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생산/제조
업무 관련 자격증 취득
기능사는 5개 취득했는데 공부 안 한지 좀 됬더니 이제 열정도 떨어지고 너무 의지가 안 생기네요 다들 어떤 자격증 취득하고 공부는 어떻게들 하시나요? 다 업무 관련 자격증 취득하나요?
크루아상
20년 10월 15일
조회수
102
좋아요
0
댓글
4
공직/공무원
7급준비고민..
조언구하고 싶은데요.. 내년 영어 한국사 시험 대체되면 총5과목.. 그중 국어는 9급때 한게있고 4과목인데 일하면서 지방직7급 준비.. 무리일까요? 법은 노베이스입니다... 헌법 행법행학 공부해보신분들 조언부탁드려요..
hjkl345
20년 10월 15일
조회수
344
좋아요
0
댓글
6
공직/공무원
독감예방접종 안해주나요...
저희 기관은 안해주던데...해주신 데 많나요ㅠㅠ
억울한됴
20년 10월 15일
조회수
86
좋아요
0
댓글
3
전략/기획
코로니이후 사무직전망
지금 일은 제기준으로 어느정도 만족하고 있는데 . 앞으로 10년만 지나도 세상이 확 달리질것같고요. AI등 인공지능등장으로 직업의 변화가 많이 올것같아요. 사무직이 많이 없어질것도 같아요 어떤준비를 하면 좋을까요? 지금 zoom이니 온라인교육 여러가지 배워가고 있는데 두려움도 있네요~~!!
릴리리야
20년 10월 15일
조회수
320
좋아요
1
댓글
3
인사/HR
특수한 직무 담당자인데 역량이 굉장히 부족할 때...
제목 그대로 특수한 직무 담당자이자 총괄인 분이 계시는데... 그 분 역량이 굉장히 부족합니다. 사실 권고사직을 권하고 싶을 정도인데 (순전히 개인적인 제 생각 뿐만아니라 회사의 경영진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문제는 그 분의 직무가 특수한 직무여서 전체 구성원 중에 그 직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한 명도 없습니다. 물론 다른 분으로 대체하여 빨리 새롭게 충원하는 방법이 있지만 더 큰 문제는 내부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그 직무가 굉장히 중요시되는 프로젝트라 당장 내보내고, 새로 충원하고의 틈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이런 상황을 사실 그 분도 너무 잘알고 있어서 어째 나 없으면 어차피 안되잖아? 이런 느낌으로 일하는 것 같아 더 힘드네요 ㅜ 하... 정말 어렵네요.. 이런 경우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pakgoon
20년 10월 15일
조회수
1,163
좋아요
0
댓글
13
금융/투자
나에게 100억이 생긴다면?? 나만의 버킷리스트 만들어보아요~ㅎ
불금인만큼 가벼운 주제 던져봅니다~^^ 만약 100억이 생긴다면, 여러분은 그 100억의 포트를 어떻게 채우시겠습니까?? (세금 같은 복잡한 문제는 빼고요, 그냥 직관적으로 어떻게 자산배분을 하시는지를 가볍게 의견 수렴해보고자 합니다~^^ 상상은 누구나의 특권 아니겠습니까?? ㅎㅎ 혹시 모르죠, 내가 산 로또가 오늘?!! 야호! ) 예를 들면, 부동산 ㅡ 1) 반포 아파트 매입 25억 2) 마곡지구 오피스텔 5개 매입, 8억 3) 세종시 아파트 매입 15억 주식 ㅡ 1) 국내 : 삼전 우 10억, 셀트 5억, LG생건 5억. 2) 해외 : 테슬라 5억, 아마존 5억, 델타항공 5억, 애플 10억 요트 ㅡ 2억 자동차 ㅡ 마이바흐 (혹은 롤스로이스) 3억 ㅡ 캠핑카 코치맨 오라이언 2억 뭐 이런식으로~~^^;; 상상만으로 기분좋네요. 부동산은 어디를 좋게 보시는지, 주식은 어떤 주식을 유망하게 보시는지, 자동차는 어떤 차종을 선호하시는지.... (다른사람눈치보지말고~) 나만의 100억 버킷리스트, 같이 한번 만들어보시죠~!! ㅎㅎ
smartjy
20년 10월 15일
조회수
800
좋아요
4
댓글
18
PE/VC
스타트업 아이디어
스타트업으로 해볼만한 아이디어는 있는데, 지금 하는 일때문에 직접 추진하기는 어렵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서 해당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을 통해서 현실화시킬 수 있을까요?
자차출근
20년 10월 15일
조회수
289
좋아요
1
댓글
5
법률전문가
작은 사무실에서 대형펌으로 이직하신분 있으실까요?
딱히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닌데, 대형펌은 어떤지 여러모로 궁금하네요. 경력직으로 대형펌으로 가는 케이스를 거의 보지못해서요. 간혹 변협사이트에 공고는 나오는데 어떤분들이 가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자차출근
20년 10월 15일
조회수
851
좋아요
0
댓글
5
재테크
빅히트 상장 후 흐름
빅히트 첫날은 상한가 유지할꺼라 생각했는데 의외네요 내일이 어떻게 될지가 관건인데 앞으로 어떻게 될꺼라 생각하시는지!
Catherin
20년 10월 15일
조회수
234
좋아요
0
댓글
2
CEO/법인대표
적정 자본금에 대해서..
후배 창업인들이 가장 많이 문의 하시는 것 중 하나가 적정 자본금입니다. 대부분 투자를 염두해둔 질문인데. 저는 반대로 생각 해보라고 권합니다. 이제는 법인도 100원만 있었도 설립이 가능 한데. 자본금 100만원 인 회사 1000만원인 회사 1억인 회사 당신이 투자자 라면 과연 어느 회사가 도 신뢰가 갈까요? 아무리 대표가 월급을 안가져 간다 해도 기본적으로 사업을 시작 한다 하면 들어 가는 돈이 있는데. 투자자 들이 자본금을 보고 투자를 결정 하는 의사 포인트는 이회사가 투자 금 없이 얼마나 버틸것인가. 이회사의 대표는 정말 이회사에 올인 할 마음이 있는 것일까? 투자를 받아서 그이후를 그린다라고 하는데 우리가 투자한 금액 이후에 투자 금이 없으면 어떤 대책이 있는지? 이러한것 때문에 저는 후배들에 게 적어도 1년반 동안 매출이 없다라고 해도 버틸수 있는 돈을 자본금으로 하고 그돈이 없으면 회사를 설립하지 말아라.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고 지금껏 제가 회사를 운영하고 주변에 회사를 운영하시는 분들을 보면 이야기가 맞다라고 확신을 하고 있습니다. 부디 참고가 되시기를..
한빛
20년 10월 15일
조회수
1,009
좋아요
4
댓글
2
PE/VC
투자 사이클의 끝은?(순환 논리)
특례상장제도를 통하여 외형적 조건(정량적인 조건)에 미달하는 회사들도 상장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특례상장제도를 통해 상장되는 대부분의 회사는 바이오 업종에 속하며, 이들 거의 대부분은 여러 벤처캐피탈의 수차례 투자를 통해 성장해 왔습니다. 그리고, 많은 벤처캐피탈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은 모태펀드, 성장금융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의 성격은 공적자금이라는데 있습니다. 상장심사는 한국거래소에서 이루어지며, 시장 제도 설립 및 규제를 하고 있는 준공공기관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결국 gp인 벤처캐피탈의 통로를 거치지만 공적자금으로 여러 바이오업체들이 커왔고, 이들의 상장여부가 공적자금 수익률과 직결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장 심사에 실패하는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도 리스크가 될 것입니다. (결국 공적자금이 형태를 다르게해서 투자가된것이니) 많은 회사들이 특례상장을 통해 상장이 이루어지는만큼 과연 이것이 폭탄돌리기가 될 것인지 더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과연 이 과열의 끝은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류블라냐
20년 10월 15일
조회수
525
좋아요
0
댓글
3
바이오/헬스케어
출퇴근 거리 몇시간까지 가능?
강동구에서 판교까지 출퇴근시간이 왕복 3시간쯤 걸립니다. 출퇴근시간이 너무 아까워서 윌라로 듣는 독서중인데요... 출퇴근 시간이 너무 길다보니 좀 지치네요;; 다들 몇 시간 정도 도로위에서 시간을 보내시나요?
사마
20년 10월 15일
조회수
619
좋아요
1
댓글
8
재테크
항공주? 방산주?
항공주? 방산주? 중에서 앞으로 성장할 만한 저평가 기업이 어디가 있을까요~? 전문가분들의 고견 듣고 싶습니다.
달빛요정
20년 10월 15일
조회수
220
좋아요
1
댓글
1
공직/공무원
복지포인트 얼마씩 받으세용?
저는 이전에 있던 곳에서는 100만원 받았은데 이번에 시험쳐서 옮기는데는 더 많이 주는 것 같네요 ㅎㅎ행복
윤아라
20년 10월 15일
조회수
495
좋아요
2
댓글
8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