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보스>
리멤버 회원분들께 150석 쏩니다🍿
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회사생활
CEO 준비
매번 앞으로의 삶에 대한 선택지로 고민이 많았는데 최근엔 어떤 전문성을 또 새로 만들어두는게 좋을까 고견을 구하고 싶습니다. 부자가 되는 방법은 창업, 투자 두가지라 생각하고 준비와 공부, 실행 시스템은 계속 만들어가고 있고 업무 경험도 개인사업자 및 스타트업 수준으로 사업 전반 경험을 많이 하고 있는데요. (물론 지금 속해있는 회사에서입니다) 인생의 여러가지 선택지 중 대기업 전문경영인 되기 라는 선택지를 준비한다면 대졸자라는 출신만으론 분명히 한계가 있겠더라고요. (불가능하다는 뜻이 아니라 경쟁을 뚫기가 훨씬 치열하다는 뜻입니다. ) 전문경영인들마다 스펙과 자기 전문성은 다르겠으나 전략, M&A, 재무, 회계, 사업 관리, 마케팅, 인사 등 사업 전반을 두루두루 꿰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간의 업무 경험으로만 저 모든걸 다 채운 사람이라는걸 증명하기도 쉽진 않은 것 같아요. (스페셜한 제너럴리스트 수준의 역량을 갖췄다고 하더라도요) 지금 속한 소속 회사에서의 다양한 사업 경험을 통한 경영자 준비나 컨설팅 펌, 스타트업 등 직무 전문성의 변화 외에 지금 속한 회사를 다니면서 준비 할 수 있는 추가 이력은 무엇이 있을까요? 저는 휴직 후 해외MBA 외엔 잘 떠오르질 않아 선배님들의 고견을 구합니다.
건오
억대연봉
 | 사업전략·기획
23년 03월 19일
조회수
827
좋아요
2
댓글
3
IT 엔지니어
인증 확인용
맞을까용
elnvvvm
억대연봉
 | 기타 AI·데이터
23년 03월 19일
조회수
176
좋아요
0
댓글
0
이직/커리어
이직 알아볼까요 ? 말까요…
대기업 임원하다 짤려서 하드웨어 만드는 중소기업 임원으로 왔습니다. 연봉도 줄고 차도 안주고…근데 업무는 전보다 맘에 듭니다…회사가 작아서 그런지 더 인정해주는 것 같고… 근데 오너가 좀 자기만의 세상에 사는 느낌…우리의 경쟁상대는 삼성이 아니라 구글이다 같은…챗GPT는 우습다 우리가 곧 이를 뛰어넘는 걸 만들거다 ㅠㅠ …다른 정상적 사고를 가진 곳으로 가야할까요? 아님 그냥 당분간 있어야할까요?..어디가도 다 똑같을 거 같기도 하고…그래도 좀 이성적 사고를 하는 곳에서 일해야할 것 같기도 하고..
그남자들
억대연봉
 | 영업 전략·기획
23년 03월 19일
조회수
1,633
좋아요
4
댓글
14
이직/커리어
삼성전자는 얼마나 받나요?
제 나이 28살에 연봉은 초과근무/복지포인트 미포함 가정하에 4500정도입니다.(포함시 5천) 지방공기업이고 광역시내에서 3년마다 순환합니다. 근데 공기업 특성상 연봉상승이 적어서 연봉이 1년에 100만원씩 오릅니다. 40살돼도 진급 가정하면 6700정도 받을 것 같습니다 근데 상승률이 적긴해서 삼성전자 이직을 생각중인데 기계과라 삼성전자가도 설비밖에 못가나요? 나이가 30살 되기전에 계속 시험볼 예정입니다. 설비가 힘들다는건 듣긴 했는데 연봉은 어느정도 받나요?
고추바사삭치킨 | 산업안전관리
23년 03월 18일
조회수
1,465
좋아요
0
댓글
4
회사생활
삶을 바꾸고 싶다면, 이직보다 OO을 해보세요.
2023년 새해가 된지 벌써 3개월 째입니다. 작년 보다는 더 나은 나날들을 보내고 계신가요? 올해에는 다른 해와 그 시작은 조금 달라보였습니다. 2023년 임을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달력을 샀고 30일 동안 원하는 목표를 이루게 도와주는 체크리스트도 처음 샀습니다. 1월 한 달 동안은 효과가 있었습니다. 목표를 적었고 실천 했습니다. 하지만...예상대로 원래 저의 모습으로 돌아왔어요. - 삶을 바꾸고 싶다면 ‘여행’을 떠나보시는 것 어떨까요? 최근 동남아 여행을 다녀오고 다시 마음을 잡고 일찍 일어나기 등의 루틴을 지키기 시작했는데요. 여행을 추천하는 이유는 “평소와 다름”을 여러 방면에서 경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여행 준비 단계 -회사에 휴가 이야기를 하는 것 부터 누군가에겐 나름의 도전 일 수 있습니다. 분위기상 휴가 얘기를 꺼내는게 어렵거나, 스스로 하던 일을 잠시 중단해야하는 어려움을 이겨내야하니까요. 미리 많은 일을 해놔야 하거나 다녀와서 쌓여 있는 일을 감당해야하는 상황은 모두가 겪게 될 것이고요. -새로운 나라에 가는 것은 최소한의 준비를 필요로 합니다. 항공권, 숙소 등 잘 모르는 지역의 정보를 알아보고 계획형이라면 미리 여행루트도 짜야할지 모릅니다. 2/ 여행 하면서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다르게 살아가는 사람을 보면서 평소에 하지 못했던 생각을 하게 됩니다. -같은 공간에서 일을 하지 않고 계속 걸어다니거나 관광을 하며 ‘쉼’의 시간을 갖게 됩니다. -반복되는 일상에서 탈피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아침에 일어나기 어렵거나 몸의 피로는 여전할 수 있지만요. 그럴 땐 동남아 마사지를 추천합니다!) -- 사람이 변화되기 위해서는 자주 만나는 사람과 공간을 바꿔야 한다고 합니다. 어쩌면 그러한 이유로 다들 이직을 꿈꾸고 시도하는지도 모릅니다. 일단은 이직보다는 여행을 한번 다녀와보시는 것 어떨까요? 반복되고 지겹게 느껴졌던 일상이 다르게 보이고, 내가 이상적으로 느끼는 루틴을 찾게 되는 계기가 될 지도 모릅니다.
김이레 | VESSL AI
23년 03월 18일
조회수
2,961
좋아요
15
댓글
2
금융/투자
gva자산운용 어떤 회사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업계 내 위치, 복지나 연봉이 어떨지 궁금합니다. 특히 백오피스 쪽이용 구글링 해도 정보가 많이 없네요ㅠㅠ
바밤밤 | 국내공인회계사
23년 03월 18일
조회수
3,413
좋아요
7
댓글
7
이직/커리어
리멤버 지원? 홈페이지 지원?
대기업 공고가 리멤버, 회사 홈페이지 둘 다 올라왔는데 어디로 지원해야 유리할까요? 상관없나요? 리멤버는 경력 기술 사항 글자 수 제한이 없어 디테일하게 쓸 수 있는 반면 홈페이지는 글자 수 500 제한으로 간단하게 기재해야 하는 점 때문에 고민 입니다.
빠라삐리뽀 | 마케팅 전략·기획
23년 03월 18일
조회수
630
좋아요
2
댓글
2
이직/커리어
UXR이 되기 위해 필요한 책 3권 추천
챗 GPT에게 UXR이 되기 위해 필요한 책 3권 추천을 받아봤습니다. 1. "Just Enough Research" by Erika Hall "에리카 홀의 '충분한 리서치'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위한 사용자 리서치 수행을 위한 실용적인 가이드입니다. 이 책은 성공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와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설문조사, 인터뷰, 관찰, 테스트 등 다양한 리서치 방법을 다루며, 주어진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또한 참가자를 모집하고, 연구 세션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분석 및 종합하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책 전반에 걸쳐 홀은 사용자 연구를 수행할 때 공감과 호기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녀는 디자이너가 사용자 경험에 대한 더 깊은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개방형 질문을 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하며, 열린 마음을 유지하도록 권장합니다. 요약하자면, '충분한 리서치'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위한 사용자 리서치를 수행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접근하기 쉬운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공감과 호기심을 강조하는 이 책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솔루션을 만들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2. "Observing the User Experience" by Elizabeth Goodman, Mike Kuniavsky, and Andrea Moed "엘리자베스 굿맨, 마이크 쿠니아브스키, 안드레아 모에드가 쓴 '사용자 경험 관찰하기'는 사용자 연구와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입니다. 이 책은 현장 연구, 설문조사,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 등 다양한 연구 방법과 기법을 다룹니다. 저자는 성공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경험과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리서치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방법, 데이터를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법, 연구 결과를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또한 사용자 페르소나와 시나리오를 만드는 방법과 이를 사용하여 디자인 결정을 내리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책 전반에 걸쳐 예제와 사례 연구를 제공하므로 모든 수준의 디자이너와 연구자에게 유용한 리소스가 될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사용자 경험 관찰하기'는 사용자 연구와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대한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가이드입니다. 사용자의 경험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이 책은 제품 및 서비스 디자인에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유용한 리소스입니다. 3. "Interviewing Users: How to Uncover Compelling Insights" by Steve Portigal "사용자 인터뷰: 사용자 인터뷰: 설득력 있는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방법"은 연구 및 디자인 목적으로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뷰를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북입니다. 이 책은 사용자 인터뷰를 준비, 수행 및 분석하기 위한 실용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공감과 적극적인 경청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사용자와의 관계 구축, 올바른 질문하기, 까다로운 인터뷰 대상자 다루기 등의 주제를 다룹니다. 포티갈은 주도적이거나 편향된 질문보다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야기와 경험을 자신의 말로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질문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또한 인터뷰 데이터를 해석하고 종합하여 디자인 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할 수 있는 팁도 제공합니다. 책 전반에 걸쳐 포티갈은 자신의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실제 사례와 사례 연구를 제공하여 다양한 디자인 및 연구 프로젝트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반적으로 '사용자 인터뷰하기'는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뷰를 수행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유용한 리소스입니다. 실용적인 조언, 공감과 적극적인 경청에 대한 강조,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이너, 연구자 및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유용한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아울러 추가적으로 더 다른 책들 7권도 추천받아봤습니다. 4. "Designing with the Mind in Mind: Simple Guide to Understanding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by Jeff Johnson 5. "Quantifying the User Experience: Practical Statistics for User Research" by Jeff Sauro and James R. Lewis 6. "The User Experience Team of One: A Research and Design Survival Guide" by Leah Buley 7. "Handbook of Usability Testing: How to Plan, Design, and Conduct Effective Tests" by Jeffrey Rubin and Dana Chisnell 8. "Designing for Behavior Change: Applying Psych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by Stephen Wendel 9. "A Project Guide to UX Design: For User Experience Designers in the Field or in the Making" by Russ Unger and Carolyn Chandler 10.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User-Centered Design for the Web and Beyond" by Jesse James Garrett
이재훈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3년 03월 18일
조회수
522
좋아요
5
댓글
0
이직/커리어
Chat GPT가 알려주는 UX Researcher 되기
UX Researcher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1. UX Researcher에 대한 이해 UX Researcher가 하는 일과 그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분야의 기초적인 개념과 용어를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교육 및 학습 UX Researcher가 되기 위해서는 디자인, 인지심리학, 통계학, 컴퓨터 과학 등의 학문적 배경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관련 분야의 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하거나, 온라인 코스를 수강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 경험 쌓기 UX Researcher로서의 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현장 경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인턴십이나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4. 포트폴리오 작성 UX Researcher로서의 경험을 나타낼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트폴리오는 작업 과정, 사용한 도구와 방법, 결과 등을 포함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네트워킹 UX Researcher로서의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네트워킹이 중요합니다. 커뮤니티, 컨퍼런스, 세미나 등의 행사에 참여하고, 산업 전문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6. 지속적인 학습과 발전 UX Researcher는 기술과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입니다. 따라서 계속해서 학습하고 발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서, 교육, 세미나 참여 등을 통해 지속적인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이재훈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3년 03월 18일
조회수
414
좋아요
1
댓글
0
이직/커리어
Chat GPT가 알려주는 UX 직무에 필요한 덕목
UX 디자이너로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덕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 중심성 (User-Centeredness) 사용자 중심성은 UX 디자인의 핵심 가치 중 하나로, 사용자들의 니즈와 목표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설득력 (Persuasiveness) UX 디자이너는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설득하고 사용하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설득력 있는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창의성 (Creativity) UX 디자인은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디자이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기존의 문제를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문제 해결 능력 (Problem-Solving Skills) UX 디자인에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합니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커뮤니케이션 능력 (Communication Skills) UX 디자인은 여러 팀과 협업하며 진행되는 작업입니다. 디자이너는 다른 팀원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며 협력할 수 있어야 합니다. 6. 분석 능력 (Analytical Skills) UX 디자이너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행동과 의견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을 개선하고,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7. 기술적 지식 (Technical Knowledge) UX 디자이너는 웹 디자인, 모바일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등의 기술적 지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을 구현하고, 개발자들과 협업하여 최종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재훈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3년 03월 18일
조회수
448
좋아요
1
댓글
2
무역/유통/물류
업무상 회사 손실 발생
무역회사 무역팀 차장입니다. 회사 규모가 크지 않고 오너의 친동생이 영업하여 신규호텔 개점하는 곳에 관련 제품들을 제가 모두 쏘씽하여 납품하기로 계약을 맺었습니다. 코시국이라 중국에 제품검수를 가지 못한점도 문제 발생의 한가지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호텔 오픈일에 무조건 맞추라고 급하게 업무진행을 했었구요. 침대프레임과 매트리스 를 수입했는데 프레임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사진과 계약서상에 다리가 있는 프레임이라고 명기된 계약서로 계약을 했는데 물품 납품 전, 숙박업소용 프레임이 아니라고 모두 반품하겠다고 합니다. 오너 동생분이 영업이사로 발주를 받아 온 부분이고, 영업이사님이 제품을 반품처리 하라고 하시고,국내에서 급히 프레임만 별도 제작하여 납품하시기로 호텔측과는 정리하신 것 같은데요. 수입한 물건은 무용지물이 되고, 이미 결제한 부분과 국내에서 다시 준비할 프레임 구입비용까지 모두 돈과 연결되는 부분이니, 제가 너무 난감해서요.ㅠ 중국 무역만 10년 넘게 해오면서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 중국 공급업체는 절대 반품을 받지 않을테구. 이미 결제한 금액이 약 1400만원 정도. 재구매 비용은 3천만원 정도가 될것 같아요. 물론 납품처에서 아직 모두 결제받지 못한 상황이라 추후 결제대금에서 차감하는 방법일테지만, 회사의 손실 부분에 대해 수입을 담당하고 납품한 본인이 책임지고 수습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회사의 매출증대와 더 많은 이윤을 만들기 위해 일해 왔고 제 업무로 인해 이런 손실이 생긴 경우가 처음이라 막막합니다. 월요일 출근해서 무슨 말을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르겠구요. 이런 경우, 개인적으로 회사 손실에 대해 일정 부분 책임을 지어야 하나요? 경험 있으신 분들 도움 말씀 부탁드려요.
번아웃 직장인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23년 03월 18일
조회수
1,373
좋아요
2
댓글
12
이슈토론
A6 vs 아이오닉6
차 살껀데 둘 중 어떤게 좋을까…? 추천 좀
iii11888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23년 03월 18일
조회수
367
좋아요
0
댓글
1
회사생활
Q. 밀려오는 무기력함,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스테르담 직장인 심리카페 의뢰 내용을 정리하여 연재합니다. Q. 밀려오는 무기력함,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작년 한 해 정말 열심히 준비했던 프로젝트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맞이했습니다. 어두운 터널을 달리고 있는 기분입니다. 이젠 예전처럼 업무에 대한 열정이나 의욕이 나질 않아요. 지금의 제 모습, 바뀔 수 있을까요? A. 우리 뇌에는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있습니다. 도파민은 쾌감과 관련된 호르몬이지만 동시에 ‘보상’이나 ‘동기 부여’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혹시, ‘보상 예측 오류’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말 그대로, 어떤 보상이 올 것이라 예상했지만 그것이 빗나갔을 때 사람은 도파민의 양에 따라 감정이 오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 시간 후에 선물을 받을 것이란 이야기를 들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약속대로 선물을 받게 되면 도파민이 분비되어 즐거움과 기쁨의 감정을 느낍니다. 흥미로운 건, 막상 선물을 받았을 때보다 받기 전 무엇을 받게 될까 상상하던 그때 더 많은 도파민이 분비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선물을 받게 될 거라고 기대했다가 못 받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도파민의 양은 급격히 줄어들고, 오히려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어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어렵게 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 머리와 마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지금 상황이 객관화될 수 있고, 그래서 나 자신을 좀 더 돌아볼 수 있게 됩니다. 질문자께서는 아마 준비했던 프로젝트에 그 어떤 ‘보상’을 기대하고 있었을 겁니다. 그게 인센티브든, 아니면 개인적인 보람이든 말이죠. 프로젝트가 좋지 않은 결과를 맞이했을 때 그 보상에 대한 기대는 날아가 도파민은 줄어들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더 많이 분비된 겁니다. 이럴 땐, 호르몬에 휘둘리지 말고 기분을 먼저 바꿔 호르몬의 종류를 바꿔보는 게 좋습니다.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으니까 행복하다는 말이 바로 그 힌트입니다. 질문자께서 열정과 열심을 다한 그 일은 결과가 좋지 않았을지언정, 그 과정에선 분명 의미가 있었을 겁니다. 수고한 나에게, 내가 보상을 준다 생각하고 크게 한 번 웃어 보시기 바랍니다.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다시금 힘을 낼 수 있는 기운을 전해줄 것입니다. 아, 그리고 한 가지 더. 터널은 어둡지만 높은 산을 뚫고 지나가는 지름길이란 걸 알아차리셨음 좋겠습니다.
스테르담 | 해외B2B영업
23년 03월 18일
조회수
346
좋아요
1
댓글
1
금융/투자
칸서스자산운용 주식본부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현재 셀사이드 리서치에서 근무중입니다. 인하우스 리서치로의 이직을 고려 중인데, 최근 칸서스운용 주식쪽 공고가 나서 질문드립니다. 대체투자 위주로 굴러가는 하우스인 것 같은데, 주식쪽은 어떤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아시는 분 계시다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씨삐에이 | 증권 리서치
23년 03월 18일
조회수
2,340
좋아요
6
댓글
8
금융/투자
사내규정변경으로 인한 연차일수 변경
사모자산운용회사인데요 대표님께서 내규로 연차를 전직원 연차와 상관없이 5일로 고정하라고 하네요. 여름휴가 5일 이렇게요. 이게 가능한가요? 내규로 정한거라 법과 상관없다고 저만 꽉막힌 사람으로 대하시는데 이래도 되는건지.. 알려주세요. 추가로 대표님께서 회계법인에 확인했는데 어떤 운용사도 연차수당 지급해주는곳은 단 한곳도 없다고 확인했다고 합니다.
너만몰라95 | 컴플라이언스·준법감시
23년 03월 18일
조회수
1,297
좋아요
0
댓글
12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