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첵
계란 완숙 vs 반숙?
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금융권 이직 조언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96년생으로 중경외시 경영학과 졸업했고 현재 4년차 회계사로 빅펌 금융감사본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번 기말감사 시즌 보내면서 감사가 적성에 맞지 않음을 느끼고 이직을 시도해보려 하는데요 사실 회계법인 호황기에 입사했다보니 제대로 취준을 한적이 없어서 무엇부터 준비해야할지 막막해서요…! 제 주변에 금융권 이직한 회계사도 아직 없어서 정보 구하기도 어렵고… 증권사 운용부서나 공제회, IPO부서를 경험해보고 싶은데 현재 토익/오픽, 투운사 공부 말고 딱히 뭘 해야할지 가늠이 안됩니다. 현재 제 상황에서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조언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ps.그리고 제가 시험을 일찍 합격해서 놀러다닌 기간이 길어 학점이 안좋습니다ㅜ… 3.1정도… 많이 불이익이 있겠죠…?
옹계사
13시간 전
조회수
389
좋아요
3
댓글
4
AI개발자 되려면
어디에서 배워야할까요? 유명하고 좋은 교육기관/부트캠프 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ai2025
14시간 전
조회수
105
좋아요
0
댓글
2
개발자에서 사업개발 직무 변경 시 초봉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4년차 개발 경험이있는데 더 늦기전에 사업개발 직무로 전환하려 합니다. 사업개발 면접을 진행하고 있는데 희망연봉을 말할 때 좀 고민이 되더라구요.. 직무 변경 시 연봉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모르겠어요.. 사업개발 신입 연봉을 얼마로 잡아야할까요? 개발 경험이 있어도 신입 연봉으로 말하는게 좋을지 개발경험이 있으니까 해당 경험 고려하여 말하는게 좋을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MAC
14시간 전
조회수
94
좋아요
0
댓글
1
뒤숭숭한 꿈꾸고 난뒤에 어떻게 하시나요?
물론 꿈이 현실의 반영이긴 한데 근래 꿈자리가 별로 안좋은데요. 이럴때 꿈 해몽을 찾아보거나 신점을 보는 분 계신가요
붉은망토챠챠
쌍 따봉
14시간 전
조회수
129
좋아요
0
댓글
4
서울-대구 이직 일자리 고민 봐주세요
전 서울 살고 있고 5월에 결혼합니다. 신혼집은 대구에요. 현회사 재택근무 주2회이고 당일 연차나 재택 가능해요. 연봉 다합치면 4300정도 됩니다. 대구는 공고를 8개월 동안 봐왔지만 일자리가 별로 없어서 아직 지원은 안했는데.. 평균 연봉보니 4300 못맞춰줄거 같더라고요. (공기업 제외) 고민1. 거주지 이전으로 인한 퇴사 후 실업급여 받으면서 공기업 준비 어떨까요? 고민2. 만약 실업급여 신청하지 않는다면 재택을 주3회로 늘려서 ktx타고 출근할까 합니다. (친정 서울에 2박하고 다시 내려오는 일정..) 어차피 죽을 때까지 ktx 타고 다닐 순 없으니 연봉 낮추고서라도 이직 해야할까요? 연봉 떨어지는게 너무 싫어서요ㅎㅎ… 제가 전문직이나 기술직이 아니다보니 직장 구하기가 어렵네요. 많은 고견 부탁드립니다~!
igloo
14시간 전
조회수
225
좋아요
5
댓글
8
전현직 5대 은행 출신이신 분~
요즘 청년들과 신혼부부들의 정책자금대출(버팀목, 디딤돌 등) 관련 문의가 급증하고 있는데, 대환대출 전략, 금리 낮추기 전략 등을 포함한 실제 상담 난이도는 어느 정도일까요? 금융 전문가 분들은 이런 상담은 어느정도 난이도일지 궁금합니다. 혹시 전문적으로 정책자금 대출 상담을 해주실 분이 계실까요? 상담료를 받고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할 전문가를 찾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의견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linie
14시간 전
조회수
239
좋아요
0
댓글
0
나 기자질 제대로 하고 있는게 맞아?
취재>비판>돈받고 기사 바꾸기 항상 반복이야 난 기자도 아닌거겠지 아는 기자님 없어서 여기에 물어볼게. 다른 언론사도 비판기사는 무조건 내릴 준비하고 기사 써? 이게 기자가 하는 일이야? 아님 이 회사만 이렇니? 그냥 광고집행회사야 여기는
moonlig
쌍 따봉
15시간 전
조회수
122
좋아요
8
댓글
10
투표 매일 야근을 찾아서하는 팀장
50대 팀장님 야근을 찾아서하는 스타일이시고 정시출근해서 5일에 3-4일은 야근하시는데 회사에서 일 끝내고 집에서는 쉬자 스타일이시고.. 전 30분 일찍 출근해서 야근없이 퇴근하기 위해 말도 아껴가며 업무에 매진하고 정시 퇴근하는 스타일입니다. 퇴근 후 육아에 운동도 해야하고 자기개발 꿈도못꿉니다. 퇴근해서도 일이 있을 때가 많아 원격으로 일처리하는데.. 단지 야근 안 한다고 퇴근하는데 웃으며 인사해도 받는둥 마는둥 눈치보여 퇴근할 때마다 스트레스받내요. 상위고과자이니 진급이나 성과급 생각하면 한번씩 야근을 만들어야하나 싶기도하고 참 갑갑하내요. 여러분들은 회사생활 어떻게하고 계신가요? 선배님들의 고견 여쭙습니다😊
럽미럽미
15시간 전
조회수
118
좋아요
2
댓글
4
이직시 경력에 육아휴직 기간 말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직을 위해 면접을 보러 다니고 있는데 직전 회사에서 육아휴직 쓴 기간이 있어서요. 근무기간이 6년이라고 하면 출산휴가+육아휴직=1년3개월이 빠지는데 이걸 굳이 말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말하자니 너무 티엠아이같고 안하자니 경력을 속이는 기분입니다;; 몇개월도 아니고 1년이 넘는 기간이라 계속 마음이 불편하네요.. 법적으로나 경력증명서상 문제는 없을거같은데 나중에 불이익이 생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유아휴직을 썻다하면 본의아니게 결혼유무와 자녀유무가 나올텐데 면접에서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굳이 제가 개인정보를 말해서 아직 어린 자녀가 있다는것을 밝히는것도 머뭇거려집니다.(혹시 아이가 어리다고 안 뽑힐까봐..ㅠ) 선배님들의 소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지슬
15시간 전
조회수
201
좋아요
3
댓글
2
이직의 타이밍
이제 4년차 정도되는 영업사원입니다.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중소기업 특성상 여러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규모의 한계가 있습니다. 저보다 2년 정도 먼저 입사한 선배가 있는데, 일을 잘하다 보니 회사에서 신임을 받고 대부분 회사 선배가 하는대로 회사가 흘러가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다보니, 영업팀장님도 해당 인력과만 일을 하려고 하시고, 사실상 다름 팀원들은 조금 등한시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일을 잘하니 인정받는 것은 당연하고, 제가 더 열심히 노력해야되는 부분도 있지만, 계속해서 잔업만 처리하거나, 인적 인프라도 두 분만 공유하는 차원에서 움직이다 보니, 활동하는 범위도 굉장히 제한적입니다. 새로운 영업활로를 뚫거나 하는 부분에 있어 저에게 역할을 맡기지 않거나, 추가적인 고객확보에도 제약이 존재합니다. (기존 고객만 관리하라거나, 새로운 고객을 확보해도, 선배에게 넘기라고 하거나) 이러한 상황에서 제가 조금 더 버티며 다져가는 생활을 해야할까요, 아니면 좀 더 규모가 있는 곳이나 다른 곳으로 옮기는게 맞을까요. 연차는 쌓여만 가는데, 일의 발전이 없다보니 걱정이 너무 큽니다..
슬쩍
15시간 전
조회수
170
좋아요
0
댓글
2
소심하고 어리버리한것 같아요
원래 좀 소심해서 혼자 끙끙 앓는 스타일에 어리버리끼도 좀 있는거 같은데 이런것 어떻게 고쳐야할까요 ㅠ 남들은 막 바쁜데 저혼자 어리버리한거같아요 ...
hssii
동 따봉
16시간 전
조회수
135
좋아요
0
댓글
2
CJ 제일제당 vs 올리브영 vs 올리브네트웍스
19일부터 공채 열리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중고신입으로 지원하려는데 궁금한 점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1. 셋 중 개발자로서 일하기 가장 좋은 곳은? (역시 대장사 제일제당이려나요..?) 2. 복지 차이가 있는지? 3. 근속연수는 얼마나 되는지? 4. 연봉/성과급 차이? 그 외 회사 분위기, 근무 환경 등 현실적인 조언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꾸벅)
@CJ제일제당(주)
개발쉐발
16시간 전
조회수
211
좋아요
1
댓글
3
이직을 헤드헌터 통해서 하려고합니다
잘해주는 헤드헌팅 업체있으면 공유부탁드립니다. 헤드헌팅으로 이직준비는 첨이라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우리집히어로
16시간 전
조회수
173
좋아요
0
댓글
0
중견-대기업 회계담당자분들 도와주세요
혹시 유형자산 취득 인식할 때 법인세법상 손금산입 되는 금액 기준 말고,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내부 규정에 금액 기준 넣어서 관리하는 곳 있을까요? 케이스 스터디가 필요한데 정보의 바다에 정보가 너무 없네요 ㅜㅜ
잼줴표
16시간 전
조회수
79
좋아요
0
댓글
0
일본 여행 가고 싶은데…
제목 그대로 일본 여행이 가고 샆은데 한 번도 안 가봐서 가보신 분들 있으시면 몇 월에 어느 지역이 좋은지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그리고 대략 필요 경비랑 비행기표, 호텔 예약하는 꿀팁 같은 거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청포도사탕
16시간 전
조회수
106
좋아요
0
댓글
4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