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회원님, 일 관련 고민이나 업계 이슈에 대한 생각을 들려주세요!
최신글
임금체계 실태조사 의무사항인지 궁금합니다.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자료 작성하는데도 오래걸렸는데 여러 기관 통해 비슷한 자료를 각기 다른 양식으로 1년에 몇번씩 내라고 하니 지치네요... 조사주관기관이 고용노동부, 조사연구기관이 한국노동연구원, 조사수행기관이 아이알씨라는 업체인 "2021년 임금체계 실태조사" 입니다. 애초에 공문 자체가 누락되서 9월에 받고 업무가 바빠서 계속 못하고있는데 조사수행업체에서 몇번이나 계속 연락오네요. 의무사항이냐고 물어봐도 답을 제대로 해주지 않고 그냥 제출하라는 식으로만 얘기합니다. 의무사항이 아니더라도 부탁하는 투로 얘기하면 바빠도 시간 내서 제출할텐데, 맡겨놓은듯이 왜 안내냐는 식으로 얘기하니 더 제출하기가 싫네요. 저희 회사는 한번도 제출한 적이 없다고 전임자에게 들었는데...의무사항이면 당연히 제출해야하고 여태까지 저희회사 담당자들이 잘못해온거지만요;; 혹시 이 조사 의무사항인지 아닌지 아시는 분 계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알쓸인잡 | 급여·복리후생
2021.10.26
조회수
1,141
좋아요
2
댓글
1
개발자 장비 맥 M1 max로 지원하나요?
IT회사입니다. 개발자분들의 쾌적한 작업환경을 위해 늘 최고사양 장비를 지원하려고 하는데요. 이번에 노트북 맥 M1 프로로 충분할지, 맥스로 지원 기준을 잡아야할지 좀 고민돼서요 예산은 가능한데,.. 성능이야 좋으면 좋을수록 당연히 좋겠으나 맥스 사양이 투머치일지 싶어서 확인차 여쭙습니다.
라라랜드 | 영업관리·지원
2021.10.25
조회수
841
좋아요
1
댓글
6
같은포지션에 오래있는 경유 연봉인상은 어떻게 하나요?
부서내 어드민. 비서. 혹은 당연 회사에선 필요로는 하지만 반복 업무인 경우. 영업팀에서 팀장으로 승진 안하고 영업사원으로만 20년 있는 경우. 혹은 팀장에서 그 위로 못 올라가고 팀장으로만 10년 넘게 있는 경우 등등. 내부 직급이나 grade를 안 올려서 승진은 물론 제한지 되지만... 연봉은 매년 계속 올려 주시나요? 예전 회사에선. 만약 그 사람의 그 해 성과에 따른 인상율이 인상율 테이블에 따르면 3프로라고 할 때. 3프로를 올려 주진 않고 연봉의 3프로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시불로 주고 연봉은 그대로 둔 경우도 있었어요. 이게 본인 동의 없이도 가능한건지? 다들 어떻게 매니지 하고 계세요?
아이캔두잇1 | 인사기획
2021.10.22
조회수
925
좋아요
4
댓글
3
한 사람의 이력서를 훑는데 평균 1분... 무엇을 눈여겨 보나요?
JD에 맞는 이력서라는 전제 하에. 정립된 서류 합/불합 기준에 따라 평가하지만 + 이외에.. 갖고 계신 기준이요. 전 말로 형용하긴 어렵지만, 이 이력서에 얼만큼 그들의 이력이 정돈되어 담겨있는가?를 봅니다. 다른 분들은 어떠신가요?
빛나는인생 | 기타 HR·총무
2021.10.21
조회수
744
좋아요
2
댓글
3
1년 계약직 연차수당 간만에 판결다운 판결
안녕하세요, 오늘 간만에 괜찮은 판결이 나왔네요 그동안 노동부 행정해석이 일년 계약직이 퇴직하면 26일 연차수당이 발생되는 아이러니한 해석을 주었었죠. 상식적으로 일년쓰는데 한달가까이 휴가주는게 참 이상하다 싶었는데, 대법원 판결이 참 의미 있는듯 합니다. 못보신 분들을 위해 요약 드립니다. 1년 80% 이상 출근하면 15일 연차' 생겨 계약직으로 1년만 근무하면 11일 발생해 정부 "1년 계약직도 15일 발생…총 26일" 대법 "2년차만 15일…계약 종료되면 안돼" 고용부 "판결 취지 등 면밀히 분석 예정" 1년만 근무하고 일을 그만두는 계약직에게는 11일의 연차만 발생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지난 2018년 법 개정 이후 1년만 일한 근로자에게도 '2년 차가 받을 수 있는 15일까지 모두 26일의 연차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본 고용노동부의 해석과 상반되는 판결이다. 고용부는 이번 판결을 면밀히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팀장님 | 인사기획
2021.10.20
조회수
2,725
좋아요
18
댓글
23
건강검진이나 단체보험(입통원비 지원)도 다 과세 하세요?
제가 여러 회사 거쳤는데.. 거기선 과세 안 했습니다만.. 지금 회사는 과세 하네요. 단체보험은. 그 직원의 보험료가 어느정도 금액 이상 초과시 초과 금액을 과세한다네요.. 어떻게들 하고 계세요?
아이캔두잇1 | 인사기획
2021.10.20
조회수
432
좋아요
2
댓글
5
어쨌든 토스 이번 인사제도 변경은 와우하네요
여긴 대기업분들 많으실거라 스타트업에 관심 있으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전 스타트업 인사제도, 복리후생제도 눈여겨 보고 있는데요. 이건 광고성 기사인건지 좋은 점만 강조돼 나오긴했는데 그래도 제도화 한 내용들 보면 진짜 wow 하네요. 포괄임금제 폐지 4.5일근무 10일 겨울방학 (이건 워킹데이 6일 연차일듯?) 토스 야근지옥이라고 불리고 있는데 포괄임금제 폐지한거 실효성 어떤지 궁금합니다. 토스 실제 근무자분들 있으면 얘기듣고 싶네요 ㅋㅋ
결재요정 | 기타 HR·총무
2021.10.20
조회수
2,036
좋아요
6
댓글
3
커리어 고민
안녕하세요 리멤버 직무톡 구경만하다가 글 올려봅니다. 채용쪽으로 커리어를 키우고있습니다.. 대부분의 계약형태가 계약직이며 근무경력은 약 3-4년 중간인 것같습니다~ (2년정도 HRD , 2년미만 채용운영) 고민은…앞으로의 커리어 고민입니다ㅠㅠ. 저는 제가 기존경력이 운영이나 서포트 업무가 많아서 아직 계약직으로 근무해도 많은걸 배울 수있겠구나 라고 생각하고 연봉, 기업규모 업그레이드 해서 계약직으로 이직했습니다. 막상 가보니 제가 지금까지 했던 업무가 6정도였다면 이직한 곳은 6중 3정도 되는 느낌입니다….그래서 계약 기간 이후의 커리어가 걱정되네요… ㅠㅠ 나이도 30대 초반이다보니 이번계약이 마무리되면 정규직으로 이직해야할 것 같은데.. 이직후 경력기술서에 쓸 내용은 더 줄어든곳같아서 고민이 많아집니다……… 채용담당자님… 인사담당자님… 선배님들… 조언부탁드립니다ㅠㅠ
넵넵쟁이 | 채용
2021.10.19
조회수
664
좋아요
2
댓글
4
재택근무 시 효율적인 업무관리방안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임직원 500명 규모의 IT기업 인사팀에서 일하고 있고, 직무톡 공간에서 항상 좋은 의견들을 많이 보고 도움받고 있었는데 함께 나누고 싶은 주제가 있어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작년부터 코로나로 인해 개인의 일상과 회사에서의 업무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저희 회사도 근무공간 밀집도와 출퇴근 시 감염 위험 등으로 재택근무를 적극 시행해왔었는데요, 그 기간이 길어지다보니 업무관리와 협업 부분에 있어서 여러가지 이슈가 발생되드라구요. 기본적인 근태관리는 시스템이 있어 관리되고 있지만, 업무에 있어서 진행상황이나 산출물 관리하는 방식이 직책자의 성향에 따라 편차가 생기니 협업하는 부서간에도 갈등이 생기고 있습니다. 물론 관리부서에서 내부시스템을 통해 주간 단위로 목표관리 페이지를 작성하도록해서 일정 수준 관리는 하고 있는데, 경영진 분들은 더 타이트한 관리를 지시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다들 힘들고 지치는 코로나 상황에서 직원들을 괴롭히는(?) 방식이 아닌 효율적이고 납득 가능한 수준으로 개선안을 고민하다보니 머리가 아파 혹시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의 고견을 여쭤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7인사 | 채용
2021.10.18
조회수
714
좋아요
0
댓글
3
기업법무는 업무가 쉬워보이나요?..
요즘 경력 찾는 채용사들 비변호사라지만 9년 가까이 되었는데 총무나 경영지원성 업무도 곁들여 할 수 있겠냐며 마치 법무은 널널하고 몬가 더 하지 않음 안되는 것처럼 말하는데 참. 수락하기 쉽지가 않내요 들어가서 담당자 부재나 모 어려울때 돕고 지원은 하나 마치 일 없으니 이정돈 거들어야한다는 jd나 업무분장 보면 정말 업무를 몰라도 너무 모르는 구나 싶습니다. 구매나 경영지원 담당자한테는 법무나 내부감사 맡기긴 어려워 하면서 너무 쉽게들 애기하니 참.. 한숨이 나옵니다..기업법무 다들 어느영역까지 하시나요?.
법무직원9년 | 법무
2021.10.18
조회수
1,303
좋아요
7
댓글
6
중대재해법 관련 대응 어떻게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중대재해법 관련 대응 어떻게 하시나요? 임원책임이 강화되어 관심이 많으시네요...
싱싱파파 | 총무
2021.10.18
조회수
742
좋아요
3
댓글
4
외국인 고용사업장 인권교육 이수의무
안녕하세요, 얼마전 개정된 법 중 아직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듯 해서 리마인드 드립니다. 외국인 고용허가 사업장 노동관계법령·인권 교육 의무화 되었습니다. 따라서, 외국인을 고용하시는 사업장 분들은 법정교육이 하나 늘어나신 느낌이네요. 사용자들이 대상인점도 특이합니다. 적극적으로 감독하진 않을 것 같으나, 미리준비합시다. - 10월 14일 이후 고용허가를 최초로 받은 사용자의 경우 노동관계법령·인권 교육 이수 의무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무료로 제공, 미이수시 과태료 300만원 > 임의사항이던 사용자교육을(가점 부여 방식) 의무화함으로써 외국인 고용 사업주에 대한 노동관계법령 준수 책임이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팀장님 | 인사기획
2021.10.17
조회수
310
좋아요
1
댓글
1
부당강등으로 노동위원회 가겠다는 직원 ㅜㅜ
권고사직 얘기했는데 직원이 위로금도 거부하고. 다른 회사 구할때까지 회사에 남겠다 주장 해서. 팀장에서 팀원으로 역할 변경 했습니다. 근데 빨리 딴 데 알아볼 생각은 안 하고. 이 결정에 납득이 안 된다며. 본사 핫라인에 올릴 거고 노동위원회 갈거라고. 자긴 잃을 게 없다. 이런 부당한 처사를 하는 회사 대표의 잘못을 알려서. 나같은 일이 안 생기게 해야 한다. 합니다. 인사담당자는 중간에서 우째야 할까요 . 그냥 우쭈쭈 설득 하는 거 밖에 없나요? 회사 사장은 인사부가 명확한 디렉션을 안 준다고 닥달하네요.
아이캔두잇1 | 인사기획
2021.10.16
조회수
1,675
좋아요
6
댓글
7
중소기업 인사팀 5년차입니다.
안녕하세요, 중소기업 인사팀에서 5년차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본인은 29살 남성입니다.) 현재 회사에서 채용, 급여, 총무 업무를 전반적으로 맡고있습니다. (평가/보상/인사기획은 경험해보지 못하였습니다. ) 여러 업무를 접해볼 수 있지만(중소기업의 장점이자 단점이지요,,) 저는 제가 보다 더 전문적이길 원하고 앞으로 제 커리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싶습니다. 이번년도 초에 문득 이대로 가다간 경력 년수만 채워지는 것 같아서 HRM전문가, 사대보험전문가 자격증을 따고 공인노무사자격증은 1차까지만 합격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중소기업 혹은 대기업 선배님들께서는 저와 비슷한 나이에 어떤 업무를 경험해보셨고 커리어를 위해 어떠한 고민들을 하셨으며 어떤 자격증을 공부하셨는지 매우 궁금합니다. 추가로 해주실 조언이 있다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되십시요!
띠떠 | HRD
2021.10.16
조회수
3,810
좋아요
15
댓글
12
개발자 많은 스타트업 조직문화. 회사별 차이가있나요?
항상 생존앞에 선 스타트업 특성. 데이터와 IT가 접목된 사업적특성. 젊은 인력구성. 다 유사한 조건으로만 보면. . 인사문화도 조직문화도 분명 비슷한 방향을 추구할듯합니다. 가령 수평 소통. 능력가급.. . . 이 외 차별성이 정말 있을까. . 그 차이는 뭐에서 기반할까? 이런고민이 듭니다.
날아라손오공 | 인사기획
2021.10.14
조회수
782
좋아요
5
댓글
8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