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CGV 예매권 증정! <악마가 이사왔다>😈
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미디어/문화/예술
프리랜서도 힘든데 다시 취업하는건 더 힘드네요
직장생활에 질려서 프리랜서로 생활한지도 오래됐는데 코로나이후로 고정 일들이 줄어들고 단가는 낮추려고하는 고객 뿐이고 프리랜서로 일하는것도 힘이 들어 취업이나 재택근무를 알아보려고하는데 어느덧 제 나이가 50이 되었더라구요. ㅠㅠ 그동안 못느끼고 살았는데 오랜만에 구직사이트에 접속해보니 숫자로 체감하는 나이가 무섭게 다가오네요 오늘 리멤버 처음 가입하고 쓰는 첫글이 넋두리가 되었네요
42195 | 출판편집·교정
23년 03월 21일
조회수
773
좋아요
14
댓글
7
영업/세일즈
다른건 다 참겠는데
2세들이 갑질하는건 진짜 하루 왠종일 열불나고 화가 잘 가라앉지를 않네요. 부모가 이룩하고 니들이 누리는거면 겸손할 필요까진 없어도 제발 영업사원 막대하지는 말아라. 제발
디다스
억대연봉
 | 마케팅 전략·기획
23년 03월 21일
조회수
4,076
좋아요
44
댓글
36
이직/커리어
근속년수 6년차, IT영업 4년차 연봉 수준
제가 이번에 해외에서 한국으로 이직을 하게 되었는데 한국의 연봉 수준이 어느 정도 되는지 몰라서 여쭤봅니다! 일을 시작한지는 6년차이고 IT 영업은 4년차로 같은 IT영업으로 외국계로 이직을 하려고 하는데 한국에서 이 정도의 연봉 수준이 어느 정도 될까요? 감을 잡아야 희망연봉을 그 수준에 맞춰서 말씀드릴 수 있을것 같아서요.
화잇팅탕 | CX·CS
23년 03월 21일
조회수
1,079
좋아요
0
댓글
0
건설/건축
완공 10년 넘은 주거시설의 오시공
10년전 공사에서 보일러를 잘못 잘앗는데 준공승인 사용승인. 그리고 하자보수 기간도 지낫고. 이경우에 시공사의 책임은?
본사공무119 | 기타 건설·부동산 관련직
23년 03월 21일
조회수
2,252
좋아요
2
댓글
10
IT 직군
대기업 퇴사 후 스타트업 설립..
안녕하세요 대기업을 다니다가 스타트업을 차려서 나오게되었습니다. 인원은 일단 저와 제친구 그리고 후배 이렇게 세명인데요. 저와 제친구는 동일 직급이고 약 1.1억 정도의 연봉에서 사천 정도 절감 해서 연봉을 책정했고 후배는 7천 정도의 연봉에서 2천정도 깎는게 좋겠다 이야기 했더니 나는 앞으로 회사 다닐 날이 선배님들 보다 높으니 기회비용을 잃어서 7천 그대로 받겠다고 합니다. 어떤 논리로 두들겨 줘야 할까요 당장 우리는 수천을 포기하는데 너는 그걸 못하느냐 한참 이야기 했으나 기회비용 이야기만 하네요
룽삥뽕55 | 로봇 R&D
23년 03월 21일
조회수
1,709
좋아요
6
댓글
18
회사생활
다들 옷 어디서 사요?
옷 좋아하는 직장인입니다. 요새 일 때문에 바쁜데 다들 옷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몇 번씩 필요할 때 있어서 어디서 사야할지 고민입니다ㅜ
일로 | 기타 마케팅직
23년 03월 21일
조회수
528
좋아요
0
댓글
1
R&D
해보지도 않고 안된다고 하지 마라.
여러분들. 업무들 하시면서, 생활 하시면서, 직장 상사로부터, 명강사로부터, 또는 매체로부터 해보지도 않고 안된다고 하지마라는 말씀 들어보셨나요? (안된다는 이야기를 제일 싫어한다 라고 강조 하시던 분도... 계셨어요.) 저는 요즘 업무간 이 말의 의미와 모순으로부터 혼란스러운데요. 안될께 뻔히 보이는데 안된다라고 이야기를 해야 할 때마다, 내가 너무 게흘러서 지레 짐작을 하고 마음속에 벽을 만들었나 싶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안된다라고 이야기 해야하는데 저 말때문에 가스라이팅 당해서 내자신을 너무 나약하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혼란스럽습니다. 여러분들의 생각과 내적갈등을 겪으신 경험이 있으신지 한 수 알려주십시오.
챌린지메이크첸스 | 대학교수
23년 03월 21일
조회수
1,327
좋아요
8
댓글
16
이직/커리어
파일 한 장으로 멀티채널(D2C-B2C) 관리하기.
(feat. 전시/편성의 개념과 위기관리 대응능력🚨) - 1) 리멤버/링크드인 등에 글쓰기 활동을 해보니, 실무적 효용이 높은 '템플릿 공유'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공감을 받았습니다. 공유하고 싶은 몇 가지 유용한(?) 템플릿들이 있는데, 오늘은 그 중 D2C, B2C 등 자사몰/외부몰 운영 등 멀티채널 관리에 고민이 많은 분들을 위해 <전시편성>의 개념을 설명하고, 현업에서 함께 활용 할 <마스터플랜>을 준비해봤습니다🙏 2) 경쟁적으로 D2C 마케팅을 강화하던 나이키, 아디다스는 예전처럼 풋락커 등 대형 리테일러들에게 손을 내밀기 시작했는데요. 그들이 회귀를 선택한 자세한 사유는 알 수 없지만 디지털 유통시장에서 종합몰이나 대형 플랫폼을 제치고 D2C DT(Digital Transformation)를 실현하는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실감할 수 있습니다🤯 3) 그럼에도 불구 D2C 비즈니스, 자사몰 관리를 시작해야 한다면, 제 경험상 ‘일 250만원 매출에서 2,500만원까지’는 댓글로 공유드린 스프레드 시트 한 장으로 실무자와 의사결정자가 함께 몰 운영을 스케치하고, 관리하는 일이 가능합니다. 사실 그 이상의 수준도 가능하겠지만 채널이 늘고, 매출 볼륨이 확대되면 표 한 장으로 관리하긴 쉽지 않을겁니다. 가령 D2C 중심으로 운영하다 B2C 플랫폼 선물하기에 입점했고, 이를 위한 상품 기획과 세일즈 스케치, 마케팅 활동이 시작됐다면 채널별로 다른 KPI와 Index를 취급해야 하므로 결국 장표는 분리되어야 하죠. 다만 채널이나 플랫폼을 기준으로 '관리자(Index)'를 구분하지 않고, 마치 TV 프로그램 처럼 ’언제, 무엇을, 어떻게 방송할지' 등 '전시 및 편성'의 콘셉트를 활용하면, 결국 컨텐츠 중심으로 멀티 채널과 플랫폼 운영에 대한 계획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4) 내가 속한 회사의 비즈니스가 자사몰(D2C)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의 세일즈마케팅 활동을 상시 전개하고, 페이스북 3자 협력광고가 가능한 쇼피(요즘은 올영까지?!) 등 B2C 플랫폼으로 부터 발생하는 세일즈 볼륨이 크다면, 첫 번째 첨부 이미지와 같이 · 비즈니스 채널 및 플랫폼별 목표 매출을 주단위로 소분하고 · 퍼포먼스와 브랜드 등 광고선전비를 매출 볼륨과 특수 목적에 따라 편성한 후 · 매출원가나 배송비, 채널수수료 등 영업비용 등 목표 매출의 볼륨에 따라 드릴다운 하여 월별/주차별 공헌이익을 시뮬레이션 해보세요. 5) 다음으로 주차별로 편성한 목표 매출과 예산 계획에 따라 스프레드 시트 113행~159행 또는 세 번째 첨부 이미지 처럼 계획중인 세일즈/마케팅 활동과 콘텐츠를 전시하면 되는데, 이때 함께 고려해야 할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각종 시즈널리티나 채널 및 브랜드 활동에 따라 콘텐츠가 편성되었는가😯 · 콘텐츠 기획 > 촬영 및 편집 > 결과물 공유 등 협업 프로세스를 충분히 고려한 타임테이블인가😵‍💫 · 온사이트와 외부 채널(요즘은 B2C 플랫폼도 제2의 온사이트죠), 온드채널 등 어디까지 미러링하고 차별화해야 하는가🤔 6) 아무래도 저는 광고와 마케팅 출신이다 보니, 저의 전시편성표에서는 늘 48행~110행 처럼 채널 및 국가별로 나뉘어져 마케팅 KPI가 좀 더 세부적으로 관리되는데요, · 광고 및 웹사이트 지표(매체별 광고대시보드 + GA 활용) · 신규회원 및 구매전환 등 DAU와 MAU, 그에 따른 각종 CR(%) · 페이스북 3자 협력광고가 가능한 쇼피 등 B2C 플랫폼의 경우 기본적인 광고 지표까지 국가 및 브랜드, 채널별 마케팅 ROI의 합과 평균, 개별 성과를 함께 보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7)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말 중요한 건, 의사결정자와 실무진 모두 항상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을 염두하고 즉각적으로 수행하는건데요, 컨틴젼시 플랜이란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미리 준비하는 비상계획'으로 가령, 목표한 주차별 세일즈 실적이 미진할 때 • N% 즉시할인이나 할인쿠폰을 발급한 후 > CPC 단가가 가장 낮은 매체 A 예산을 증액하거나 • 세일즈 실적이 부진한 B와 C채널을 품절 처리하고, 마케팅 활동을 특정 기간 동안 자사몰 등 한 곳으로 몰아주는 등 실적이 부진할 땐 ‘OO를 수행하거나, ㅁㅁ을 진행하면 어느 정도 메이크업이 가능하더라' 라는 선험적 경험이 있고, 그에 따라 위기 대응 플랜이 준비되어 있으면 유연한 대처도 함께 가능합니다🚨 8) 공유드리는 템플릿은 철저히 ‘나눔을 위해 준비한 양식’이라 모든 채널의 세부 활동까지 '전시편성 계획'을 잡기는 어렵습니다만, 예시 이미지와 스프레드 시트 등 위에서 설명드린 컨텐츠 중심의 전시편성 방식에 따라 자사몰과 B2C채널 등을 운영하다보면, 대략 2~3개월 내에 담당자별/팀단위/협업부서간에 얼라인이 이루어지고, 어떤 하나의 루틴(Routine)이 형성되어 본격적으로 시너지를 느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참고로 저는 주로 D2C와 매출이 많이 발생하는 B2C채널과 인스타그램 등 주로 활용하는 온드채널 중심으로 계획을 잡고, 부족한 활동계획은 천천히 채워가며 ‘능동적인 컨틴전시 플랜’을 즐기기도 하는데요. 아무래도 D2C 자사몰 운영이나 멀티 채널 관리에 정답은 없고, 세부적인 지표 관리는 이것보다 더 타이해야겠지만, 너무 많은 Index와 URL Deck관리로 리소스 관리가 힘든 분들께 아무쪼록 유용하게 활용되었으면 합니다🙂 - #전시편성 #인덱스관리 #컨틴전시플랜 #전문가로성장하기
배영진 | 비에이티
23년 03월 21일
조회수
2,998
좋아요
62
댓글
22
회사생활
투표 제 인성에 문제 있는 걸까요?
후임이 부탁할 때 '죄송하지만.. xx 부탁드리면 안 될까요?' 뭔가 이런 식인데 너무 답답해요. 그냥 부탁드립니다. 라고 하면 될 텐데. 괜히 저래 말을 끌면 더 '안돼'라고 말하고 싶은.. 제 인성이 문제일까요?
mrkay | 기술영업·SE
23년 03월 21일
조회수
2,152
좋아요
3
댓글
12
방송/언론
재택하는 온라인 기자는 얼마나 받나요
지금 취재기자인데.. 1년 정도 채우고도 적응 안되면 재택으로 하는 온라인기자로 이직할까 싶은데.. 이직은 잘 되겠죠? 연봉이 걱정이네요
예루살렘 | 기자·리포터
23년 03월 21일
조회수
822
좋아요
1
댓글
3
디자이너
효율적이지 않은 일
패키지디자인하시는 분들... 저같은 일이 있으신지? 이건 디자인이라 할것 까지는 아닌데 회사이름을 말하면 전국민이 다 알수있는거라 예시만 들겠습니다. 제품이 20*10*10이라는 크기인데 이것을 2*4*3단으로 제품을 담는다고 한다면 카톤박스-A형(AB골-DW3종-단과 단사이 B골 패드로 구성) 제품은 24개 들어 가죠? 골판지 단차(내경에 +10~15, 상하가 없다고 하면 즉, 제품내경은 20*2되든 10*2되든 2중 하나겠지요? 다른 경우는 없죠. 그럼 한쪽길이는 40이나 20이겠죠. 다음 단과 단사이 B골 패드 (4mm)잡으면 8미리면 되겠지요. 제품이 어떤방향으로 들어가느냐에 따라 박스 내경은 40*40*38이나 40*20*68, 80*20*38 이것말고 또 있나요? 없는것 같은데 업체에서는 카톤적재방법때문에 박스규격을 정하더군요 35*35*50에 24개를 넣어라고...샘플을 제시하라고 상식적으로 그 규격에는 저 제품이 24개 안들어간다고 하니 제품수를 줄이던지 박스규격을 바꾸던지 해야 한다는데 샘플을 보여서 안되는것을 보여달라고 하더군요. 이런 비효율적인 일이 ... 안만들어 봐도 알수 있는데 무슨 샘플이 필요한지... 이게 자동차쪽 부품쪽에세 흔한 일입니다. 대기업이죠?
무비스타 | 광고 디자인
23년 03월 20일
조회수
333
좋아요
1
댓글
1
이직/커리어
ERP 부서 신입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커리어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대기업 ERP(SAP) 부서 신입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IT 기업에서 일하는 게 제 바람인데, 현재 자리에서 경력을 쌓으면 충분히 기회가 올까요? IT 기업 같은 경우에 ERP 채용 자체를 못봤던 것 같습니다. 저는 원래 앱 개발을 해왔는데, 지금이라도 IT 기업 신입을 준비해야할까요. 커리어에 대한 고민이 너무 많네요... 물어볼 사람도 없고 너무 답답해서 글 써봅니다.
ekfkdmek | IT컨설팅
23년 03월 20일
조회수
766
좋아요
1
댓글
5
회사생활
지옥에서 살아돌아왔습니다
요즘 구조조정 기사 핫합니다. 그 대상자가 저네요. 저일줄은 꿈에도 몰랐어요. 막막하고 답답했습니다. 2월 마지막날에 3월 30일에 나가는걸로 정해졌습니다. 입사한지 2달만에 이게 무슨 날벼락일까요. 회사가 망할줄은 꿈에도 몰랐네요. 먹여살릴 가족생각하며 3월 30일전에 이직처를 구하자 마음 먹었습니다. 하루 2시간도 안자고 면접 준비 과제 코딩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거의 20군데 이력서를 넣은 것 같네요. 삼일전 한회사에서 기다리던 합격 연락이 왔고 처우협상 중입니다. 전화위복인지 연봉을 더올려서 가네요. 너무 고생한 저에게 잘했다 칭찬하고 싶네요. 저랑 비슷한 처지이신 분들 힘내세요. 어떻게든 방법은 있는것같아요. --------------------------------- 이렇게 핫한 글이 될지 몰랐네요. 답글주신것 보면서 조용히 울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렇게 힘든일 많이 겪겠지만 어떻게든 이겨낼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들 감사합니다.
개발자입니다
억대연봉
 | 백엔드
23년 03월 20일
조회수
23,362
좋아요
554
댓글
89
회사생활
리더라면 부하들을 사랑한다는 착각이라도 들게하라
아니라면 결코 부하들의 사랑을 받을수없을것이다
경영철학회색지대 | 사업전략·기획
23년 03월 20일
조회수
1,054
좋아요
6
댓글
4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