다고 합니다. 이직을 희망하시거나 내근영업직에 대한 도전을 하고 싶으신 분들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곳에 적절하지 못한 게시물이라면 삭제 하겠습니다.
살달은걀24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02월 04일
조회수
135
좋아요
2
댓글
1
라운지
무역사무 vs scm 조언
안녕하세요 구매팀 수입 물류로 3년의 근무 경험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퇴사를 하게되었습니다 근무를 하다보니 scm포지션과 물류로 커리어 확장을 하고 싶어 퇴사를 하였는데 이번에 거의 대기업급인 식품 중견회사에서 무역사무 고졸 포지션에 합격을 했어요. 아무래도 회사 규모가 이전 회사와 차이가 나서 고민이 됩니다 저는 외국계 회사로 scm 포지션으로 지원을 하고 있는데 규모나 매출액은 작아도 연봉도 식품 회사보다 높고 포지션도 제가 원하는 포지션이라 최종을 앞두고 고민이 됩니다. 단순히 무역사무로만은 연차가 쌓였을때 성장하기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큰 회사는 규모가 장점이라 이직할때는 좋지만 문제는 오래다니기엔 고졸 포지션으로 진급이 거의 어려우며 집에서도 거리가 있어 오래 다닐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또 scm 포지션으로 면접을 보러다니니 과거 경력에 비해 중고신입, 사원급으로 어필을 하고 있지만 저의 과거 성과와 회사가 선호하는 역량이 다르다는걸 느끼고 더 열심히 면접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 합격한곳이 그래도 이름이 있는곳이라 고민이 되네요... 또 무역사무 업무를 1년 더 수행하면 내년에 여자로 30살이라 지금이라도 scm으로 가야할지 아니면 무역사무로 1년 더 근무를 하고 이직을 할지 고민됩니다 . 적은 회사 경험으로 선택이 어렵네요 조언부탁드립니다. 여자다 보니 결혼생각과 안전성을 추구하기에 더 신중하고 싶은것 같습니다
궁금매니아 | 구매·조달·소싱
01월 31일
조회수
2,107
좋아요
66
댓글
24
라운지
외국기업 이직
현재 대기업 화학사 30년차근무 vs 외국 중소 트래이더로 근무 현재 국내 대기업 계열 화학사 근무중입니다. 외국 중소트래이딩 회사에서 오퍼가 왔습니다. 연봉은 현재 연봉보다 약40% 인상하여 주기로 했습니다. 지위는 회사본사 소속이고 한국에 혼자 근무하며 비지니스를 확대시켜 가는것이 주요 업무입니다. 계약서에 한국내 근로기준법(5인이상 사업장) 기준으로 모든 처우가 보장이됩니다. 30년차 대기업 다니고 화학사 비전이 이제 그닥 밝지않은지라 이번기회에 이직할까 합니다. 의견 부탁합니다.
Lobdon | 해외B2B영업
01월 29일
조회수
3,763
좋아요
113
댓글
72
라운지
연봉 11퍼 올랐네요..ㅎㅎ
원래 구매쪽은 아니였고 2~3년간의 회사경험은 있었던 20후 남자입니다. 작년 2월 구매 중고신입로 들어와 나름 열심히 했고 회사도 인정 해준거 같아 기분이 좋네요..ㅎㅎ 회사도 규모는 작지만 기술력이 좋아 장래는 좋은거같고.. 3000후반대로 입사해 4000초반으로 점프~~~ 상여금은 300% 받았습니다 기분은 좋은데 자랑할데가 없어 글 남겨봅니다. 다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MarinJH | 구매·조달·소싱
01월 24일
조회수
3,205
좋아요
95
댓글
38
라운지
스타트업 이직
안녕하세요! 좋소같은 중견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 이직 제안이 와,, 최종면접까지 합격한 상황입니다. *기존업체는 연봉, 분위기 최악악악! 스타트업 환경, 연봉은 더 좋은편이지만 업무강도는 훨씬 강해보입니다!! 선배님들은 어떤 결정을 내리실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1. 기존업체 계속 다니면서 이직준비 2. 스타트업이직
홍길동오 | 해외B2B영업
01월 23일
조회수
979
좋아요
37
댓글
25
라운지
급여 동결
ㅠ 흑 나가라는건가?…. ㅠ ++ 아댓글이 많이 달렸었네용ㅋㅋ 동결은 아니구… 3월 인상급여로 진행되기로 했땁니다 …. 허허…;;; ㅎㅎ
도망간도비짱9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01월 23일
조회수
2,945
좋아요
53
댓글
45
라운지
일 좋아한다면 동남아 취업도 나쁘지 않은듯요
장점: 1. 돈을 달러로 받는 경우가 많고요. 2. 물가가 너무 쌉니다. 3. 집을 회사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고정비 아낍니다. 4. 국제학교 지원 해줍니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5. 취학 전 자녀가 있다면 12년 특례로 연고대 보낼 수 있다네요.(버텨야함 ㅋㅋ) 단점: 1. 주 6일 풀 근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은근 장점) 2. 한인사회가 좁아서 모든 행동 다 조심해야 합니다. 3. 4대보험 안되는 경우가 많아요. 4. 거주 환경이 한국처럼 깔끔하진 않을겁니다. 물이나 전기 이런 인프라. 5. 근로자 기준법이 상대적으로 약해서 부당해고가 좀 쉽습니다. 일단 주 5일 근무제에 익숙한 우리들 중에 워라벨 중요시 하는 분들 은근 많더라고요. 그런 분들은 오면 생각보다 잘 못 버틴답니다. 한식파 분들은 음식으로 고생 많이 하십니다. 근데 중국요리 한달 30번 이상 드시는 분들은 뭐든 잘 드시니까 ㅋㅋ 달러 급여 받는 사람들은 환율이 곧 보너스입니다. 요즘 많이 올랐죠. 근데 일 좋아하고, 외벌이 해야하는 분들이면 동남아든 아프리카든 해외취업 어디든 도전해보면 괜찮아 보이네요.
사표내는제이지 | 해외B2B영업
01월 20일
조회수
2,474
좋아요
65
댓글
46
라운지
이직 쿠팡vs우청 의견주세요 ㅜ
이직을 한다면 추천해줘요. 현직자가 있다면 라이브 충고 좋아요. 쿠팡 am 출퇴근 50분거리 365일 24시간운영 / 야간 시프트 근무 발생 가능 스캐줄 근무 워라밸 보장 중하 수준 (스케줄 근무에 근무시간이 변동이 있어 워라밸이 있을까 싶네요..휴) 성과금 있음 연봉에 52시간 ot가 녹아있음 (연장이나 휴일 근무가 필수인 느낌??) 우청 CL 출퇴근 20분 내외 06-24시 운영 스케줄 근무 워라벨 보장 중상 수준 (그래도 자정이면 클로징 하니깐…끝이라도 있어 다행인가..) 성과금 있음 연봉 협의전이라. 아직 모름 복지는 쿠팡이나 우청이나 비슷해 보임
@(주)우아한청년들
꽁이꽁꽁 | 물류관리·SCM
01월 17일
조회수
2,093
좋아요
13
댓글
16
라운지
이직 조언 부탁드립니다
a 외국계 기업 직원 20명 내 야근x 워라벨 좋음 그외 복리후생x 포지션 무역사무 (추후 영업 가능성o) 출퇴근 40분 b 직원 100여명 중소 상장폐지 등 부정적 얘기가 많음 연봉 a보다 2-300정도 더 높음 (연봉 중 일부를 상여금 명목으로 지급) 야근 x 포지션 해외영업 출퇴근 1시간 c 중견 회사 인지도 높음 역피라미드 구조 (잡플래닛 리뷰) 포지션 무역사무 아직 면접 전 출퇴근 1시간 만약 a회사 다니던 중 다른 회사에서 제안 받았을 때 어떻게 하실것 같으세요?
ililjsis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01월 17일
조회수
1,630
좋아요
19
댓글
22
라운지
이직 했는데 가라앉는 배 인 거 같습니다
아니 입사한 지 이제 3주 됐는데 직원이 10명 중 일곱명은 나가는 거 확정이고 2명은 “공식적”으론 스테이지만 이직준비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ㅠㅠ 그나마 몇 명은 오래 됐다고 후임이 구해지기 전까지 일하겠다고 했는데 언제가 될 지는 모르고요. .. 그 후임이 또 얼마나 견딜지 모릅니다. 카드값이 급해서 일단 들어왔는데 제가 처음에 갔을 때는 분명 한 명만 나가는거였는데 지금 이러다가 저 혼자 남을 거 같아 너무 불안합니다 ㅠ 저도 이직을 이제 한달 넘으면 준비하려 하는데 친구들은 절대 먼저 그만두진 말라고 하더라구요 ㅠㅠ 사람은 안 들어오고 있고 .. 하 사장님인 자기가 사람을 끌고 오려고 하는거 같은데 그게 안되는 거 같더라구요 ... 불안해서 이직 생각하는 저 정상이죠? ㅠ
이직성공ㅠㅠ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01월 16일
조회수
2,595
좋아요
23
댓글
17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