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앱을 설치하고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을 받아보세요
오늘 가장 인기있는 회사생활 소식을 받아보는 방법!
실시간
추석 선물 뭐 받으시나요
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오늘 화상 면접 예정이였는데 면접관 잠수
오늘 면접 예정이였는데 면접관이 잠수 탓아요… 욘락처가 있어 문자 보내놓고 기다리다가 연락이ㅜ인와서 전화해보니 전원이 꺼져있었습니다… 토요일에 보는 면접이였고 귀사 면접 보고싶으니 메세지 보면 연락해달라 문자 보내 놓은상태인데… 다른 사람 뽑아서 그런 걸까요..? 아니면 다른 일이 생겨서 갑짝스럽게 파토 난걸까요… ㅠㅠ
노는게제일좋아1
어제
조회수
2,242
좋아요
5
댓글
7
28살, 진로 선택하기가 막막하여 조언을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저는 28살 입니다. 군대를 전역하고 3학년에 복학하자마자 스타트업/창업에 관심이 생겨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작년 2월, 대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쇼핑몰(구매대행)을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나름의 성과도 있었지만 결국 빚을 지게되면서 쇼핑몰을 정리하고있는 중입니다. 빚이 있기때문에 당분간은 수년동안 회사에 취직할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창업과 관련된 공부만 하다보니 스펙을 쌓아놓은 것이 거의 없어 새롭게 쌓아가야하는 시점에 있습니다. 많은 기업에서 환영하는 개발 공부도 생각하고 있고, 어디에서나 필요한 영업같은 일도 해보고 싶고, 투자나 컨설팅 관련 회사에 들어가 성장하고 싶은 마음도 있는 만큼 분야에 대해서는 마음이 많이 열려있습니다. 취직도 취직이고, 창업하며 생긴 빚도 있고. 여러가지로 막막한 상황에 있어 도움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했고, 간단하더라도 댓글을 남겨주시면 미래 생각을 하는 데에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아직 미완성이지만 대학생때 만들어두고 간단히 수정해온 포트폴리오를 첨부합니다. https://choidongwon.notion.site/1-94850c4e8e5f4dbf980f44ac7a2d4afb?pvs=4 감사합니다!
진로설정
5시간 전
조회수
228
좋아요
1
댓글
13
투표 [게임 사업 개발/PM] 게임 분석 방법
안녕하세요, 게임 사업 개발 / PM 공부하는 취준생입니다. 한 페이지에 깔끔하게 게임을 분석하는 방법을 공부하다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글 올립니다. 학교에서는 SWOT 분석을 배웠지만, SWOT는 너무 오래된 것도 있고 사실상 주관식 50%, 객관식 50%가 담긴 분석 표라서 다른 분석 방식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조사해 보니 SWOT 대신 TOWS, PLOT, SOAR, PTA, 다양한 분석 방법이 존재한 걸 보았습니다. 게임 업게에서 근무하는 사업 개발 / PM 선배들은 어떤 분석 방법을 추천하거나 회사에서 어떤 분석 방법을 선호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파스타킬러
33분 전
조회수
3
좋아요
0
댓글
0
중소 중견에서 중견, 대기업으로 이직해보신 분들께 질문
안녕하세요 중소 2년차 사회초년생입니다 감사하게도 담당 업무 내용이나 업무 강도, 팀원들 다 훌륭한 곳에서 일을 하고있습니다만 월급이 너무 적어서 이직을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하는만큼, 능력만큼 받아가는게 뭐가불만이냐 하실수도 있겠지만 연봉이 2천대 받다가 최근에 올라서 3천이기도 하고 저는 워라밸보다는 급여를 더 중요시하는데 현재 회사는 딱히 상승분도 크지 않기도 하거니와 영업, 연구개발처럼 제가 나서서 인센을 챙길수 있는 직무가 아니다보니 이직으로 연봉을 좀 올려보고 싶습니다 혹시 이직 사유로 전직장의 연봉이 너무 적다고 하게되면 이직처에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게 될까요? 그리고 이직 과정에서의 연봉협상은 전 회사에서의 얀봉을 베이스로 진행된다고 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경력직 이직임에도 불구하고 이직처의 신입직원보다 연봉이 낮은 상황이 자주 발생하나요? 감사합니다
plokijuh
11시간 전
조회수
703
좋아요
4
댓글
6
근무중 딴짓
고민입니다. 한 직원(30대초반)이 근무중 딴짓을 해요. 듀얼 모니터인데 한개는 업무용 한개는 야구중계. 드라마. 영화등을 시청하고 있어요 (출근해서 퇴근전까지. 월~금) 물론 이어폰을 사용하지만 눈치를 줬는데 아둔한건지. 무시하는건지 모르겠어요. 옆에 앉은 직원도 서서히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저는 40대초반인데 제가 주제 넘은걸까요?
궁금하군
어제
조회수
2,590
좋아요
2
댓글
16
팀장으로 올라가기
안녕하세요 8년차 직장인입니다 슬슬 팀장을 해야하는데요 지금 있는 곳에서는 희망이 없어 보여서 다른 곳으로 갈까하는데 팀장 공고가 아예 안보이네요 대기업에서 팀장급하려면 보통 어떤 경로로 가나요?
방탕중년단
1시간 전
조회수
11
좋아요
0
댓글
0
연봉협상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첫 취업후 약 2년 반정도 근무중인 회사가있습니다. 회사는 스타트업이고 20~30명 정도 되는데 일년에 15명 이상 관둬서 회사 내에 주요한것들?을 잘 아는 사람이 몇명안되고 저도 그중 하나입니다.. 전 첫회사라 3년 정도만 다니고 그만둘생각이었는데요, 이번 연봉협상때 대우를 잘 해주겠다고 인상율을 생각해오라 하셔서 고민이큽니다.. 지금까지는 제가 먼저 부른적은 없고 회사에서 올려주시는대로 오케이했는데 최근에 회사에 큰일이 터졌고 내부사정 잘 아시는분들이 없는터라 3인분 이상의 일을 하느라 매일 야근도 하고.. 결국 내실적이랑은 관계없는거라 성취감은 떨어지고 약간 회사랑 권태기가 온 상태입니다. 그나마 내년에도 잘 다니려면 돈이라도 모을 생각으로 30%인상으로 불러볼까하는데요.. 너무 터무니없이 부르는걸까요? 연봉협상을 제대로하는 건 처음이라 감이 잘안잡히네요… ㅠㅠ 조언부탁드립니다 (지금 연봉은 약 3천후반대입니다.)
사회새내기
6시간 전
조회수
303
좋아요
0
댓글
5
공고에 기재된 경력기간 정확해야겠죠?
예를들어, 공고에 우대사항이 아닌 경력사항 5년 이상 이라고 기재 되어 있다면 현 경력으로 필요한 업무스킬이 있다고 자부 하더라도(?) 지원하지 않는게 맞겠죠? 경력은 4년입니다.
도미노
11시간 전
조회수
393
좋아요
0
댓글
5
이직제안 거절 후 다시 연락
안녕하세요 1년 넘게 품고있는 고민이 있어 이렇게 게시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제가 1년 3-4개월 전, 합격통보를 받고 가지 않기로 한 회사의 팀장님께 다시 연락을 드려도 괜찮을까요.. 스테이하게 된 이유는 1. 현 회사에서 연봉 인상 제안을 받아서 2. 이직하는 회사의 직무가 다소 상이하여 (평소 도전해보고 싶던 직무이긴 했습니다) 망설였던 상황이었습니다 현 회사에 스테이하기로 결정하였으나, 지금끼지 곱씹어 봐도 제가 원래 너무도 가고싶었던 회사였기 때문에 자꾸만 후회가 되네요ㅠㅠ 긴 시간이 지나 팀장님께 다시 연락을 드리는 것은 실례가 될까요? 짧게나마 조언을 주시는 분들께 정말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stacy
1시간 전
조회수
10
좋아요
0
댓글
0
직장에서 무리하게 업무를주는경우 어떻게하나요
누가봐도 2-3명이해야 할일을 혼자하라고하면 어떻게하나요? 부정적 긍정적 다있을거같은데 어떤생각이드시나요?
정일우
어제
조회수
1,600
좋아요
3
댓글
15
눈팅만으로 부동산 실력 업그레이드 시키는방법
어렵게 여기저기 자료 찾아서 모으는거 보다 남들이 올려주는 정보와 의견 눈팅하면서 부동산 실력 쭉쭉 올릴수 있는곳 공유해봄 실제로 저도 눈팅만 2년째인 녹진한 방이다. https://muz.so/anyn
솔티
2시간 전
조회수
32
좋아요
0
댓글
1
투자철학에 대해 묻는 질문과 왜 주가가 싸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중소형 자산운용사, 자문사, 일임사 신입지원자입니다. 중소형 자산운용사, 자문사, 일임사 면접에서 1.투자철학에 대해 묻는 질문과 2.왜 주가가 싸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1.개인적인 투자철학으로 탑다운을 지향합니다. 구체적으로 성장과 물가를 중심으로 저성장고물가, 저성장저물가, 고성장저물가 등으로 사분면을 나누어 각각 예상되는 국면 별로 펼쳐질 각각의 확률을 정해서 각 국면에 유리한 미국 단기채를 비롯한 미국 채권형 ETF, 금과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ETF, 주식 등의 자산을 길목에 배치해서 투자하는 투자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어떤 국면이 펼쳐질 확률이 얼마인지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미국장단기 금리차, OECD 경기선행지수, ISM 제조업 지수 등의 선행지표, 구리가격의 변화, 6개월 이상의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율 변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증가할때 유가의 변화, 연준의 스탠스 등을 고려해서 대략적인 확률을 계산합니다. 이러한 투자철학에 대해서 공감 못하는 대표님들이 많으시던데 질문1) 제 투자철학의 맹점과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 느끼는 이러한 투자철학의 한계는 각 사분면이 펼쳐질 확률을 정확하게 계산하지 못하고 대략적으로 계산한다는 것인데 어떻게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2. 주가가 왜 싸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기본적으로 탑다운 어프로치를 지향해서 채권형 ETF, 원자재 ETF, 주식 등 각 자산을 몇 % 범위 이내에서 투자할 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주가가 싼 지 여부는 큰 신경을 쓰지 않고 매수했었던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엔비디아와 같이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기업이면 주가가 다소 비싸다는 생각이 들어도 과감히 매수했었던 것 같습니다. 주가가 싼 지 여부를 대략적으로 판단할 때 대형사 리서치보고서에 의존해서 동일기간 밸류가 큰 차이 없이 일정하다고 판단이 되었을 때 동일기간 PER가 큰 폭으로 떨어질 때 주가가 오르지 않고 오히려 반대로 주가가 떨어지면 싸다고 판단했었던 것 같습니다. 질문2) 이렇게 주가가 싼 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이 타당성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기본적인 것도 모르고 그동안 주식해왔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주가가 싼 지 아닌 지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이 궁금합니다. 글을 쓴 부분에서 기본적으로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한 마음으로 새겨들어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민있습니다
어제
조회수
815
좋아요
1
댓글
8
사무실 전원관리
작은 스타트업이고 총 4명이 근무합니다. 퇴근할 때 직원들이 사무실용 높이 1.4m 선풍기와 에어컨을 수시로 켜놓고 퇴근합니다. 몇 번을 주의를 줘도 오늘 일요일 저녁에 사무실에 가보니 에어컨이 시원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사무실에 개발 서버가 있어서 화재 우려로 선풍기 에어컨 끄고 퇴근하래도 주말에 가보면 둘 중에 하나는 늘 켜져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사무실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 할 수 있을까요?
수련중인 CEO
2시간 전
조회수
57
좋아요
0
댓글
5
부동산 폭락인가 반등인가 고민이심?
폭락 반등 이야기 많은데 결국 자기 욕심임 현실적으로 투자가치있는 뜨거운 지역의 부동산 매물이 아니면 아파트 매매가격은 크게 바뀌지않자나 지방권은 애초에 고려 안한다는거 자체가 수도권 매물 자체에 거품이 많은걸 알면서 거품이 더 끼길 바라면서 투자하는거니까 리스크는 본인이 안는게 맞다고 생각해. 애초에 저점 매매가에사서 거품이 끼길 바라면서 거품이 꺼지지않길바라는 마음자체가 욕심인데 욕심채우기 실패했다고 부동산 욕존나하는것도 이상함. 폭등 한다는건 기대도 하지말고 투자 목적으로 부동산에 관심이있다면 허황된거 말고 실제로 와닿는 물건들을 집중해서봐라 . 일단 거품인지 아닌지 잘 구별할수있는 눈을 기르자. 많이 알수록 많이 보인다는 말있자나 그래도 부동산 재테크가 좋다고생각해서 여기저기서 정보 알아보고있는데 요즘 보면 부동산 반등 분위기가 나는것 같아서 청약노리고있다. 여기서 정보 얻고있어서 공유함. https://muz.so/anyn
솔티
2시간 전
조회수
29
좋아요
0
댓글
0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Drama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