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연봉 동결은 처음인데...1년 더 다닐까요 이직준비할까요
올해 초 이직하여 현재 이직 1년 되었습니다. 이직하면서 당시 연봉보다 천만원 정도 올려왔습니다 (전 직장이 워낙 낮은편이여서) 이직 직전 팀장 직책(직급은 대리) 달았고, 이직처 최종 입사일 2개월 뒤가 연봉 갱신협상 및 성과급 (100만원 가량), 연봉 외 현금성 복리후생 (약 200만원) 정도 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인상은 400~500정도 되었다고 볼 수 있네요. 퇴직 의사 밝혔을때 맞춰준단 연봉 생각해보면 성과급 복리후생 합쳤으면 급여는 거의 동일했을거 같지만 이미 이직준비를 했다는 사실이 회사에 알려진 것과, 그쪽 근무 분위기를 버티기 힘들어서 (조직개편으로 근무지지역이 변경됨) 나왔어요 그쪽 기준 3개월뒤 연봉협상인데 그때가서 말 바뀔 수도 있고 본부장은 올려준댔지만 대표이사는 승낙하지 않았을 거 같구요 이직한 회사는 솔직히 엄청 편합니다. 터치하는 사람 없고, 칼출근 칼퇴근 연차 사용 자유롭고요 근데 배울게 없고, 발전이 없어요. 더 배우고 싶고 한데...너무 쳐지더라구요 인사팀의 권한도 없고 (경영진이 처리해야될일이라고 선넘지 말라함) 전 직장은 회사의 중요업무는 다 저에게 공유되고, 의사결정권이 높게 반영되었어요 지금 직장은 제가 알고 있는 업무 영역은 엄청 넓지만, 현재 하는 일은 거의 쥬니어급이에요 그리고 코로나로 회사 사정이 올해 정말 안 좋아져서 예정되어 있던 주4일제도 엎어지고요 내년 연봉 동결될 것 같습니다. 내년에 매출이 잘 나오면 보상한다고 하는데.. 더 나빠질 지 알 수 없는 상태구요 연봉 동결하기는 미안한지, 근무시간을 줄이자는 얘기를 하시긴 했는데.. 직장생활 10년만에 연봉 동결은 처음이에요.. 그래도 월급 10만원 정도는 더 오를 줄 알았는데.. 동결이면 그냥 다른 회사 알아보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경기도에서 서울로 이직하면서 한달에 내는 주거비도 2.5배 정도 올라서 실질적인 실수령 금액은 똑같네요. 연봉을 높여 왔으니 1년 정도는 더 기다려보는게 나을지.. (이직 준비 안하고 쭉 다녔으면 전 직장 기준 4년뒤에나 받을 연봉이였어요)
린이린유
21년 12월 23일
조회수
5,694
좋아요
5
댓글
5
대표적인 퇴사신호
안녕하세요, 대표적인 퇴사 신호 5가지라고 합니다. 1) 회사를 가는게 두렵다 2) 부정적인 사람이 되었다 3) 회사에서 나의 미래가 없다 4)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5) 직장동료와 어울릴수 없다 여러분들은 여기에 혹시 해당되시나요? 과거 경험을 보면 이런적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네요..
팀장님
21년 12월 23일
조회수
16,569
좋아요
141
댓글
54
대출규제에 분양상담사일도 점점 힘들어지네요
내년부터는 DSR 규제로 주거형 오피스텔도 대출규제에 포함된다 점점 부동산업은 힘들어지고 주위 부동산은 묻을닫는다 내년부터는 어떻게..
송영민팀장
21년 12월 23일
조회수
645
좋아요
5
댓글
3
사수역할 언제까지 해야되나요.....
4년 넘는 시간동안 어떤분의 사수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사람의 특은 찰가머리인데요. 항상 뭐든지 혼자서도 해도 될일을 저에게 의논하고 의지힙니다 일이든 회사생활이든 사생활이든 말 그대로 뭐든지요 0부터 10까지, a부타 z까지요. 그것도 본인 기분 안나쁘게 말투 "친절" 하게요... 곱게말하면 본인이 위라고 생각하고 안하무인이 되고요 본인 기분 조금 나쁘다싶으면 엄청 분기탱천합니다 4년동안 계속 옆자리인데 저도 지치고요. 팀장님에게도 말씀 드려봤지만 협업 결과를 고려해서 그렇게 한다는 답변만 얻었습니다. 이거 여기 다니는 동안에는 계속 이사람과 이렇게 해야되나요?ㅠㅠ
으이구
21년 12월 23일
조회수
2,178
좋아요
5
댓글
19
PO란 뭘까요?
현재 금융사 프로젝트를 맡고있는 주니어입니다. PMO로써 기획,계획 관리 업무를 수행합니다. 원래는 채널단 개발업무를 하다 이직을 했는데 현재는 프로젝트 전반 관리 및 외주사 계약 및 인력관리, 여러 팀간에 기획 조율, 타 부서와 이슈사항 체크 및 해결 등 업무를 하며 같은 부서에 앱개발,서버개발자를 비롯해 UIUX디자이너,마케터,서비스 기획하시는 분들이 함께 있어서 많은 영역의 다양한 관점과 업무를 배우고있습니다. 최근 궁금함이 드는것이 최근 테크,스타트업에서는 PO라는 직무가 많이 제안이 오던데 PO는 PM과 어떤면에서 다르고 PO라는 직무에 업무영역과 이직시 어느부분을 강조해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할지 모르겠어서 선배님들께 질문드립니다.
자리있는3호선
21년 12월 23일
조회수
2,970
좋아요
11
댓글
14
이거 한번 봐 주세요
이게 어떤 차이와 효과가 다른가요
초보설비인
21년 12월 23일
조회수
1,449
좋아요
1
댓글
8
7800이면 어느 정도인가요?
네카라쿠배는 신입개발자가 7000넘는다는 말도있고.. 어느정도수준인질 잘 모르겠네요
한오
21년 12월 22일
조회수
3,654
좋아요
1
댓글
13
cctv가 많은 회사
동기와 카톡을 하다가 동기가 회사에 cctv가 많으니 조심하자고 하더라고요. 실제로 대표가 cctv를 보고 근태를 점검한 적도 있다고 하고요. 의식하고 둘러보니 거의 직원수만큼 cctv가 있습니다...업무공간에 6개, 탕비실에 하나, 회의실에 2개, 구석 공용공간에 2개...제가 못찾은것도 더 있을거 같아요 보안용이라고 하기에는 과할정도로요. 사각지대하나없이 있는데 이거 괜찮은건가요?
jeniffer
21년 12월 22일
조회수
1,235
좋아요
5
댓글
12
수습기간 1개월 계약서 명시
수습기간 1개월로 근로계약서 명시는 되어 있는네 법적으로 따질때 명시된 1개월 수습기간으로 보는지 아님 법적 수습기간 3개월로 보는게 맞는지요?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면 2개월 재직기간인데... 권고사직으로 한달 급여 더 받을 수 있나요?
희야야
21년 12월 22일
조회수
879
좋아요
0
댓글
5
공자님 말씀을 생각해 봅니다
공자 멈추지 않는다면 아무리 천천히 가도 문제가 되지않는다. 인내심과 끈기의 중요성을 말 하는것 같군요
집단지성
21년 12월 22일
조회수
425
좋아요
4
댓글
2
중대재해 처벌법이 시행('22.1.27.)된다는 데 ... 🤔
기관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는 (처벌을 피할수 있는) 대응방법이 궁금해집니다. 소 잃기전에 외양간이라도 고쳐놔야 면피할 수 있는 것인가 싶기도하고 ... 1호 케이스는 되지말아야 될텐데 ...
모딜리아니
21년 12월 22일
조회수
356
좋아요
1
댓글
3
이직이 별거 아닌 요즘 세상에...
성과급 시즌이 다가오니 퇴직예정자의 입장에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직전 년도 경영성과에 대한 노고에 보답하는 개념으로 지급하는 비용을 재직중이지 않다는 이유로 줄 의무가 없다고 생각하는 회사나 요구할 엄두도 내지 못하는 기/예비퇴직자들의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1년 만근자로써 저도 좀 억울하네요.. 한달차이로 1년치 보상이 받는자와 못받는자가 나뉜다는게ㅎ
elice
21년 12월 22일
조회수
1,587
좋아요
1
댓글
9
상품 매입시 담당 부서는?
신사업을 인수하였는데, 국내에서 상품을 매입하여 매출을 하는 신규 업무 프로세스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상품 매입을 하는 부서는 성격상 어디가 맞나요? 구매는 원재료가 아니라서 자기네들은 아니라고 하고요(저희 구매는 원재료와 공사설비 구매만 주로 합니다) SCM은 입고후 생산투입이 일어나지않는 형태여서 그쪽도 담당자가 아니라고 합니다. 마케팅은 엄연히 매출행위가 아니어서 자기네들도 담당이 아니라고 하고요 상품은 매입후, 바로 매출하는 구조이고, 당사는 제조회사입니다 이경우 타회사는 상품 매입 관장 부서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스마트 scm
21년 12월 22일
조회수
637
좋아요
0
댓글
7
상품 매입시 담당 부서 문의
신사업을 인수하였는데, 국내에서 상품을 매입하여 매출을 하는 신규 업무프로세스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상품 매입을 하는 부서는 성격상 어디가 맞나요? 구매는 원재료가 아니라서 자기네들은 아니라고 하고요(저희 구매는 원재료와 공사설비 구매만 주로 합니다) SCM은 입고후 생산투입이 일어나지않는 형태여서 그쪽도 담당자가 아니라고 합니다. 마케팅은 엄연히 매출행위가 아니어서 자기네들도 담당이 아니라고 하고요 상품은 매입후, 바로 매출하는 구조이고, 당사는 제조회사입니다 이경우 타회사는 상품 매입 관장 부서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스마트 scm
21년 12월 22일
조회수
386
좋아요
2
댓글
5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