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보스>
리멤버 회원분들께 150석 쏩니다🍿
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부동산 개발
임차인편? 임대인편?
요근래 임차인들 보증금 뜯겼다는 글이 많이들 올라오는데 실제로 보증금을 뜯기고 뜯겼다는 건지 아니면 이슈화된 글에 밥숟가락 하나 얹어서 같이 싸잡아욕하고 싶어서 그러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저보고 공인중개사나 임대인편에서만 글을 올린다고 차단하신다는데 솔직히 '차단' 하던 '좋아요' 하던 별로 관심은 없으니 하고싶은데로들 하시고요 그런데 말이죠, 여기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는 이유가 그냥 같이 싸잡아서 욕하고 싶어서인가요? 아니면 앞으로라도 같은 일 당하지 않으면서 어떻게라도 해결책을 찾고 싶은건가요? 피해본 임차인들끼리 모여서 임대인과 공인중개사 욕하면서 정부탓이나 하면서 스스로는 잘못한거 하나도 없는거 같은데 한놈이 나타나서 임차인들 잘못을 콕콕 집어주니 열받나요? 그런데 그렇게 억울하면 누구하나 국민청원이라도 글 올린 적이나 있나요? 그렇게 잘못된 것이면 고치려고 노력들은 하셨냐고여.. 그렇게 모르는게 많았으면 전세 얻기 전에 물어보기라도 했냐고요.. 조언을 듣기 위해 글을 올린게 아니라 니 편 내 편 가르기 해서 누군가 내편 들어주면 마음에 위안이 되던가요? 그렇게 위안받으면 떼인 보증금이 돌아오나요? 그래요 뭐.. 저는 임대인도 하고 있고여.. 가족 중에 임차인도 있어요.. 알아야 당하지도 않는 겁니다.. 금융권이 1순위 인거 모르고 전세 얻으러 다니셨나요? 그냥 공인중개사 수수료만 주면 알아서 다 해줄거 같던가요? 전세 계약하고 확정일자 받고 전세권 설정만 해놓으면 무슨 일이 있어도 보증금은 받을 수 있을거라 생각하셨나요? 보증금 뜯기는 건 남의 일이었죠? 설마 내가.. 에이 설마...ㅋㅋㅋ 하셨나요? 조금만 알아보고 조금만 다리품 팔아도 임대인 누구는 든든하고 임대인 누구는 부실하다는 얘기 다 흘러나옵니다.. 하루, 이틀 쉬다가 오는 캠핑장도 몇시간씩 찾아보는데 적게는 일년.. 많게는 수 년을 살 집인데 그냥 몇시간만에 덜컥 계약해요? 한두푼도 아니고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짜리를? 다들 가슴에 손 얹고 생각해보시길.. 과연 본인들은 뭘 노력해서 현재 위치에 있고 뭘 얻으려고 여기 글을 보고 여기에 글을 남기는지 말입니다..
시니군 | 부동산 중개
22년 12월 28일
조회수
1,484
좋아요
17
댓글
25
회사생활
자신에게만 관대하고 남에게 엄격한 캐릭터의 사람들
제목처럼 이런 캐릭터들을 님들은 어떻게 보시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악의적인 인간쓰레기라고 생각합니다. 님들 직장에도 그런 사람들 많으시죠? 저야 님들께서 아시다싶이 그런 캐릭터가 저를 건드리면 여기서 욕하는 글올렸고 실제로도 건드리면 참다가 건드려볼테면 건드려 보란식으로 차겁고 무뚝뚝하게 대꾸합니다. 그리고 실수한척 하면서 엿한번 먹입니다 님들은 실제로 그런 캐릭터들이 님을 건드리면어떻게 상대하시나요?
멧돌손잡이없다 | 해외B2B영업
22년 12월 28일
조회수
1,904
좋아요
2
댓글
4
회사생활
평가시즌, 회사 임원과 나눈 대화
평가의 시즌입니다. 최종 평가자인 임원 면담 일정이 잡혀서 임원실에 들어갔습니다. 참고로 면담이 있기 3주전 팀 내 경력이 제일 많은 이철수가 퇴사를 했고, 임원분과 퇴사면담을 하면서 자기 혼자만 늦게까지 일하는데 홍길동은 아무 도움도 주지 않고, 따박따박 정시퇴근을 하는게 너무 힘들고 화가 났다는 등~~ 소원수리 비슷한걸 했다고 합니다. -(임원)000팀은 팀원들이 너무 개인주의적이다. 마치 모래알 같다. 이철수(최근 000팀 퇴사자)가 혼자 야근을 해도 팀원들이 관심도 없고 다들 자기일 끝나면 퇴근해버리는게 가장 힘들었다고 한다. 내가 그 층에 있는 다른팀 직원들에게 물어보니 정말 그랬다고 하더라. -(나)이철수는 고객의 요구사항이 특히 많았고 본인의 업무 스타일이 A부터 Z까지 다 뜯어봐야 하는 사람이라 업무가 부여되면 다른사람 보다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무엇보다 본인이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절대 먼저 얘기하지 않고 알아서 챙겨주길 바라고, 자신의 업무 진행상황에 대해 팀원들과 공유하지 않고, 기한을 줘도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 지시한 일정에 거의 맞춘 적이 없어서 저와 계속 트러블이 있었습니다. 몇번은 중요한 자료 취합이 필요한 상황인데 언제 초안을 검토할 수 있냐고 물으니 잘 모르겠다고 해서 서너 시간씩 다른 일을 하며 기다린 적이 있었는데 그 이후로는 저도 지쳤습니다. (그냥 그때 확 때려 치라고 할 걸...) -(임원)000팀은 김나래는 A파트만 하고 홍길동은 B파트만 하는 등 늘 똑같은 업무만 하고 서로 일을 도와줄 줄도 모르니 팀원들이 성장하지 못하는 거다. 이건 네가 팀을 그렇게 만든거다. -(나)000팀 팀원들은 이전 팀장이 있을 때나 지금이나 자기 일과 팀의 일을 책임감 있게 하는 팀이라는 건 변한 게 없습니다. 제가 작년에 이팀에 왔을 때도 이 팀은 성과를 잘 내고 있었고 팀원들도 모두 열심히 맡은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팀장이 바뀌었다고 해서 갑자니 팀분위기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큰 틀은 그대로 두고 전체적으로 업무로드가 많던 김민기의 업무를 줄여서 김나래와 홍길동에게 업무를 부여했습니다. 김민기는 제가 작년에 이팀에 왔을 때 보니, 업무의 종류가 너무 많아서 제가 한 조치입니다. 김민기가 작년 말에 순환보직을 신청하고 올해 육아휴직을 한 이유는 상무님이 지적하고 계신 팀의 개인주의적인 분위기가 주요한 원인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임원)아니다. 네가 이 팀에 팀장으로 오기 전에는 그 팀에서 순환보직을 신청한 사람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너는 내가 어떤 평가를 해도 괜찮겠냐? -(나)저한테 평가 결과는 그다지 중요치 않습니다. 지금 가장 바쁜 시기인데 갑작스럽게 인력 유출이 생겨서, 팀원들이 추가 업무를 하느라 고생하고 있는데, HR에서 인력보강을 ASAP 해주면 좋겠습니다. (추신) 가만히 대화를 정리해보니 임원이 제게 듣고 싶었던 말은 이거 하나 였는데... 제가 눈치가 바닥에 붙어 있었네요... 바보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그런 일이 없도록 팀원들 하나하나 더 잘 챙기겠습니다. 충성!" (반전) 그런데 ... 퇴사한 이철수는 후임들 태움의 달인으로 핫한 직원이였다는거... 이철수가 퇴사시킨 직원들이 수두룩 빽빽인데 .. 제가 그 마지막 희생자가 됨으로써 그 긴 태움의 여정이 끝난 것은 불행 중 다행. Be careful, 태움! 회사에서도 아주 흔하게 일어난답니다.
밥사주는동료되기 | HRD
22년 12월 28일
조회수
1,141
좋아요
8
댓글
4
이직/커리어
투표 신입 직원들이 빨리 퇴사하는 이유 : 효능감 부족
글로벌 대기업도 신입 1년 정착률이 50% 밑으로 떨어지는 요즘. '정착률'이 아니라 '회전률'이라고 부른다고 하죠? 사실 이것에 이미 과거에 연구한 결과가 있습니다. (첨부 사진을 보고 오시면 더 이해가 빠르답니다 ^^) ▣ 1기(초초반) : 운동 및 악기 배우기 시작한 첫 날, 회사의 경우(사원 레벨) - 실력은 없지만 의욕은 단기간 동안 폭발. - 매일 2시간↑ 운동 or 매일 야근할 수 있는 기분 - but 내가 할수 있는게 많지 않다는 이유로 의욕 급 하락 (ex : 악기의 경우 눈을 악보에서 뗄 수 없고 고작 음을 내는 것, 회사는 보조만 하는 레벨) = 높은 의욕이 떨어지지 않도록 업무역량을 빠르게 늘려줄 수 있는 초급단계 'training'과 상세한 업무 'management' 필요 = 경우에 따라 신입이라 더 잘 할 수 있는 일 배정 (ex: 조직문화 활동) ▣ 2기(초반) : 운동 및 악기 배우기 시작한 2~3달, 회사의 경우(대리 레벨) - 역량은 조금 늘었으나 이미 의욕이 상실된 단계 - 퇴근 시간만 기다리며 각종 부조리에 불만 폭발 (ex: 악보 보며 느린속도로 한 곡 연주가능, 회사에서 작은 task를 혼자 처리하는 레벨) = 본인의 '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를 통한 Engagement' + '업무역량 향상 training' = 가장 많은 관심과 피드백(가급적 긍정적으로)이 필요한 시기 ▣ 3기(중반) : 운동 및 악기 배우기 시작한 6~2년, 회사의 경우(과장 레벨) - 몇 싸이클 돌려서 돌아가는 구조를 파악, 하나씩 성공을 맛보며 의욕이 오르는 단계 - 업무에 대한 역량과 의욕이 중간정도 상승하는 단계 - 후임에 대한 꼰대 마인드와 팀장에 대한 측은지심이 발생할 수 있는 단계 = 작은 프로젝트를 위임하며 성공을 맛보게 하여 역량과 의욕이 상승하게끔 '관리' ▣ 4기(후반) : 운동 및 악기 시작한지 2년 이상, 회사의 경우(부장 레벨) - 역량과 의욕이 가장 높은 시기 - 꼰대마인드 + 업무와 조직에 대한 이해도 장착 완료! = 완전한 위임을 통한 성과창출 지원을 위한 목표 '점검' 정도만 필요 + 리더로 육성 사람마다 1기에서 2기를 겪지 않을수도 있고, 역행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리더가 팀원의 상태를 보고 '동기부여(격려 또는 밥,술)'를 해줘야 할지 '업무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킬 기회'를 제공해야할지 판단을 해야할 것입니다. 일에 치여서 모든 좋은 방법을 실천하긴 어렵지만 이렇게 팀원에게 더 좋은 리더십을 발휘하겠다는 리더라면, 팀원들도 여러분의 마음에 공감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_______^ ※ 조금 위 내용을 디테일하고 알고 싶으시다면 : 리더십 '상황이론' 내 '리더십 수명주기 및 상황적합성이론'에서 더 보실 수 있습니다
김구종 | 고영테크놀러지
22년 12월 28일
조회수
14,682
좋아요
76
댓글
21
커머스/MD
투표 인플루언서 커머스에 대한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밑에 라이브커머스 전망 얘기가 나와서 그렇다면 인플루언서 커머스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nooooooj | 법인대표·CEO
22년 12월 28일
조회수
728
좋아요
2
댓글
4
인사/HR
2023년 식대비과세 20만원 달라지는 것들
2023년부터 20만 원으로 증액되는 식대 비과세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대 비과세가 20만 원으로 오르면 사업주 및 근로자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요? 1. 4대보험 부담액이 줄어듭니다. 비과세는 소득세뿐 아니라 4대보험에도 적용됩니다^^ 사업주 및 근로자 모두 증가된 비과세 금액 10만 원에 대한 4대보험을 안 내게 됩니다. [ 10만 원 x 12개월 ]의 금액에 4대보험료율을 곱하면 4대보험 부담액이 감소합니다. 사업주 50%근로자 50% 국민연금은 각54,000원 건강보험 42,480원 장기 5,400원 고용보험 10,800원 각합 112,680원*2씩 (총합 225,360)1년기준 감소 하네요 2. 근로자의 소득세가 줄어듭니다. 소득세는 급여액 및 세율구간에 따라 감소합니다. 총급여액 3,300만원 해당세율 6% 24,490원/ 15% 136,090원 7,000만원 " 15%162,190원/ 24% 259,150원 12,000만원 " 24% 268,150원/ 35% 391,060원 3. 그럼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 비과세 식대에는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금액과 포함되지 않는 금액이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최저임금의 1%가 최저임금에 포함되지 않는 금액입니다. 2023년 최저임금:2,010,580원(209시간*9,620) 비과세 식대 20만원 중 20,106원: 최저임금에서 제외 179,894원: 최저임금에포함 최대한 비과세 금액을 적용하면서,최저임금에 맞추려면 아래와 같이 급여대장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기본급 1,830,686[최저임금2,010,580)-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식대(179,894) 식대비과세 200,000원 합계 2,030,686원 **** 식대 20만원 비과세는 2023년 1월 급여분부터 적용 가능하다는거 잊지 마시고요***
얼마에요부산 | 법인대표·CEO
22년 12월 28일
조회수
2,895
좋아요
37
댓글
6
프리랜서/1인기업
청년창업세무팁(세액감면)
안녕하세요. 아이퀘스트 부산 입니다. 청년 창업세액 감면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요~ 뭐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청년이 사업을 시작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세액감면입니다.* 감면율이 무려 5년간 50% 에서 100% 로 많은 감면을 받을 수 있는 감면이니, 처음부터 요건에 맞게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1. 청년이여야 합니다. 창업 당시 만15세 이상 34세 이하인 대표사업자. (병역을 이행한 경우에는 그 기간을 빼줍니다) 2. 대상업종이어야 합니다. 대상업종은 포털사이트에서 찾으시면 나옵니다.(다 열거하기 ㅠㅠ) 즉, 사업자등록시 해당 업종으로 신청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 제조업, 전자상거래업 은 해당됩니다. - 도소매업, 음식점 중 유흥업종과 카페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파는 전자상거래업은 처음에 사업자등록시 도소매로 등록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 "창업" 이어야 합니다. 새로운 사업을 최초로 개시하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즉, 이전에 같은 업종을 하다가 폐업 후 다시 시작하거나, 다른 업종을 추가한 경우 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4. 과밀억제권역인지 아닌지에 따라 감면율이 달라집니다. 과밀억제권역 5년간 50%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강화군,웅진군,서구 대곡동,불로동,마전동,금곡동,오류동,왕길동,당하동,원당동,인천경제자유구역및 남동 국가산업단지는 제외] 의정부시,구리시,남양주시(호평동,평내동,금곡동,일패동,이패동,삼패동,가운동,수석동,지금동 및 도농동만 해당) 하남시,고양시,수원시,성남시,안양시,부천시,광명시,과천시,의왕시,군포시,시흥시[반월특수지역제외] 과밀억제권역이 아닌 경우 5년간 100% 5. 신청하는 방법 별도로 신청하는 것이 아니라 3월 법인세 신고 또는 5월 종소세 신고시 세액감면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창업하시는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얼마에요부산 | 법인대표·CEO
22년 12월 28일
조회수
903
좋아요
9
댓글
1
이직/커리어
10위권 내 시공사 이직 문의의 건
현재, 민간도급사업 영업직으로 재직 중인 곧 3년차가 되는 주니어입니다. 시장이 안좋다보니, 내년도 채용이 안뜰거 같습니다만, 미리 준비해놓고자 질문드립니다. 1. 현재, 30위권 시공사에 재직중인데, 10위권 내 시공사로 진입코자 한다면 경력직이 좀 더 메리트가 있을까요? 아니면 중고가 메리트일까요 - 연봉, 연차 깍이는건 상관없습니다. - 내년까지는 20대 입니다. 2. 경력직으로 갈 시 일부 회사는 계약 1년후 정규직 전환을 제안하는 것으로 아는데 대부분 전환이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그렇다면 중고신입 외에는 10위권 진입할 방법이 없는건 아닐지 걱정입니다.
횻횻 | 부동산 개발·분양·경매
22년 12월 28일
조회수
410
좋아요
1
댓글
0
IT 엔지니어
연봉상승..?
다들 연봉상승률이 얼마나 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만 2년 개발자로 일했구요 첫 시작 2400으로해서 2년지난 지금 5000받고있습니다. 한 회사에 계속있던건 아니구요 첫회사 두회사가 망해서 월급도 때이고 이직했습니다.. 3번째에요 요즘 개발자 구인구직 사이트보면 초봉 4-5000 종종 보일때마다 음 난 평균정도 될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글 남겨봅니다.
에어팟프로2세대 | 안드로이드
22년 12월 28일
조회수
1,764
좋아요
2
댓글
7
마케팅
곧 이직 면접을 보는데요
실무지식이 이직할 회사 실무진보다 넘 적은거같아요.. 서합은 했는데 붙으려면 어떻게 어필해봐야할까요 제가 조금 부족하지만~ 이럴 순 없지않나요,, 제가 실은 퍼포먼스를 전문적으로 배워본적은 없지만 마케팅의 다른 부분들도 잘할수있다 이런식으로 어필해봐야할까여.. 이러면 자신감 떨어져보이지않나,, 직군은 퍼포마케팅이구요 링크드인으로 실무진들 이력보니 대행사출신에 퍼포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 이더라구요 저도 퍼포 하긴하지만 그것보다는 마케팅의 전체적인 것들을 다루었어서,, 어떻게 면접을 접근해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면접 많이 붙어보신분들 혹은 인사담당자분들 ㅠㅠ
smk111 | 시장조사
22년 12월 28일
조회수
643
좋아요
0
댓글
2
인사/HR
HR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상황 설명 있습니다)
재직 중인 회사의 HR 파트가 여러개로 쪼개져있는데 현제 파트 외 각 파트장님께 파트를 옮겨보지 않겠냐는 감사한 제안을 받았습니다. 지금 파트에 불만이 있거나 한건 아니지만 곧 5년차로써 제가 HR 전문가로써 성장할 때 어떤 것을 내 전공으로 삼을 것인지 선택하지 못한 상태여서(곧 5년차에 자랑은 아닙니다만...ㅎㅎ) 많이 혼란스럽습니다. 내용이 내용인지라 회사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하기도 힘드네요... 그래서 책이라도 읽어보고 결정하려고 합니다. 선배님들이 읽어보시고 이런 상황에 도움이 됐다, 혹은 되겠다 싶었던 내용이 있으셨다면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히리스 | 인사기획
22년 12월 28일
조회수
637
좋아요
2
댓글
4
이직/커리어
건설회사 자금팀에서 금융권 이직 가능성
안녕하세요, 중견 건설사 자금팀에서 근무중인 3년차 사원입니다. 제가 맡은 일은 자금계획 수립 및 실적 집계 및 실적보고 등의 업무입니다. 학과는 경제학과 나왔고요. 저는 금융권으로 이직하고 싶지만, 지금 하고 있는 업무가 금융권으로 이직하기에는 도움이 별로 안 될 것 같아 길이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저처럼 자금팀에서 일하다가 증권,신탁,운용사로 이직하신 분이 있거나 주변에서 보신 분이 있으시면 어떻게 가셨는지 조언을 듣고싶어 글을 올립니다. 그런게 아니더라도 제 커리어를 위한 어떤 조언이든 선배님들의 생각을 여쭙고 싶습니다.
엑셀로보트 | 자금조달
22년 12월 28일
조회수
2,001
좋아요
1
댓글
3
이직/커리어
이직 확정 후 추가 협상?
안녕하세요, 이직이 처음인 이린이입니다. 이직이 확정되고 입사일까지 받아둔 상태인데요, 현재 회사에서 보너스를 줄테니 제발 남아달라고 합니다. 사실 전 얼마를 주던 이 회사를 나갈 생각이구요, 대신 이를 빌미로 이직할 회사에 사이닝 보너스 개념의 추가 협상이 가능할지 보고 있습니다. (너무나도 가고 싶은 회사라 연봉은 오히려 마이너스 해서 가게 되었고, 이 부분은 이직할 회사에서 오히려 못 챙겨줘서 미안하다고 합니다.) 이직이 확정된 지금 추가적인 협상을 시도하면 양아치일까요? 채용 자체가 브레이크가 될지 걱정이긴 합니다. 조언 부탁 드립니다, 선배님들..
우루룰루 | PM·PMO(프로젝트)
22년 12월 28일
조회수
781
좋아요
2
댓글
4
금융/투자
주니어 커리어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곧 1년차가 되는 주니어입니다. 현재 미들에서 주문 백업무 등 다양하게 하고 있습니다. 지금 부서의 상황상 현재 직무에서 처음 입사했을 때와 하나도 다름없는 매일 똑같은 업무를 하면서 매너리즘에 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활동이 활발하고 열정적인 성격이라 기회가 왔을때 잡아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게 목표였습니다. 하지만 너무 같은 업무 반복에 마냥 기다리기만 하다가는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갈것 같지 않다는 노파심에 요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상반기 공채를 통해 프론트 신입으로 지원할 생각입니다. 계속 기회를 기다려 보는게 맞는 일일까요? 이제 막 시작한 금린이로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선배님들 조언 달게 받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liii1o | 법인금융영업
22년 12월 28일
조회수
2,643
좋아요
5
댓글
9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