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앱을 설치하고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을 받아보세요
오늘 가장 인기있는 회사생활 소식을 받아보는 방법!
실시간
국민연금 진짜 내기 싫다
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Chat GPT가 알려주는 UX 직무에 필요한 덕목
UX 디자이너로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덕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 중심성 (User-Centeredness) 사용자 중심성은 UX 디자인의 핵심 가치 중 하나로, 사용자들의 니즈와 목표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설득력 (Persuasiveness) UX 디자이너는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설득하고 사용하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설득력 있는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창의성 (Creativity) UX 디자인은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디자이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기존의 문제를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문제 해결 능력 (Problem-Solving Skills) UX 디자인에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합니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커뮤니케이션 능력 (Communication Skills) UX 디자인은 여러 팀과 협업하며 진행되는 작업입니다. 디자이너는 다른 팀원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며 협력할 수 있어야 합니다. 6. 분석 능력 (Analytical Skills) UX 디자이너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행동과 의견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을 개선하고,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7. 기술적 지식 (Technical Knowledge) UX 디자이너는 웹 디자인, 모바일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등의 기술적 지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을 구현하고, 개발자들과 협업하여 최종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재훈
인플루언서
은 따봉
선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글로벌협력실
2일 전
조회수
136
좋아요
0
댓글
2
업무상 회사 손실 발생
무역회사 무역팀 차장입니다. 회사 규모가 크지 않고 오너의 친동생이 영업하여 신규호텔 개점하는 곳에 관련 제품들을 제가 모두 쏘씽하여 납품하기로 계약을 맺었습니다. 코시국이라 중국에 제품검수를 가지 못한점도 문제 발생의 한가지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호텔 오픈일에 무조건 맞추라고 급하게 업무진행을 했었구요. 침대프레임과 매트리스 를 수입했는데 프레임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사진과 계약서상에 다리가 있는 프레임이라고 명기된 계약서로 계약을 했는데 물품 납품 전, 숙박업소용 프레임이 아니라고 모두 반품하겠다고 합니다. 오너 동생분이 영업이사로 발주를 받아 온 부분이고, 영업이사님이 제품을 반품처리 하라고 하시고,국내에서 급히 프레임만 별도 제작하여 납품하시기로 호텔측과는 정리하신 것 같은데요. 수입한 물건은 무용지물이 되고, 이미 결제한 부분과 국내에서 다시 준비할 프레임 구입비용까지 모두 돈과 연결되는 부분이니, 제가 너무 난감해서요.ㅠ 중국 무역만 10년 넘게 해오면서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 중국 공급업체는 절대 반품을 받지 않을테구. 이미 결제한 금액이 약 1400만원 정도. 재구매 비용은 3천만원 정도가 될것 같아요. 물론 납품처에서 아직 모두 결제받지 못한 상황이라 추후 결제대금에서 차감하는 방법일테지만, 회사의 손실 부분에 대해 수입을 담당하고 납품한 본인이 책임지고 수습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회사의 매출증대와 더 많은 이윤을 만들기 위해 일해 왔고 제 업무로 인해 이런 손실이 생긴 경우가 처음이라 막막합니다. 월요일 출근해서 무슨 말을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르겠구요. 이런 경우, 개인적으로 회사 손실에 대해 일정 부분 책임을 지어야 하나요? 경험 있으신 분들 도움 말씀 부탁드려요.
쉰직장맘
2일 전
조회수
985
좋아요
2
댓글
9
A6 vs 아이오닉6
차 살껀데 둘 중 어떤게 좋을까…? 추천 좀
iii11888
2일 전
조회수
291
좋아요
0
댓글
1
Q. 밀려오는 무기력함,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스테르담 직장인 심리카페 의뢰 내용을 정리하여 연재합니다. Q. 밀려오는 무기력함,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작년 한 해 정말 열심히 준비했던 프로젝트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맞이했습니다. 어두운 터널을 달리고 있는 기분입니다. 이젠 예전처럼 업무에 대한 열정이나 의욕이 나질 않아요. 지금의 제 모습, 바뀔 수 있을까요? A. 우리 뇌에는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있습니다. 도파민은 쾌감과 관련된 호르몬이지만 동시에 ‘보상’이나 ‘동기 부여’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혹시, ‘보상 예측 오류’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말 그대로, 어떤 보상이 올 것이라 예상했지만 그것이 빗나갔을 때 사람은 도파민의 양에 따라 감정이 오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 시간 후에 선물을 받을 것이란 이야기를 들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약속대로 선물을 받게 되면 도파민이 분비되어 즐거움과 기쁨의 감정을 느낍니다. 흥미로운 건, 막상 선물을 받았을 때보다 받기 전 무엇을 받게 될까 상상하던 그때 더 많은 도파민이 분비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선물을 받게 될 거라고 기대했다가 못 받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도파민의 양은 급격히 줄어들고, 오히려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어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어렵게 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 머리와 마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지금 상황이 객관화될 수 있고, 그래서 나 자신을 좀 더 돌아볼 수 있게 됩니다. 질문자께서는 아마 준비했던 프로젝트에 그 어떤 ‘보상’을 기대하고 있었을 겁니다. 그게 인센티브든, 아니면 개인적인 보람이든 말이죠. 프로젝트가 좋지 않은 결과를 맞이했을 때 그 보상에 대한 기대는 날아가 도파민은 줄어들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더 많이 분비된 겁니다. 이럴 땐, 호르몬에 휘둘리지 말고 기분을 먼저 바꿔 호르몬의 종류를 바꿔보는 게 좋습니다.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으니까 행복하다는 말이 바로 그 힌트입니다. 질문자께서 열정과 열심을 다한 그 일은 결과가 좋지 않았을지언정, 그 과정에선 분명 의미가 있었을 겁니다. 수고한 나에게, 내가 보상을 준다 생각하고 크게 한 번 웃어 보시기 바랍니다.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다시금 힘을 낼 수 있는 기운을 전해줄 것입니다. 아, 그리고 한 가지 더. 터널은 어둡지만 높은 산을 뚫고 지나가는 지름길이란 걸 알아차리셨음 좋겠습니다.
스테르담
쌍 따봉
2일 전
조회수
208
좋아요
0
댓글
0
칸서스자산운용 주식본부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현재 셀사이드 리서치에서 근무중입니다. 인하우스 리서치로의 이직을 고려 중인데, 최근 칸서스운용 주식쪽 공고가 나서 질문드립니다. 대체투자 위주로 굴러가는 하우스인 것 같은데, 주식쪽은 어떤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아시는 분 계시다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씨삐에이
2일 전
조회수
1,265
좋아요
5
댓글
7
사내규정변경으로 인한 연차일수 변경
사모자산운용회사인데요 대표님께서 내규로 연차를 전직원 연차와 상관없이 5일로 고정하라고 하네요. 여름휴가 5일 이렇게요. 이게 가능한가요? 내규로 정한거라 법과 상관없다고 저만 꽉막힌 사람으로 대하시는데 이래도 되는건지.. 알려주세요. 추가로 대표님께서 회계법인에 확인했는데 어떤 운용사도 연차수당 지급해주는곳은 단 한곳도 없다고 확인했다고 합니다.
너만몰라95
2일 전
조회수
1,066
좋아요
0
댓글
14
투표 이력서 쓰고있는데 경력사항 질문드립니다
현직장 (중견 설비 엔지니어) 2022.06 ~ 재직중 전직장 (중소 비파괴검사) 2019.06 ~ 2020.08 (방사선 많이 맞아서 퇴사) 2020년 졸업인데 19년 6월부터 일한 이유는 조기취업이구요 2020년 이후 중간 공백기에는 이것저것 했습니다 창업준비, 쿠팡맨도 하고 중소기업에서 잠깐 일하기도 했구요 돌고돌아서 회사일만한게 없다 하고 2022년 6월에 지역 사람들은 이름 들어본 회사에 설비 엔지니어로 취업했습니다 그러다가 이번에 대기업 설비 엔지니어 이력서를 쓰는중인데요 작은 사업체 운영하는 친구중 1명은 자기가 이력서 볼때 제일 먼저 보는게 이전회사 근무기간이라고 하면서 차라리 중소기업 비파괴검사 경력은 지우라고 하네요 그러면 공백기가 너무 길어지는데 지우는게 맞나요? 아니면 쓰는게 맞나요?
이야아아아아
2일 전
조회수
316
좋아요
0
댓글
2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저는 30초 마케터입니다. 지금 다니는 회사는 중소기업으로 연봉은 높지 않으나 업무강도나 워라벨을 봤을때 괜찮은 수준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같이 일하는 사람들도 나이스하구요. 다만 최근 회사 적자가 계속 심해지고 내부인원들의 갈등이 생겨 몇몇 인원들이 대거 이탈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사업부가 힘든 시기를 겪고 있어요. 이러한 상황에서 이전에 같이 일했던 지인이 사업을 시작해서 입사 제안을 했습니다. 아예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지만 업무 영역으로는 제가 주력으로 여태 했던 업무 + 새로운 시도의 업무입니다. 당연히 자본이 적다보니 옮기게 된다면 연봉도 -1,000만원 수준으로 내려가고 복지도 거의 없으며 회사위치도 먼 상황입니다. 근데 제안준 지인이 영향력이나 인지도가 있기도 하고 얼마나 성실하고 진취적인 사람인지 잘 알며 저와 같이 일한 경험도 있다보니 서로 업무스타일은 알고 있습니다. 단편적인 조건들만 봤을때는 옮길 이유가 없어보이지만 이상하게 결정을 쉽게 못내리겠네요.. 저도 제 맘을 잘 모르는것같습니다. 아무래도 이런 경험이 많으신 선배님들에게 조언을 들으면 큰 도움이 될 듯하여 글을 쓰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블라에도 같은 글을 올렸으나 더 많은 조언을 구하고 싶어 리멤버에도 작성하게 됐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야근싫어
2일 전
조회수
1,111
좋아요
1
댓글
12
연봉 1억 별거 아니더니이다...
대리 말년차 시절 존경하던 부장님께서 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난 부장이 되면 신입 연봉의 세 배는 받을 줄 알았더니 그건 아니더라." 10여년 전 그 시절에도 그 부장님은 연봉이 1억이 넘으셨던 것 같습니다. 어느 덧 10년이 지나서 저도 부장이 되었고, 이제 신입사원 연봉 3배를 근접하는 수준은 되었네요. 그래봐야 유리지갑 직장인의 연봉은 30년 전에 정해진 세율표에 따라 고액 연봉자로 분류되어 높은 세율에 세금은 왕창 떼이고, 연봉에 비례한 준조세들 (국민연금, 건강보험) 도 무섭게 떼어 갑니다. 소득 공제도 받기 어려운 중고생 아이들의 학원비는 제 통장에서 순식간에 체크아웃되고, 아이들 용돈에 생활비에 다 빠지고 나면 .. 괜찮은 기계식 키보드 하나 사는데도 몇 번의 고민을 하게 되는 하찮은 아저씨가 됩니다. 옆자리 김대리는 아무렇지도 않고 신형 아이폰을 사는데 저는 아이의 아이폰은 사줄 수 있어도 제 갤럭시는 5년째 제 손에 있네요. 연봉 1억 딱지는 붙었지만 이게 먼가 싶어서 그냥 주절주절 써 봤어요.
흰머리개발자
1억 인증
쌍 따봉
2일 전
조회수
15,235
좋아요
193
댓글
65
보전업무 하면서 가공,품질 업무 병행에 대한 메리트?
제목 그대로입니다. 새로 이직한 회사에서 보전업무 기본 베이스에 가공업무(제품치수관리 및 셋팅)와 품질업무(가공한 제품 측정 및 양산여부 결정)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기계수리만 하다가 한번도 안해본 가공과 품질까지 같이 하려니 머리에 쥐가 날듯한(?) 고통을 겪고있는데, 이렇게 업무 병행을 하면 차후에 창업이라든지, 연봉 상승요소에 반영이 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회사 대표가 설계경력 30년 이상이라 웬만한 분야는 다 꿰뚫고 있어, 배운다고 생각하고 다니기에는 좋습니다. (라떼 화법만 견딘다면 나름 좋은 조언도 해주심)
동방백서
쌍 따봉
2일 전
조회수
648
좋아요
0
댓글
4
전기차란 무엇인가?
McKinsey에서 2023년 2월 6일에 발행된 전기차란 무엇인지에 대한 리포트를 분석해보았습니다. 1. 전기차(EV)란 무엇인가? EV는 전기 자동차의 약자입니다. 전기 자동차는 가솔린 탱크 대신 배터리가 장착되고 내연기관(ICE) 대신 전기 모터가 장착된 차량의 일종입니다. 시중에는 배터리 전기 자동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등 여러 유형의 전기 자동차가 있습니다. 2. BEV는 동력원 및 배출가스 측면에서 PHEV 및 HEV와 어떻게 다른가요? BEV는 충전식 전기 배터리로 구동되며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PHEV는 전기 모터와 소형 연소 엔진으로 구동되며, 20~60마일의 순수 전기 주행 거리를 가지며 충전소에서 충전할 수 있습니다. HEV는 내연기관 엔진과 저속에서만 보조하는 전기 모터가 있습니다. 배터리는 내연기관 또는 제동 시 회생을 통해 충전됩니다. 배기가스 배출 측면에서 BEV는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전혀 없는 반면, PHEV와 HEV는 연소 엔진으로 인해 약간의 배기가스가 발생합니다. 3. 기존 가솔린 차량과 비교하여 전기차를 소유하면 어떤 이점이 있나요? 기존의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전기차는 배기관에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며 내연기관이 없습니다. 즉, 환경 친화적이며 대기 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가 휘발유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전기차의 운영 비용이 더 저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구매 시 초기 비용이 기존 자동차보다 높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4. 전기차를 구매하는 개인에게 제공되는 정부 인센티브나 프로그램이 있나요? 많은 국가 정부에서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옵션의 채택을 장려하기 위해 전기차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2030년 또는 2035년에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일정을 앞당긴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제공되는 구체적인 인센티브와 프로그램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5. 본 보고서의 인사이트와 결론은 무엇인가요? 본 보고서는 각 국가별 전기차 시장의 주요 성과 지표를 평가하여 전기차(EV)의 지역별 역학 관계와 새로운 트렌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는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유형의 전기차와 그 장점, 기존 가솔린 자동차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또한 이 보고서는 많은 국가 정부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옵션의 채택을 장려하기 위해 전기차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출처: McKinsey. (2023). "What is an EV?" https://www.mckinsey.com/featured-insights/mckinsey-explainers/what-is-an-ev#/
이재훈
인플루언서
은 따봉
선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글로벌협력실
2일 전
조회수
220
좋아요
0
댓글
0
아이패드 충전 중 꺼짐 및 안 켜짐
안녕하세요, 구매한지 1년도 안된 아이패드 에어 5세대가 충전중에 꺼졌는데, 안 켜져서요;; 중전기에는 문제가 없는듯한데 혹시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리퍼감인건지, 수리비가 부과되는 함께 여쭤봅니다.
사회초년생이에요
동 따봉
2일 전
조회수
150
좋아요
0
댓글
2
2022년 미래 모빌리티: 과대 광고에서 현실로의 전환
McKinsey에서 2023년 3월 10일 발간된 모빌리티 관련 보고서를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현재 모빌리티의 현주소를 점검해보았습니다. 1. 2022년 미래 모빌리티는 어디에 위치해있는가? 여러 모빌리티 분야에서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서도 진전이 계속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22년이 모빌리티 영역에서 재편되는 한 해였다고 강조합니다. 항공 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는 2021년 기록에 미치지 못했지만, 많은 기업이 기술을 발전시키고 규제 승인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자율 주행에 대한 열기는 다소 가라앉은 듯 보이지만, 주요 업체들은 여러 도시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고객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등 엄청난 기술적 진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또한 도시 접근 제한의 확대로 인해 모빌리티의 미래에 중대한 변화가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모든 산업에서 반도체 부족을 초래한 구조적 문제와 위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아울러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는 구독 서비스 또는 소비자 직접 판매 상품으로서의 자동차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미래 모빌리티는 기술의 발전과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로 특징지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도시 접근 제한 및 반도체 부족과 같은 문제가 발전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미래 모빌리티가 현실이 되려면 무엇을 해야할까? 미래 모빌리티가 현실이 되려면 기술적 진보와 함께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자율 주행과 같은 새로운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술을 상용화하려면 고객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율 주행 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도시 접근 제한 등의 구조적 문제와 반도체 부족 등의 위기 대응이 필요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는, 구독 서비스나 고객 직접 판매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고객들에게 유연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소유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래 모빌리티가 현실이 되려면 기술적 진보와 함께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출처 : McKinsey. (2023.03.10.) "Future mobility 2022: Hype transitions into reality." https://www.mckinsey.com/industries/automotive-and-assembly/our-insights/future-mobility-2022-hype-transitions-into-reality#/
이재훈
인플루언서
은 따봉
선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글로벌협력실
2일 전
조회수
117
좋아요
1
댓글
0
미래의 자동차 및 모빌리티 산업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
미래의 자동차 및 모빌리티 산업은 어떻게 변할까요? 2023년 2월 16일 BCG에서 나온 최신 모빌리티 리포트의 주요 내용을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습니다. 1. 분석의 주요 결과는 무엇인가요? 2035년까지 글로벌 자동차 및 모빌리티 산업의 총 가치 풀이 크게 증가하여 매출 8조 3,000억 달러, 이익 5,24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또한 일시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업계의 전체 이익률은 6.3%로 증가할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신기술, 고객 선호도 변화, 신생 모빌리티 업체 및 기타 업계에 급격한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는 요인에 기인합니다. 2. 어떤 산업 부문에서 매출과 수익이 가장 많이 증가할까요? 업계 매출과 이익 성장의 대부분은 배터리 전기차(BEV), 자율주행차(AV), 온디맨드 모빌리티 등 새롭게 떠오르는 수익 창출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부문은 2035년까지 거의 10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내연기관 차량 및 관련 서비스와 같은 전통적인 수익 풀은 실제로 약 1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전통적인 NCS 수익 부문은 2021년 1,200억 달러에서 2035년 470억 달러로 급감할 것이며, 이는 주로 순수 ICE 차량의 감소(디젤 -95%, 가솔린 -89%)에 기인합니다. 3. 2035년까지 기존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성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성은 2035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을 포함한 내연기관(ICE) 차량의 판매 수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여 60% 이상 줄어들 것입니다. 반면, 배터리 전기 자동차(BEV), 자율주행 자동차(AV), BEV 및 AV용 부품과 소프트웨어, 주문형 모빌리티(ODM) 등 소수의 신흥 부문에 자동차 업계의 거의 모든 매출과 이익 성장이 집중될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업계의 수익성은 기존 기업이 오랫동안 지배해 온 전통적인 풀에서 벗어나 신흥 풀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 BCG. (2023.02.16.) "How to Profit in Tomorrow’s Automotive and Mobility Industry." https://www.bcg.com/publications/2023/profiting-in-the-future-of-automotive-industry
이재훈
인플루언서
은 따봉
선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글로벌협력실
2일 전
조회수
118
좋아요
0
댓글
0
해외영업 이직 후 질문 처우 관련 조언을 구합니다.
병원용 미용제품 국내외 영업을 같이하고있습니다. 경력은 2년입니다 나이는 30대 중반이고 현 회사로 이직한지는 반년정도 되었습니다. 현 회사 지금 처우는 기본급은 3천 영업비나 활동비는 전혀없고 차량유지비만 30정도 앞으로 받을 예정입니다. 다만 인센을 매출액(부가세포함)의 5프로 고정으로 받고있습니다. *첫 3개월은 사실상 국내외 매출 거의 없었고(월 500-1000정도 악으로 깡으로 만든 수준) 뒤 3달은 계약들이 하나씩 생겨가면서 월2천 이상 유지하다가 최근에는 3-5천만원 정도였고 이번달의 경우 의도치 않은 단발성 거래로 인해 8천만원 정도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보통 계약이 장기적인 계약이다보니 앞으로 5천 정도의 선은 유지될거같습니다. 모든 영업은 기존 거래처나 소개가 아닌 직접 관련 회사들에 자료 만들어서 메일 보내는 방법을 해서 방문하더나 줌 미팅을 통해서 계약했습니다, 300곳 정도 시도해서 5곳 정도 계약을 진행했습니다..) 현 업계에 오기전 연봉은 세전 6000정도의 연봉이었고 이외에 차량지원(120만원 가량, 활동비 100프로 지원, 숙소지원)이었습니다(70프로 해외근무. 간혹 한국 일정) 현 회사에서 영업외에 마케팅 sns관리 등 하고 있습니다. 기본급이야 주 근로시간이 짧고 출퇴근이.코앞이라 제가 포기한 부분도 있습니다(출근시간을 뒤로 미뤄야하는 개인적인 이유) 출근은 11시까지 하고있고 퇴근은.. 어느정도 자유가 있습니다(보통 4-5시) 집에와서 줌미팅 보통 하루 한두건 정도씩 진행합니다. 메일이나 메신저는 눈뜨고부터 자기직전까지 무조건 실시간으로 응대하고 있습니다. 영어는 업무상 소통 전혀 문제없습니다. 곧 승진 얘기가 나오면서 곧 처우에 대한 얘기를 나눌텐데 처우를 협상하거나 그런 경험이 단 한번도 없습니다. 또한 기본급이나 인센티브 비율에 관해서 유사업계 근무하신 분이 없는터라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현 업무가 너무 재미있고 앞으로 평생 가져가고 싶은 직종인터라 중요한 시점에서 조정이 필요한부분이라면 조정을 요청해보려고 합니다(조정이 필요없는 상황이라면 그냥 직책만 변경하면 된다라고 말씀드리려 합니다) 흔한 지방 4년제 졸업했고, 미국 교환학생 1년 있습니다. 타 경력 5년(해외근무였으나 현업계와 관계는 전혀없음) 오픽 AL입니다.
해외영업늦둥이
2일 전
조회수
1,287
좋아요
4
댓글
3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Drama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