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레터
리멤버 커넥트, 들어가 보셨는지요?
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PE/VC
스타트업이 잘나가는지 아닌지 구분하는법
일안해도 재산이 늘어나면 부자 일안해도 재산이 줄지않으면 중산층 일안하면 재산이 줄어들면 서민 일해도 재산이 줄어들면 빈곤층 이런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스타트업은 투자않받아도 잘 굴러가면 잘나가는 스타트업 투자를 받아야 근근히 굴러가면 찐 스타트업 투자를 받아도 위태위태하면 좀비스타트업 투자를 받아본적이 없으면 스타트업이 아닌것 같습니다. ㅜㅜ
뒹굴뒹굴 | 법인대표·CEO
21년 05월 07일
조회수
1,462
좋아요
4
댓글
7
회사생활
직장인의 재미란 무엇일까요
월화 피곤하고 수요일 좀 살거 같고 목요일은 금요일을 기다리고 금토 좋고 일요일 우울하고 다시 무한반복... 그래도 무탈한걸로 행복해야겠죠?
한남동갈끄니까 | PB/WM
21년 05월 07일
조회수
626
좋아요
2
댓글
9
식음료/외식 업계
모든 유통사 MD는 정말 막무가내 안하무인 인가요?
우리회사 영업부 직원들이 사내에서 필요한 제품이나 협조를 구할때 늘 하는말중에 하나는 " 저도 어려운거 알고 무리한 요구인줄 알죠. 그런데 MD 가 시키는데 어떻게합니까? 그래서 못한다고 하면 다른 회사가 할텐데요" 저 말을 들을때마다, 구매일을 오래 한 사람중에 하나로써,나도 협력업체에게 저렇게 하고있는지 반성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저정도는 아닌것만 같습니다.(저희 협력업체는 달리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갑의 횡포, 공정거래법이 서슬이 퍼렇고 ESG 경영이 새로운 화두인 요즘, 정말 유통사 MD, 특히 CVS 채널 MD는 늘 거래처에 불공정하고 부당한 요구를 서슴치 않는것인지, 그래서 힘없는 중소기업 영업은 늘 퍼주기만 해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저희 영업사원들이 전하는 말을 액면그대로 믿어야 할까요?
뉴꼰 | 구매·조달·소싱
21년 05월 07일
조회수
668
좋아요
5
댓글
9
디자이너
패키지디자인 인쇄에 대한 궁금증
패키지디자인 인쇄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신가요? 디자인하고 인쇄 넘길 때 이런 게 궁금했다! 하시는 거 있으면 남겨주세용
시간참빠르네요 | 광고 디자인
21년 05월 07일
조회수
385
좋아요
1
댓글
2
회사생활
영업 유류비를 개인 지출로 잡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매월 꼼꼼히 가계부 쓰는 직장인입니다 영업이 직업인데 매월 장거리 운전하느라 개인카드로 월 10-20만원 기름값넣고잇습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최소 40만원에서 많게는 60만원까지 유류비가 지원되고 잇는데 제 월 가계부 (수입 / 지출) 에서 제 개인카드에서 나간 10-20만원 기름 값을 지출로 봐야할까요? 어떻게 보면 단순 질문 같지만 항상 궁금햇엇습니다. 비슷한 경우가 잇나요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러너토너 | 기술영업·SE
21년 05월 07일
조회수
535
좋아요
1
댓글
2
금융/투자
부동산 위주 전문시모 운용사의 미래는...
부동산애 투자하는 전문사모형펀드에 대해 재산세 분리과세 혜택을 폐지하고,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전문사모형 펀드에 투자하는 수익자의 향후 수익률 악화가 예상되고, 추가로 신탁업자나 판매사의 책임 부담 증가에 따른 수탁 거부나 수수료 인상 등으로 운용사의 신규 사업기회나 총보수 중 운용보수 비중의 감소가 현실화 되면서 일부 운용사는 기존에 설정한 펀드가 보유한 부동산의 매각 보다는 펀드의 수익자 갈아끼우기에 더 집중함에 따라 운용사간 거래시장에서 부동산 매입 기회도 점차 줄어드는 추세 같습니다. 또한, 자금력이나 기타 여건이 되는 펀드운용사들은 부동산투자회사법 상 자산관리회사 라이센스를 받아서 영속형 리츠를 설립하고, 이러한 리츠에 투자하는 펀드(일종의 FoF) 구조 혹은 부동산 펀드에 투자하는 리츠 구조를 만드는 경향도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격변의 와중에... 공모리츠나 공모형 부동산펀드를 운용할 수 없는 대다수 소규모 전문사모자산운용사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51804951
주탱이네
은 따봉
 | 부동산금융
21년 05월 07일
조회수
2,213
좋아요
3
댓글
3
회사생활
부서이동
조직개편으로 타부서에 사람이 부족해서 거의 자원하다시피 해서 가게 되었습니다. 회사의 경영자가 두는 장기판에서 장기말이 된건데요. 회사를 위해서 필요한 경영상의 결정이라 누군가는 가야 했는데 꼭 제가 가야 했던 건 또 아니라서요. 회사를 위한 일이긴 한데 꼭 내가 해야 하는 일은 아닌데 자원한 셈입니다. 지금 부서에서는 가고 싶다는 사람이 없어서 뜨거운 감자를 쥐게 된 셈입니다. 명분상으로는 결국 회사를 위한 일이니 잘해내기만 한다면 조직개편에 있어서 공을 세우게 되는거라 생각은 하거든요. 다만 5년 넘게 해온 익숙한 직무를 바꾸는 일이라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실은 잘 모릅니다. 과연 이것이 옳은 선택을 한 것인지는. 모험을 수반하는 선택이라서요. 회사를 위해 커리어를 걸고 모험을 감행이라니. 제가 틀리고 부서에 남기로 한 다른 직원들이 옳을 수도 있기 때문에 기도밖에는 할 수가 없네요. 쓸만한 장기말을 경영자가 버리지는 않을 거라고 희망을 걸고는 있습니다만 제가 틀릴지도 모르니까요.
JOEKIM | 번역·통역
21년 05월 07일
조회수
781
좋아요
1
댓글
13
인사/HR
손이 너무 느려요ㅜㅜ
손이 너무 느려요. 실수안하려고 반복해서 확인하다 보니 더 그런 거 같아요. 그래서 남들보다 일찍출근해서 늦게 퇴근하는걸로 보충합니다.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저도 남들처럼 빨리 해서 쉬고 싶어요ㅜㅜ
sisa | 법인대표·CEO
21년 05월 07일
조회수
3,200
좋아요
8
댓글
7
대학 교수
연봉제 교수의 비극
연봉제 교수들 많으시죠? 30-40 대 교수님들 2012-13 전후로 많이들 뽑히신 분들일겁니다 정말 최근 규정 바뀐거며 대우 일 몰아주기 정말 힘들고 떼려치구 싶습니다 다들 어떠신가요???
로건니 | 대학교수
21년 05월 07일
조회수
1,554
좋아요
11
댓글
16
IT 엔지니어
공부 어떻게 하세요?
저는 유튜브 인강을 주로 공부할때 쓰는데 원서나 공식사이트가서 하시는분도 많으신가요?
웹프로그래머12 | 풀스택
21년 05월 07일
조회수
297
좋아요
4
댓글
2
건설/건축
공동주택수직교토묭구문제저아시나요
대한민국은 하루가멀다하고. 모든건물이 초고층화로건설되고있읍니다.초고층화되면서가장중요한수직교통용구에대한중요성에대하여서는논하지않는것으로사료됩니다.다제조사가알아서잘해줄것이다라는막연한기대감.안도감으로진행하다보니입주후사용자들의불만이많이발생하는국내현실입니다. 우리개선하는노력합시다.
김학수 | GLS
21년 05월 07일
조회수
745
좋아요
2
댓글
3
회사생활
어머니께 명품 가방을 선물하고 싶은데 정보 좀 부탁드립니다..
아버지 어머니가 곧 환갑이십니다. 요새 환갑은 안챙기는거라고 말씀은 하시는데 그래도 선물이라도 해드리는게 마음 편할 것 같아서요. 아버지는 곧 차 바꾸신다고 하셔서 동생이랑 합쳐서 현금 보태드리기로 했습니다. 마음같아선 사드리고 싶은데 제가 그정도로 여유있지는 않아서요.. 사족이 길었습니다만 어머니께는 명품가방 하나를 선물해드리고 싶은데 동생도 저도 명품가방을 참 몰라서 여쭤볼데가 여기밖에 없더군요..; TMI지만 명품가방으로 아이템을 고른건 어머니가 요새 은근히 명품가방 얘기를 하셨기 때문입니다. 원하시는 품목으로 드리는게 가장 좋을 것 같아서요. 돌아보니 참 불효인데.. 이게 어머니의 첫 명품가방이 될 예정입니다. 이것 역시 여력되면 마음만은 에르메스나 샤넬백 사드리고 싶지만 이번엔 250~300 정도에서 선물드리고 싶습니다. 작은거보단 중형? 큰가방 선호하시는 것 같고 두루두루 잘 쓸 수 있고 호불호 적은 가방 몇 가지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일단 후보군 몇개 정해놓고 어머니 모시고 백화점에서 사려고 합니다. 답변 잘 부탁드립니다.
슈뢰딩거 | IT프로덕트/UX디자인
21년 05월 07일
조회수
817
좋아요
0
댓글
5
CEO/법인대표
피플라이프 가입
혹시 피플라이프 라는 곳에서 법인 대표 퇴직 보험? 가입 경험 있으신 분 있을까요? 퇴직연금보험 같은데 후기 여쭈어 봅니다.
블루오션으로 | 법인대표·CEO
21년 05월 07일
조회수
537
좋아요
3
댓글
4
회사생활
연봉협상실패
안녕하세요 회사에발담근지 이제 1년이 된 사회초년생입니다. 글쓰는 이유는 지금 오늘 협상에서 거의 실패쪽으로 기우는것 같아서 지하철안에서 끄적입니다. 협상전 이때까지 회사에서 했던 자료들 전부 정리해서 5 페이지 가량의 자료와함께 실장이 갑작이 나가서 실장일도 아무런 매뉴얼 없이 1억넘는 프로젝트 3개 달성, 해외계약 (미국 8개,일본 2개)의 성과+빈번한 야근(매일 밤10시 11시 귀가)등 모든 설명하고 못해도 3000은 맞춰달라고 했지만 2800이 지금 회사선에선 최대라고 합니다. 아직 근로계약서 작성 전인데 어떻게하는게 맞는걸까요? 1. 회사를 나간다 2. 그래도 2800받고 1년 더 있어본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1번을 택하면 지금까지한 개짓거리의 2배로 더 힘들것 같습니다.
1달야근수당 | 번역·통역
21년 05월 07일
조회수
1,229
좋아요
2
댓글
12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