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앱을 설치하고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을 받아보세요
오늘 가장 인기있는 회사생활 소식을 받아보는 방법!
실시간
국민연금 진짜 내기 싫다
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3월14일, 개인정보보호법 전면개정, 개정된 내용 요약정리
안녕하세요. 전면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에 대해서 함께 어렵지 않게 알아보기 위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하시는 많은 분들께서 업무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3월7일 「개인정보 보호법」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이 3월14일 공포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안에는 전 세계적인 디지털 대전환 추세에 부합하도록 시급히 필요한 내용들을 아래와 같이 담았다고 합니다. 1. 신기술·신산업 등 데이터 경제 성장 견인 □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신설 ㆍ자신의 개인정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을 요구할 수 있는 일반적인 권리로서 전송요구권 신설 □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 규정 ㆍ이동형 기기의 특성을 반영한 수집 기준, 촬영 사실 표시 등 합리적인 운영기준 마련 □ 온·오프라인 규제 일원화 ㆍ일반규정과 특례규정을 일원화하여 ‘동일행위-동일규제’ 원칙 적용으로 불합리한 규제 정비 2.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국민의 적극적 권리 강화 □ 개인정보 처리요건 정비 ㆍ계약 체결·이행 요건을 정비하여 필수동의 관행을 개선하고, 공중위생 등 처리에 대한 안전조치를 강화 □ 개인정보 처리방침 평가제 도입 ㆍ처리방침의 적정성 여부, 알기 쉽게 작성했는지 여부 등을 평가하여필요시 개선권고 할 수 있도록 개선 □ 자동화된 결정 대응권 ㆍ자동화된 결정이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거부 및 설명 등 요구권 신설 □ 개인정보 분쟁조정 ㆍ분쟁조정 의무 참여 대상을 모든 개인정보처리자로 확대하고, 사실확인이 필요한 경우 사실조사 근거 마련 □ 사적 목적 이용 금지 ㆍ금지행위 규정에 정당한 권한 없이 허용된 권한을 초과하여 타인의개인정보를 ‘이용’하는 행위 추가 3.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법 제도 정비 □ 국외이전 요건 다양화및 중지명령권 신설 ㆍ해외 법제와의 상호 운용성을 위해 동의 이외의 국외이전 요건을 다양화하고 국외이전 중지명령권을 신설 □ 과징금·벌칙 규정 정비 ㆍ과도한 형벌 규정을 경제제재 중심으로 전환하는 대신, 과징금 상한 및 대상 확대 등을 통해 실효성 확보 2011년 법 제정 이후 처음으로 정부가 학계·법조계·산업계·시민단체 등과 2년여의 협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정비한 실질적인 전면 개정이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겠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법」 中 크게 개정된 조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정된 조항들이 참조된 다른 조항들도 일부 수정되었습니다. 제11조의2(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제3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지정 등) 제35조의2(개인정보의 전송 요구) 제35조의3(개인정보관리 전문기관) 제37조의2(자동화된 결정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 등) 제39조의7(손해배상의 보장) 개인정보보호법 전면 개정…‘마이데이터’ 확대·과징금 상향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20519&ref=A
김정희
인플루언서
은 따봉
기술감독 |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티비에스 인프라운영팀 / 방송기술본부
17시간 전
조회수
196
좋아요
1
댓글
0
연봉인증 나와서 해보는 썰(feat. 5+2억)
작년 기준, 본업의 본봉과 성과급, 주식지급, 퇴직연금, 그리고 부업에서 나오는거 까지 다 합쳐 연 5.2억 정도 됐습니다. 와이프는 개인사업자인데 연 2.1억 정도 될거 같고(최종적으로 종소세 결산 필요), 지금 애 둘 경기도서 키웁니다. 아직 학교 안 들어가서 (영유 안보냄) 사교육 고민은 없습니다. 대출은 작년 상반기에 전부다 상환해버려서 없고, 재개발 두개 담그고 실거주는 전세로 하고 있습니다. 저는 노력을 했긴 하지만 그보다 훨씬 운이 좋아서 겨우 30후반에 이런 상태인데, 지나고 나서 보니까 다른 사람들 볼 때 흥미로운 것들이 있어서 좀 짚어보려 해요. 하나마나한 소리니까 벌써부터 열받으신 분들은 돌아가 주시길. 1. 소비에 별 관심이 없다 저도 그렇고 와이프도 소비에 별 관심이 없습니다. 차는 애 둘 생기고 나서도 1년 지나서야 도저히 생활이 불가능해서 (그전에는 쏘카 빌림) 준중형 쓰기 시작했고, 와이프도 명품같은거 안 삽니다. 그 외에 옷 포함 자질구레한 것들은 일단 사재두면 예쁜 쓰레기가 된 경험이 자주 있어서... 저는 와이프에게 우리 함께 세 번 생각해보고 마지막에 이 물건이 어떻게 폐기될건지 이미지트레이닝을 해보고 사자고 했습니다. 물건보다는 여행 같은 경험에 좀 더 투자를 많이 하려고 노력하고 있죠. 아이들과의 시간에... 사실 사람들은 어쩌면 시간을 쓸 수 없어 돈을 쓰는 함정에 빠진게 아닐까? 하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2. 사람에 별 관심이 없다 저도 와이프도 친구가 별로 없습니다. 없는 것은 아닌데 솔직히 일이나 삶에 도움이 되는 친구는 아니고, 그냥 가끔 보고 개소리 하며 옛날 이야기 하는 친구 소수 있는게 전부입니다. 일이나 그런 것으로 만나게 되는 지인들은 많이 있는데 그것은 친구라고 하기는 좀 그렇죠. 그렇다 보니까 남들과 비교를 할 일 자체가 원래도 별로 없었는데 지금은 사실 더 없습니다. 타인이 뭘 타고 다니든 뭘 차고 다니든 뭘 하고 다녔든 저는 정말 1도 인지 안하고 만나는데, 저는 솔직히 많은 사람들이 타인을 만날때 그것을 의식한다는걸 알고 좀 많이 놀랐습니다. 타인에 대해 어떤 삶을 살았는지 그 과정을 모르고 별로 알고 싶지도 않은데 그 결과가 왜 본인과 비교 대상이 되는걸까요? 3. 모든 일에 감사하기 지나고 생각을 해 보자면, 능력제일주의와 그에 따른 보상의 큰 폐해가 본인에게 주어진 보상에 대해 감사하지 못하는 마음가짐을 만든 원인 중 하나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노력은 했지만, 운이 좋아서 많은 것을 갖게 되었다'고 생각하면 어떤 상황과 불행에도 일단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수 있지 않을까요? 저는 그렇게 마음가짐을 갖고 살려고 노력 중이고, 최소한 소비나 타인과의 비교로 인해 불행해 지는 시간보다는 생산적이고 긍정적으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질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종교가 없는데, 어쩌면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사회에서 현실적인 해결책 중 하나가 종교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어떻게 보자면 저는 별종같기는 한데, 이런 생각을 하면서 사는 사람도 있고 어쩌다 노력과 운이 잘 맞아 이런 마음가짐이 긍정적으로 풀리게 된 사례라 생각해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Sirroco
1억 인증
금 따봉
17시간 전
조회수
2,052
좋아요
27
댓글
16
제조업 스타트업 투자 첫 라운드... 팁스?
2년간 자체 시드로 제품 개발은 완료하였고, 2022년 공공기관 중심으로 제품 공급하고 있습니다. 공공부분 말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춰나가려니 자금 유치를 빨리 해야할 것 같아 투자 알아보고 있네요^^ 프리A 수준에서 진행하고자 하는데, 팁스라는 것도 괜찮아 보이긴 하더라구요. 시드 투자 수준이긴 하지만. 빠르게 팁스 운용사쪽으로 시드와 팁스 사업을 진행하는게 나을지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원하는 수준으로 부딪혀 보는게 나을까요?
팁스궁금
18시간 전
조회수
73
좋아요
0
댓글
0
이직시 연봉
영업직입니다.한군데서 8년 넘게 업무중입니다. 연봉 5천에+@인데 이 @가 자주 나오지는 않습니다. 내부적으로 볼때 연봉이 다이나믹하게 오를꺼 같지 않구요. 이직 면접을 보려고 하는데 6천정도 부르려고 합니다.+@옵션은 받을수 있을지 모르겠지만,한번 얘기는 해볼꺼구요. 현 직장 버틸수는 있는 수준이나 미래는 안보입니다.고인물이 너무 많아요. 6천 받고 다른 카테고리 영업 배우면서 창업도 생각중인데 이게 맞는걸까요?
히쇼
18시간 전
조회수
468
좋아요
2
댓글
2
해외영업 경력 5년 평균 연봉이 어떻게되나요??
현재 경력 5년 3700정도로 너무 낮은것같아 이직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든
18시간 전
조회수
322
좋아요
0
댓글
2
민자사업(BTL) 사업개요
한장 분략 간략히 달라시는데 목차나 뭐 구성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미 완공은 됏고 …주주총회 앞두고 간략 브리핑 원하시는거 같은데…. 사업 구성, 운영회사, 뭐 수익 이런거 써야 되나요?
본사공무119
은 따봉
18시간 전
조회수
83
좋아요
0
댓글
4
이직할 회사에서 재직 중 회사에 사직서 여부 묻는 이유가 뭘까요?
경력직으로 이직하고자 서류를 넣은 회사에서 서류도 안 본건지 재직중인지 묻더니, 사직서 여부를 묻네요... 기본적으로 경력 이직이면 인수인계 중인지 언제부터 출근이 가능한지부터 묻는게 정상 아닌가 하는데, 무슨 의도로 이렇게 묻는걸까요? 경험있으신 분들 조언 좀 부탁드려봅니다...
페라이트
19시간 전
조회수
1,371
좋아요
1
댓글
15
7년차 직장인의 이직고민..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제 직무는 HR입니다. 경력개발을 위해 6개월전 서비스업계 인재개발팀으로 이직하여 잘다니고 있습니다. (전직원 400명, 비상장) - 장점: HR체계가 잡혀있고 실무를 배울 수 있음. 팀 분위기 좋음. 팀원만 7명으로 업무분장 잘 되어있음. - 단점: 낮은 급여 얼마전 이직제안을 받았는데 전기자동차 관련 제조업 인사총무팀입니다. (전직원 1500명, 중견기업 상장사) - 장점: 높은 매출, 높은 급여 - 단점: HR체계가 없는 셋업단계(최소 급여업무만) HR경력자 계속 증원예정 제안받은 연봉은 현재 연봉보다 약 25%인상입니다. 현재 회사 임금상승률로 7~8년 이상 차이납니다. 1000인이상 기업에서 제가 HR 셋팅을 잘 할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하지만 막상 하게 되면 정말 좋은 경험이 되겠죠? HR경력자 계속 채용중이라 저 혼자서만 하는 건 아닙니다. 긴 글이지만 조언 한마디씩 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Iiillj | 
19시간 전
조회수
128
좋아요
3
댓글
2
펑 감사합니다
내용은 지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콩바콩바
19시간 전
조회수
492
좋아요
0
댓글
8
대행사 이직 고민..
안녕하세요 퍼포먼스 마케팅 AE로 광고 대행사에서 재직중인 3년차 AE 입니다 첫 번째는 대기업 계약직 CRM 마케터 6개월 두 번째는 광고대행사 퍼포먼스 마케터로 1년 현재 광고 대행사 퍼포먼스 마케터로 10개월 재직 중인데요 지난 회사에서 심적으로 너무 지쳐서 퇴사를 하고 건강 회복하는데 집중하면서 인하우스로 이직 준비를 했는데 1년 경력으로는 쉽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더 레퍼런스를 쌓기 위해서 현 대행사에 와서 경력을 쌓고 있는데 이전 직장에서 오퍼가 왔습니다. 인하우스 이직에 대한 목표가 세웠었는데요, 이전 직장에서는 제가 가고싶은 패션 산업군의 레퍼런스를 쌓을 수 있지만 또 다시 건강을 헤쳐서 일을 그만두게 될까봐 걱정이 됩니다 (현 대행사에서는 커머스/금융 레퍼를 쌓았습니다. 주로 금융 광고주 보유) 또한, 잦은 이직이 추후 면접시에 해가 될까 걱정이 되며 제가 선택한 모든 것들이 후회가 되는 요즘 또 후회하는 일을 하나 더 누적되어 무력감에 빠지게 되지는 않을지 걱정이 됩니다. 조언을 구합니다.
어쩌면 좋죠
19시간 전
조회수
74
좋아요
0
댓글
0
​일본 고령층의 죽음 준비(?) 덕에 흥한 앱
일본의 고령층에게 ‘슈카쓰’가 보편화되고 있다. 죽음을 준비한다는 의미의 '終活(종활)'을 일본식으로 읽으면 '슈카쓰'가 된다.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어떻게 죽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일본 사회에 더 깊이 퍼졌고, 체력과 정신이 온전할 때 인생 마무리를 스스로 준비하려는 고령자들이 증가한 것. 대표적인 슈카쓰는 '엔딩 노트'다. 죽기 전에 해야 할 일, 가족들에게 남기는 유언, 자신의 장례 절차, 장례식에 초대할 사람들의 명단 등을 기록하는 것.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게 '집 정리'다. 본인의 물품을 최대한 정리해 남은 사람의 유품 정리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 그런데 코로나 시기엔 오프라인으로 물품을 정리하기 어려웠고, 모바일 중고거래 시장을 석권한 '메루카리'란 앱으로 몰렸다. ​ 이들은 버블경제로 불리는 일본의 대호황기를 겪은 세대로 고가의 물품도 많이 내놓는다. 거래 수수료로 돈을 버는 메루카리 입장에선 놓쳐선 안될 고객이었고, 이들을 위해 매달 무료 사용법 강좌를 진행하며 공을 들였다. 덕분에 메루카리는 작년 하반기(7~12월) 매출 8,071억원(18% 성장), 영업이익 558억 원, 순이익 115억 원의 호성적을 거뒀다. 고령 1인 가구가 증가하며 고독사 역시 증가했고, 존엄한 죽음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됐다. 일본에서는 '엔딩 산업전'이란 슈가쓰 박람회까지 존재한다. 고령 사회일수록 웰비잉(Well-being) 만큼 웰다잉(Well-dying)이 중요해지고 있다.​ #남얘기가아니다 #그나저나당근마켓은어떻게돈을버나
정영준
NOW 필진
CEO | 그레이웨일
20시간 전
조회수
213
좋아요
1
댓글
0
일자리 혁신:'대R' 5가지를 통해 알아보는 노동 변화
2020년 이후 COVID-19 팬데믹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경제활동이 급격하게 축소되었고, 여러 나라들은 경제적 국면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수많은 경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정부는 COVID-19 대응 긴급 경제 지원법을 통해 1조 달러 이상의 자금을 투입하여 경기부양을 시도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도 경제회생 방안으로 큰 규모의 재정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효과는 미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실업률은 상승하고 있으며, 세계 경제 성장률은 예상보다 더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러 나라에서는 경제 부양 정책으로 인한 재정적 부담으로 채무 문제가 생기는 등 경제적 위험 요소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경제적인 침체 상황은 기업과 소비자들의 행동양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소비자들은 소비를 줄이고, 기업들은 투자를 줄이거나 채용을 줄이는 등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인 회복의 속도를 더욱 늦추고 있는 추세다. 사는 동안 한 번도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다. 97년에는 IMF로 2008년에는 금융위기로 또 2020년대 초반에는 코로나로 힘들었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위기상황은 최근 COVID-19 팬데믹에 의해 전 세계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으며 경기 침체의 위협에 대해 강력한 일자리 보고서를 저울질하는 기사를 읽어보았다. 발췌한 책 제목은 <공감의 장점: 최고의 역량을 갖춘 인력(The Empathy Advantage: Leading the Empowered Workforce)>이며 일자리 대혁신에 관한 대R 5가지를 분석해 본다. 1. 대퇴사(The Great Resignation) COVID-19를 거치며 자발적으로 회사를 사직하는 근로자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다. 대퇴사라는 단어는 노동자들의 자발적인 퇴직과 이직이 급증하는 상황으로 '대공황(Great Depression)'에 빗대어 만들어진 단어다. 앤서니 클로츠 교수가 2021년 5월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제시한 것으로 단기적으로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2009년부터 구축되어 왔고, 또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20%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사직 후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이 좀 더 보장되는 창업이나 프리랜서로 전업하거나 아니면 조기 퇴직을 단행한다. 초기에는 식당이나 호텔 등 대면 서비스직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일반 사무직종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2. 대은퇴(The Great Retirement)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시기에 맞춰 오래전부터 찾아왔으나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빨리 은퇴할 수 있는 조건, 즉, 경제적 자립, 파이어족(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과 같은 기반을 만들었다. 젊었을 때 임금을 축적해 노후 자금을 빨리 확보해 은퇴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다. 흔치 않게 40대 명예퇴직을 하는 사람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제학자들이 바라본 대은퇴현상은 노동력 부족으로 이어져, 적어도 10년 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사회경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대개편(The Great Reshuffle) 팬데믹 기간 동안 일자리 시장이 급격하게 변했다. 기존의 일자리가 사라지거나 변형되고 새로운 일자리가 등장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 사람이 수행했던 일이 대부분 기계가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4차 산업혁명의 변화 중 하나인 디지털 세상으로 전환됨에 따라 인공지능, 블록체인, 가상현실, 클라우딩 컴퓨팅 등 새로운 직업이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 침투하면서 변화를 만들고 있다. 2021년 이직자 중 절반 이상이 완전히 이직했다. 4. 대거절(The Great Refusal) 노동강도가 높으면서 저임금 일자리를 거부하는 현상이다. 연방 최저 임금으로는 노동자가 비인간적인 일을 가치 있게 할 동기를 갖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1968년까지 최저임금은 인플레이션과 보조를 맞추고 생산성과 함께 상승했다. 경제의 일부 부문은 평균보다 높은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다. 직원들을 잘 참여시킬 수 있는 인센티브제도가 있긴 하지만 고객들은 직원 한 명을 바라보며 해당 회사의 브랜드 경험을 간접적으로 하고 있다. 그 회사의 직원들이 바로 브랜드 홍보대사인 것이다. 미 경제정책연구센터(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인플레이션과 더불어 상승했다면 오늘날 시간당 21달러가 넘었어야 하지만 최저임금은 10년 동안 꿈적하지도 않고 있다는 점을 꼬집었다. 인간은 비용을 억제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해야 하는 자산이며, 노동자들은 저임금 일자리를 거부하고 있다. 5. 대이동(The Great Relocation) 원격근무로의 전환은 근로자들이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살고 싶은 곳을 선택하게 해 준다. 일자리의 유연성과 함께 삶의 우선순위를 다르게 함으로써 원격근무가 가능한 곳을 찾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삶에서 더 큰 역할을 차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삶과 일의 균형으로의 전환을 뜻한다. 대도시를 떠나면서 초기의 물결이 일어났으며, 업워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자리의 위치와 유연성이 명확해지고 사람들은 일과 삶의 우선순위를 다르게 하며 원격근무를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자율성과 유연성을 경험한 직장인의 대규모 재설정 방식이다. 더 이상 우리가 일하는 곳이 아니라, 삶에서 일이 어디에 적합한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새로운 습관과 요구사항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일자리 대혁신이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추세이다. 현재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공학 등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전통적인 산업에서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새로운 산업 분야와 일자리가 생겨나고 잇다. 더불어 이러한 일자리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인재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는 일부 노동자에게 불안정성과 수익의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부와 기업은 급변하는 현 상황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 대퇴사 매일경제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54851&cid=43659&categoryId=43659 - From the Great Resignation to the Great Refusal—here’s what the 5 ‘Great Rs’ mean for the future of work https://www.fastcompany.com/90865106/what-the-5-great-rs-mean-for-the-future-of-work
김유리
인플루언서
동 따봉
Staff | 서울대학교
20시간 전
조회수
96
좋아요
1
댓글
0
인사고과 시작!
오늘 부서장 공지글 떴네요.. 부서장 인사고과표 받아가라고... ㅎㅎ 근데 인사고과표에 따른 연봉 인상은 한번도 반영 안되었다고 직원들끼리는 수근거리는데....매년 평가를 하긴하네여... 올해 연봉 인상은 어떻게 될까...심히 궁금하네여.... SABCD 다섯 등급으로 평가하는데 보통 다른 회사는 S부터 D까지 연봉 인상폭이 얼마나 되시나요??
cozy74
금 따봉
20시간 전
조회수
283
좋아요
0
댓글
2
김천 공무원들
민원실에 있는 김천 공무원들은 꼭 술자리에는 참석하고 술접대할 것을 요구하면서, 술접대에서 한 자리에서 한 얘기랑 술깨고 나서 하는 얘기가 달라요. 이게 7개월 반복되었습니다. 민원실분들과는 앞으로 술자리를 하지 말아야 겠죠? 저를 serious한 인격체로 보지 않는 느낌입니다..
총무만7개월째
20시간 전
조회수
241
좋아요
0
댓글
1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Drama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