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건설사 (로컬) 시공관련 직원 2년차정도 급여가 어떻게 될까요?
제가 다니는 회사가 현재는 시행관련 일을하는데 내년에 종합건설을 추진 중엤습니다 일단 직원을 찾고 있는데 급여를 어느정도 해야되는지요 자격증은 초급 이상 이구요 완전 로컬 입니다
건설매니저
21년 12월 20일
조회수
1,921
좋아요
6
댓글
9
기념품 안 줘도 된다! 그래도 꼭 주고 싶다면? 좋은 기념품의 3가지 조건
좋은 기념품의 3가지 조건
GWBC 마케팅
21년 12월 20일
조회수
381
좋아요
4
댓글
0
골프 쳐야 할까요?
건축사는 건축을 모른다 하고 변호사도 법을 모른다 하는데 골프 얘기 만 나오면 서로 자화자찬 입니다. 일 하려면 골프장에 가서 살아야 한다네요. 골프장에서 만난 인연으로 중견기업으로 성장 했다는 분들도 계십니다. 골프 실력이 영업력 이라는 기업 오너들도 많습니다. 골프 쳐야 할까요? // 저는 골프를 20년 전 부터 쳤지만 안 칩니다. 땀 흘려 운동하는거 좋아 하는데 운동도 안되고 하루를 통으로 버리게 되서 돈도 돈이고 이동 시간과 여러가지가 소모로 느껴집니다//
움직이는모든것
21년 12월 20일
조회수
9,898
좋아요
64
댓글
102
요즘 IT 기획자분들 어떻게 자기 계발하시나요?
완전 초기엔 책도 보고, 패* 등 강의도 듣고, 다른 서비스 정기적으로 살펴보고 정리했는데… 능력이나 역량이 정체된 느낌이 들어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돌파하시나 궁금하여 짧게 글 적습니다.
007008
21년 12월 20일
조회수
1,941
좋아요
16
댓글
12
사이닝보너스 유효 요건
안녕하세요, 요즘 사업장에서 자주 쓰시는 사이닝보너스(Signing Bonus)의 유효요건에 대하여 간단히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사이닝 보너스와 관련된 법적 쟁점은 주로 이 금액을 (1)이직금지/전속근무 약정으로 볼 수 있느냐 아니면 단순 (2)이직보상/근로계약 체결에 대한 대가로 보느냐의 이슈입니다. 특히 근로기준법상의 위약금, 손해배상액 예정금지 조항이 있기 때문에 단순 이직사례금으로 판단시 약정을 무효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기준은 다소 복잡한 부분이 있으나, 법원의 기준을 정리하면, 1. 우선, 계약체결 동기 및 당사자의 의사 종합적 고려합니다. 2. 세부적으로 계약서에 (1)특정기간동안 전속근무를 조건으로 지급하다거나, (2)기간 중 퇴직하는 경우 반환한다는 취지의 문구 기재 여부 종합적 고려 합니다. 대표적 판례로 대법원 선고 2012다55518 판례의 경우, 계약서 상에 반환약정 문구가 없었기 때문에 회사의 반환청구가 기각되기도 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유효성 인정을 위한 요건을 설명드리면, (1) 계약서 상에 의무재직기간 미달 시 금액 반환하여야 함을 명확히 기재할 것 (2) 3년을 넘는 장기의 의무재직기간을 두지 않을것 (보통 2년 이하가 적당) (3) 재직기간과 무관하게 전액을 반환할 것을 약정하지 않을것 (손배예정으로 볼 수 있음) > 퇴사시점 까지 근로한 기간을 공제한 금액 반환 할 것 두서 없이 설명드렸으나, 일선에서 사이닝보너스 계약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팀장님
21년 12월 20일
조회수
2,059
좋아요
12
댓글
3
은행 전문계약직 vs 중소기업 정규직
은행 전문계약직 장점 일이 편함 단점 연봉 잘안오름 일년에 2~3 승진없음 정규직 나이어린 직원 일떠밀기 독자적으로 일추진 어려움 중소기업 정규직 장점 전문계약직보다 연봉 1,500만원이상 팀장급 독자적으로 자율적으로 업무진행가능 단점 업무가 많음 둘중에 택하라면 어떤게 나으려나요?
샤요
21년 12월 20일
조회수
1,912
좋아요
1
댓글
3
해외영업?
안녕하세요. 커리어제안이 와서 거절은 했는데 계속 고민되서 올려봐요ㅎㅎ 저는 작은 회사에 입사에서 뭐... 상여금이니 뭐니 아무것도 없는 회사에서 2년차 된 사원입니다. 업무는 수입위주 관리구요 영어보단 중국어쪽으로 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저희 부서는 중간 관리가 없구요 상여금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어요.... 커리어 제안 온데는 수출관련인데 주로 한 업무가 수입이고 부서가 해외영업이라 성격이 좀 소심하다보니 고민이 많이 되네요.. 해외영업은 주변에서 많이 헬이라고해서... 근데 회사가 저희 회사보단 복지가 좋고 연봉도...ㅎㅎ 할수있을때 헬을 경험을 하는게 나을지 (지금도 헬이지만...) 아무튼 고민이네요... 무역관련 일을 하니 수출도 배워보는게 좋을거같아서
신입직딩이
21년 12월 20일
조회수
703
좋아요
0
댓글
3
국민연금에 대하여
연금 개혁 어쩌구 말이 많은데 생각해보면 연금은 사회보장제도로 출발했는데 요즘보면 재테크로도 괜찮다고 하면서 지역임의가입도 홍보하는데 수익률로 보면 개인연금보다 나아보이지만 연봉이 올라갈수록 상한이 정해져있어 별로 와닿지 않는 문제가 있죠. 저임금은 단돈 몇만원도 아쉬운데 까마득한 미래를 위해 내는게 아깝고. 그래서 차라리 지금과 달리 상한을 없애거나 높여서 고액연봉은 재테크 성격을 보완하고 저임금은 고용보험과 연계해 실업이나 특별한 사유(생계곤란) 등에는 일부 지급을 하는게 어떨까 싶네요 아니면 해외처럼 국민연금을 주택구입에 사용하고 주택연금과 연계하든가 지금처럼 더 내고 더 받느니 머니 하는 1차원의 개혁으로는 국민을 설득하긴 어려울텐데 알면서 그러는건지 아니면 관료들이 몰라서 그러는지
늙어지면못노나니
21년 12월 20일
조회수
636
좋아요
1
댓글
3
올해 초 연봉협상이 아직 반영 안 됐습니다...
글로벌 회사의 한국지사에 재직중이고 올해 2월 연봉 협상을 했는데 아직도 반영이 안 됐습니다. 제가 입사한 이후 올해 매출이 제일 좋았으나 본사 컨펌이 안 났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반영이 안 되고 있어요. 심지어 연봉인상 계약서도 안 썼었고 여러번 요구 끝에 다른 대상자들 몰래 저만 써줬습니다. 저는 올해 승진했기 때문에 인상률은 다른 때보다 높고 작년보다 더 많은 깊이 있는 일을 했다 자부할 수 있습니다. 제가 재직하고 있는 동안은 기다리는 것 밖에 별다른 방법은 없는거죠?ㅠㅠ 인상이 안 된채로 퇴사하면 소급분은 받을 수 있나요? 계약서 상에는 컨펌나는 시점에 3월분부터 소급해주겠다라고 명시되어있는데 이게 제가 퇴사한 후에도 유효한건지 궁금합니다..
작고귀여운내월굽
21년 12월 20일
조회수
1,561
좋아요
0
댓글
4
10년차 커리어..걱정
비전공 회계인으로 중소기업에서 닥치는대로 일하며 10년을 보내 왔습니다. 자격증 취득과 병행한 공부, 비정기적 교육 등으로 배운 회계 지식은 K GAPP기준에선 부족하지 않지만 상장사 회계기준인 IFRS에선 기초 회계지식의 얕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메워야 할지 막막하네요 늘 비슷비슷한 회계처리만 해오다보니 조금 응용이 들어가면 어렵게 느껴집니다. 아무래도 회계학과 4년 나온 사람들과는 차이가 많이 나지 않을까 싶고..회계학과 대학 등록해서 공부해야 하나 어째야하나..생각만 많네요 어떤 과정을 좀 더 공부하거나 이해하면 될지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프시케
21년 12월 19일
조회수
1,592
좋아요
9
댓글
7
부동산 증권사 PF 대형사 vs 중형사 이직
부동산 개발 업계 만3년 경력 입니다 두 곳 다 영업력좋은 부서임을 감안 할 때, 네트워크나 업무 배울 수 있는 측면에서 어느 곳이 커리어 path로서 더 적합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젊을 때 고생해야하지않나하는 생각도있고 대형사는 확실히 들어보니 영업압박이나 이런건 덜하고 조직 부서가 크고 사람들이 많은 만큼 많은 경력의 다채로운 사람들이 있는 듯 하였습니다 중형사는 조직부서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대형사만큼 1군시공사, 시행사 등과 일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은듯 하였습니다. 고견부탁드립니다
코코낸내로
21년 12월 19일
조회수
1,394
좋아요
2
댓글
3
인하우스 마케터 직무 변경 가능한게 있나요?
스타트업 마케터 5년차 입니다. 인하우스 마케터로 주로 퍼포먼스, 디지털, 콘텐츠 쪽 마케팅을 담당했어요. 마케터에서 기획 PM(앱 서비스) 직무로 바꾸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PM이 어렵다면 경력을 토대로 바꿀수 있는 직무 추천 좀 부탁드려요!
1ilIllI
은 따봉
21년 12월 19일
조회수
945
좋아요
1
댓글
3
대체상품팀에서 하는일
직무내용이 대체투자상품검토.운용 및 관리 구조화상품 딜소싱 및 마케팅 사모펀드 투자.실사.운용및관리 인데 상품팀에대해 솔직히 증권사 현직이 아니라 자세히 모르겠습니다 ib나 운용에서 다루는 업무와 연관이 있는 부서인가요? 직무내용만본다면 비슷한업무 하는것 같아보이는데
mms01
21년 12월 19일
조회수
1,936
좋아요
1
댓글
7
종이포장재 시장 이직고민..! 잘 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이번에 최종면접에 합격해서 기존 다니던 화학계 기술영업에서 종이포장재 산업으로 이직을 하려고 준비중입니다! 두 회사모두 외국계 기업입니다 😄 아예 다른 산업군으로 가는데도 이직하려는 기업에서 기존 기술영업 경력을 전부 인정해주었고, 새로운 산업과의 시너지적인 측면도 많이 고려해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기존 기술영업은 제품군이 프리미엄에 가까워 나름의 정체성이 뚜렷했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직하려는 기업은 조금더 시장 및 가격경쟁에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 가치를 파는 기술영업임은 동일하지만 막상 새 산업군으로 가려니 설레임도 있지만 잘할수있을까 하는 두려움도 앞서네요..!! 기술영업 경력 2년에서 3년차 넘어가는 시점이고, 스스로 회사내에서 성장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가고싶어서 옮겨가려고 합니다. 지금 회사는 업무강도가 너무높고, 차부장급이 전체의 70~80%라 관리자만 많다는 느낌입니다. 누구나 숟가락만 얹고싶어하는...; 새로 이직하는 기업은 기업규모는 좀 작지만 기업문화는 면접때 느끼기에 더 자유롭고 열정적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전반적으로 마음에 들지만 산업군이 가격경쟁으로만 치열할까싶어 불안하긴 하네요.. 동종산업군에 계시는 선배님들이 있다면 조언한말씀 부탁드립니다 😃!
인더월드
21년 12월 19일
조회수
1,003
좋아요
1
댓글
8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