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의무가입 만기 대응 방법 및 절세 전략 정리
ISA 들어두는 게 좋다고해서 가입은 했는데
의무 가입 기간이 끝나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인 분들을 위해
ISA 계좌 만기 시 대응 방법과 절세 전략을 정리하여 안내 드립니다!
____________
🔎ISA 만기 시 대응 방법
ISA 계좌는 만기 시점에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30일이 지나면 일반 계좌로 전환되어,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기일 이전에 아래 중 하나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만기 시점이 도래하지 않았더라도 의무 가입 기간이 지났다면 아래와 같이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연장 (계좌 유지)
이런 경우라면 만기 연장(계좌 유지)를 고려해보세요
- 만기 시점에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손실을 확정하고 싶지 않은 경우
- 순수익이 비과세 한도를 넘지 않아 계속해서 ISA 세제 혜택을 받으며 운용하고 싶은 경우
- 만기가 있는 금융 상품을 보유 중인데, 상품 만기가 계좌 만기보다 긴 경우
- ISA 가입 이후 이자 및 배당 소득이 연 2000만 원을 넘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된 경우
만기 연장은 만기 3개월 전부터 가능하며, 연장 시점에 다시 만기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의무 가입 기간만 지킨다면 언제든지 해지 가능한 만큼 ISA 계좌 개설 시 만기를 9,999년으로 설정하면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습니다.
2. 해지 (종료)
이런 경우라면 해지를 고려해보세요.
- 순수익이 비과세 한도를 넘는다면 해지하여 세제 혜택을 받는 것이 유리
ISA 계좌를 해지하면 계좌에서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합산(손익통산)하여 순이익을 기준으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순수익에 대해서는 9.9%의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됩니다.
이 혜택은 일반 이자소득세나 배당소득세율인 15.4%보다 훨씬 낮습니다.
단, 앞서 말한 것처럼 만기 후 30일이 지나면 일반 계좌로 전환되어,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걸 꼭 기억해주세요.
📌ISA 절세 혜택 비교
ISA에서 투자했을 때와 일반 계좌에서 투자했을 때 발생 세금을 비교해볼까요?
A) 이익 500만 원, 손실 200만 원 = 순소득 300만 원
→ 일반 계좌: 과세기준 500만 원 * 세율 15.4% = 세금 77만 원
→ ISA (일반형) : (순소득 300만원 - 비과세 200만원) * 세율 9.9% = 세금 9.9만
B) 이익 800만 원, 손실 400만 원 = 순소득 400만 원
→ 일반 계좌: 과세기준 800만 원 * 세율 15.4% =123.2만원
→ ISA (일반형): (순소득 400만원 - 비과세 200만원) * 세율 9.9% = 19.8만
*과세기준 금액과 세금은 투자 상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
🔎 ISA 만기 자금 세제 혜택 극대화 방안
만기 해지 자금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이 세제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1. 연금 계좌로 이전 (IRP 또는 연금저축)
ISA 만기 자금을 해지 후 60일 이내 연금 계좌로 이전한다면 추가 세제 혜택이 부여됩니다.
📌ISA 만기 자금 이전 혜택
- 연금 계좌 연간 납입 한도는 연금저축+IRP 합산 1800만 원
- ISA 만기 자금은 이 한도 초과하여 1억까지 납입 가능
- 이전 금액의 10% (최대 300만 원)를 추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음
📌ISA 만기 자금 연금계좌로 이전 시 Tip
- 연금 계좌 납입금액을 늘리고 싶다면, 한도 내 전체 이전해도 됨
- 추가 세액공제 정도만 필요하다면 3000만원까지만 이전해도 무방
- 세액공제 적용된 300만 원을 제외한 금액은 언제든 인출 가능 (세액공제 받지 않아 비과세, 단 연금저축은 중도인출 자유롭지만 IRP는 제약 있음)
- 또한, 이듬해 납입연도 전환을 신청해 세액공제 받거나, 세액공제 안받고 그냥 운용하는 방법도 있음.
2. 해지 후 재가입 (새로운 ISA 개설)
ISA를 해지하고 새로운 ISA를 개설하면, 그 해 연간 납입한도 2천만 원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같은 해 최대 4천만 원까지 ISA에 납입할 수 있게 되어, 자산 증식 기회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3년마다 ISA를 해지하고 재가입하는 방식으로 세제 혜택을 반복적으로 누리는 전략입니다.
____________
📢 요약 정리 및 ISA 계좌 관리 조언
- ISA 계좌 개설 시 만기를 최대한 길게 설정(예: 9999년으로)해서 유연성 확보하기
- 만기 3개월 전부터 계획 수립하기: 의무보유기간 만기 혹은 계좌 만기가 도래하기 3개월 전부터 계좌 현황을 확인하고 연장, 해지 또는 연금 이전 등 계획 수립
____________
2021년 처음 중개형 ISA가 출시된 만큼,
ISA 의무 가입 기간 3년 만기가 끝나가는 분들을 위해 이번 글을 작성해 보았는데요.
혹시 아직 ISA 가입을 안했거나 알아보고 있는데,
뭐가 뭔지 어려운 분이 계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에 남겨주신 내용 참고해서 다음 편에서 안내 드리겠습니다😊
*본 콘텐츠는 리멤버x든든의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