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레터
리멤버 커넥트, 들어가 보셨는지요?
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취미생활
베타(물고기)와의 동거
3마리 각각 키웠는데, 두마리가 외출 한 사이에 점프해서 저세상에 간 후, 한마리는 입구가 좁고 높은 어항에서 키우고 있습니다. 동물을 엄청 좋아하는데 (은퇴 후에 동물원을 운영 생각 할 정도) 넓은 자연에서 자유롭게 활동해야 한다는 신념이 있어서 베타는 좁은 곳에서 만 잘 산다고 하여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한마리가 입양 할 때 보다 두배 가까이 커졌습니다. 어항 물의 누런 색이 영양제로 혼탁 된 겁니다 영양제 몇 방울씩 넣어주니 더 활발 합니다. 지느러미를 펼치면 아름다운데 얼마 전에 침대를 놔줬더니 누워서 나 올 생각을 안 합니다. 배가 고프면 점프를 합니다. ㅎㅎ
움직이는모든것 | 법인대표·CEO
22년 01월 03일
조회수
850
좋아요
7
댓글
6
회사생활
할일이 없을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제 3개월차 됬는데 일이 몰려서 들어와서 바쁠땐 엄청 바쁜데 요즘은 안바쁜 날이 많습니다 그래서 없는일도 만들어서 하는데 몇주째 이러다보니 만들어서 할일도 없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와다다 | 품질관리
22년 01월 03일
조회수
675
좋아요
0
댓글
4
이직/커리어
외국계 합격 여부 경험..
안녕하세요. 현재 외국계 2차면접까지 보고 왔는데요. 혹시 이런경험 있으시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외국계가 본사가 해외에있고 한국에는 ~~~코리아로 있는 상태입니다. ~~~코리아 담당자에게 듣기로는 한국에서는 합격컨펌하였으나, 본사의 컨펌이 필요해졌다. 본사가 현재 연말이라 컨펌까지 시간이 길어질것 같다 이러는데.. 이게 참 기약없이 1달이나 지났네요. 외국계 입사하실때 이런경험 있으신분 있나요?
도루렁 | 기계설계
22년 01월 03일
조회수
7,107
좋아요
21
댓글
38
이직/커리어
임원 퇴직 시 할일은?
1년간의 짧은 임원생활 마치고 퇴직합니다. 연임도 안되었고 저도 더 다닐 마음은 없어서 시원섭섭하네요 잠깐 재충전 하면서 향후를 생각해 볼 건데 혹시 퇴직전 챙겨야 할 사항이나 주의사항, 퇴직 후 재취업까지 어떻게 시간을 보내면 좋을 지 가이드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라퓨타2291 | PM·PMO(프로젝트)
22년 01월 03일
조회수
987
좋아요
1
댓글
3
회사생활
새해 첫 출근이네요
2022년이라는게 믿기지 않네요 ... ㅜㅜ 출근하니 조금 실감나는 것 같아요.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바세린바르기 | 백엔드
22년 01월 03일
조회수
509
좋아요
3
댓글
6
인사/HR
2022년도 최저임금은 9,160원입니다.
안녕하세요, 새로운 해의 시작과 함께 , 가장 현실로 닥쳐오는 최저임금 공유 드립니다. 올해 최저임금은 9,160원입니다. 일당으로 계산시(8시간) 73,280원입니다. 월급여는 1,914,440원입니다. 최저임금은 사업장 규모와 무관하게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팀장님 | 인사기획
22년 01월 03일
조회수
519
좋아요
8
댓글
3
PE/VC
IT 쪽 CTO 찾는 분 계신가요?
또는 미팅 할만한 커뮤니티 추천 부탁 드려요 궁금하네요 저는 대략... 개발 경력 약 7년 - 못하는 것 AI,블럭체인 관련 (공부 중) - 잘 하는 것 앱 웹 개발 관련 모든일 - 리드로써 경력 작은 조직만 운영함 - 관심 사업 예약 관련 블럭체인 마케팅 SAAS 서비스
몰랑이 | 풀스택
22년 01월 02일
조회수
1,182
좋아요
8
댓글
11
이직/커리어
콘텐츠 업계 경력 면접 복장 관련
보통 비즈니스 캐주얼로 깔끔한 라운드 니트에 슬랙스를 입었었는데 최근에 최종 면접을 본 곳에서 처음으로 복장 지적을 받았습니다. 면접이 끝나고 비즈니스 캐주얼로 입은 이유가 뭐냐고 하셨고 소신을 얘기했더니 남들은 정장을 입는데 굳이 이미지를 안좋게 만들 필요가 있냐고 다른 곳에 가게된다면 정장을 입으라고 충고를 하시더라고요. 그리고 최근에 경력으로 온라인 면접이 잡혔는데 정장을 입는게 좋을까요? 사실 저는 아직도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들이 평소에 입지도 않는 정장을 면접때 입어야 되는지 의문이네요. 인생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곰돌쓰 | 문화·예술기획
22년 01월 02일
조회수
1,225
좋아요
3
댓글
16
이슈토론
퇴사이후
퇴사한지 5개월이 지났습니다. 비자발적퇴사로 실업급여는 받고, 이제 퇴직금만 받으면 됩니다. 그리 큰돈이 아니라 주실줄알았는데 인정을 안하셔서 노동청에 신고하고 면담조사를 받은지 벌써 몇개월이 지났습니다. 조사 결과로는 퇴직금을 지급받는게 맞다고 판정을 받았는데도 아직도 인정을 못하는지 아직까지 안주고 버티고 있다고 합니다. 몇년이 지나거나 회사가 망하면 물거품이 된다는데 이런 경우 있으신가요? 사회초년생으로서 너무 속상하네요..ㅠㅠㅠ
다우웅 | 마케팅 전략·기획
22년 01월 02일
조회수
1,453
좋아요
0
댓글
5
이직/커리어
(고민) 과로로 인한 퇴사 그리고 퇴사 사유
역량 이상의 업무량으로 인해 과로사하기 직전 일단 회사를 나왔습니다. 이직할 때까지 버텨보려고 했는데 진심으로 살기 위해 퇴사부터 했습니다. 제 목숨은 소중하니까요. 어느 정도였냐면 3군데 각기 다른 과의 병원에서 이대로 가다간 죽을 수 있으니 제발 쉬라고 하더군요. 일 평균 수면시간 2-3시간이었거든요. 회사에도 이 부분 몇번 어필했지만 소용이 없더라고요. 살기 위해 나왔습니다. 이런 저런 스토리는 뒤로 하고 앞으로 새로운 직장을 알아봐야 하는데 퇴사 사유를 뭐라고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퇴사한지는 한달 반정도 되었습니다. 더 쉬어야 하는 상태라 당장 재취업을 할 것은 아니지만 이 고민이 풀리지 않아 마음 한구석이 계속 불편합니다. 영원히 쉴 것은 아니니까요. 과로사 할 뻔해서 나왔다고 하자니 과로를 시킨 시스템에 대한 불만or앞으로도 일이 많아지면 도망가겠네? 라고 할 것 같고... 몸이 안좋긴 하지만 큰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니 이것도 아닌 것 같고.... 하던 일 계속 하려고 하는거니 커리어에 대한 고민도 아닌것 같고.... 퇴사 상태를 숨기자니 어차피 서류 떼면 다 나올거고, 양심상 그러기도 싫어 생각도 안하고 있습니다. 한 달 넘게 짱구를 굴려봤는데 적당한 사유가 나오질 않아 괴롭습니다.. 이럴 땐 어찌해야 좋을지 선배님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사람이되고싶다 | 온라인MD
22년 01월 02일
조회수
8,687
좋아요
28
댓글
37
회사생활
경력직 추천 입사 후 부서 이동 문제
지인의 추천으로 현재 회사에 합류한지 2주 정도되어 온보딩 중입니다. 기획 분야이고 회사는 대기업 규모입니다. 내부 추천으로 급하게 오게되다보니 채용 사이트 같은 곳을 통해 지원한게 아니라서 내부 사정을 잘 모른채 들어오게 되었는데 들어와서 보니 현재 팀의 직무가 제 커리어와 약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대신 다른 팀에 제 커리어에 딱 맞는 직무가 있고 현재 그쪽도 채용중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이젠 경력도 적지않아 지금와서 커리어 꼬이는 테크트리를 탈 순 없을 것 같아서 인사부서에 위 내용으로 상담을 했고 다행히 제게 맞는 부서의 포지션으로 다시 면접을 보자고 안내를 받았습니다. 이 상황에서 현재 팀의 팀장에게 저는 사실대로 제 상황을 이야기하고 이제 갓 입사했는데 이런 문제가 있으니 어정쩡하게 시간끌거 없이 차라리 빨리 다른 팀으로 가려고 한다는 의사를 미리 전달하려고 하는데요. 제 상황을 아는 몇몇분은 혹시 모르니 일단 다른 팀으로 가는게 확정되고 난 후 이야기를 하는게 어떻냐고 하시네요. 저는 사실 다른팀으로 갈 마음도 확실하고 현재 팀에 괜히 시간들여 더 숨겨봤자 이 팀 계획과 업무에 차질만 빚고 더 폐가 될것 같아 미리 말하려고 했는데요. 다른 분들 보시기엔 어떠신지 궁금해서 여기 문의드려봅니다.
아리가또 | PM·PMO(프로젝트)
22년 01월 02일
조회수
1,064
좋아요
2
댓글
2
마케팅
스타트업에서 사수없이 일하는 중인데 실무 관련 질문하고 싶습니다 ㅠㅠ
마케팅 관련 일은 처음이고 반년 정도 일했지만 사수도 없고 제가 부족함이 많아서 아직도 어떻게 일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번에 유튜버와 이커머스 관련해서 계약을 따내려 하는데 mcn 역할 비슷하게 유튜버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것 같아요 그런데 이커머스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모르겠고 유튜버와 판매자를 직접 이어주는 사이트도 많은데 우리 회사에 대행을 맡기려면 그만큼 장점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회사에서도 처음 시도 하는거라서 기존 사례도 없고 굳이 우리 회사랑 했을때 메리트가 뭘지 도저히 생각이 안 나서 머리가 아프네용 혹시 mcn에서 일하시거나 유튜버와 커머스 혹은 광고 진행해보신 분들 저에게 조언이나 어떻게 일 하시는지 알려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할 것 같아요 ㅠㅠ
살려주세요젭알 | 기타 마케팅직
22년 01월 02일
조회수
774
좋아요
3
댓글
7
회사생활
출근 전 입사에 필요한 서류 및 채용검진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사팀에 계시거나 아니면 입사절차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현재 최종 합격, 출근 일자 및 장소까지 통보받고 곧 출근 예정인 신입입니다. 그런데 해당 회사에서 저에게 최종 합격 통보를 하고 한 달 가까이 지났는데 출근 전에 준비해야 할 서류와 채용검진에 대한 내용들을 따로 전해주지 않았습니다. 합격한 회사가 작은 회사도 아니어서 기본적인 것들을 다 할 것 같은데 그래서 제가 궁금한 것은 3가지입니다. 1. 출근 전 대부분 회사는 필요한 서류를 통보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출근 후 말해주는 회사도 있나요? 2.채용검진을 모든 회사가 하지는 않나요? 채용절차 상에는 따로 건강검진이 없긴 했습니다. 3.제가 인사팀에 따로 연락해서 물어봐도 괜찮을까요?
kjh88 | 기타 설계·엔지니어링
22년 01월 02일
조회수
1,706
좋아요
0
댓글
3
건설/건축
기술서비스업->건설업 으로 변경시 신경써야할 점
현재 사업자등록증 주종목이 기술•과학 서비스업 입니다. 부종목이 건설업이고요. 면허없는 소규모 공사 입니다. 국세청 신고되어있는 주종목이 공사를 설계대로 제대로 했는지 촬영, 검측하는 일인데요. 공사 마지막 끝날깨쯤 들어가다 보니 불량, 파손등이 발견되었을때 이미 시공팀 빠져서 저희가 재시공, 보수를 진행해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건설업쪽의 일이 더 많아저서 일당, 인건비, 매출등이 부종목 건설업쪽으로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종목을 건설업으로 변경하고자 하는데요. 국세청에서 건설업 업종이 기본 공제가 더 많다고 들어서요. 건설업으로 변경시 경리, 노무 쪽에서 더 유의해야할 점이 무엇이 있을까요?
친절도 경쟁력 | 영업관리·지원
22년 01월 02일
조회수
1,212
좋아요
6
댓글
3
인사/HR
총무가 해야 할일
이제까지 조그만한 회사에 다니면서 여러일을 하다가 대기업 산하에 취업 했는데 총무라고 합니다 총무가 해야 하는 일이 먼가요 어렵네요 기존 회사에서 하던일에 비하면 할일이 없고 빈둥빈둥 노는거 같아서 눈치 보여요 대충 비품관리 물건 구입 이런건 알겠는데 회계직원 인사 당담도 따로 있어서 그전에는 전부 같이 했는데 할일이 너무 없어 눈치가 보이네요 총무직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전에 다니던 회사들은 다 총무 가 잡부라 이거저것 다했는데 할일이 없어 고민 입니다
잡일꾼 | 총무
22년 01월 02일
조회수
2,487
좋아요
11
댓글
6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