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은퇴 후 집은 있는데 생활비가 부족하다면?
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회사생활
이직 면접 합격이긴한데 고민이네요
현재다니는 A회사 제조업 중소기업 - 5년차 내외 - 8 to 17 퇴근 비교적 자유로움 - 계약연봉 3900, 성과급포함 4500이내 - 현재 팀원 공석으로 실무는 혼자하는중, 인원채용은 진행중 - 회사에선 인정받는상황 얼마전에 B회사에 이직 지원을해서 면접을 봤고 인사팀에서 연봉협상 연락이왔습니다. B회사는 제조업 중견기업이고 지금 다니고있는 A회사와 업종은 다릅니다. 찾아보니 업계에서는 연봉짜기로 유명하더라구요 B회사에서 제시한 계약연봉은 4300으로 현재 A회사의 계약연봉에서 대략 10%정도 증가된금액이고 성과급이 많은거같지는 않아보여서 오히려 체감상 실수령액은 크게 오른느낌은 아닙니다. 이런상황에서 이직하는게 맞는것일까요.. 1. 그래도 중견기업인데 이직 2. A회사 스테이 후 연봉협상
덜덜덜덜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22년 06월 20일
조회수
2,378
좋아요
3
댓글
14
이직/커리어
신입 게임개발 취업관련
현재 남들이 흔히 ㅈㅅ라 부르는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여기 있는 동안 '21세기 한국에서 이런 말을 한다고?' 싶은 말도 들었습니다. 괜히 들킬까 무서워서 자세히 쓰기 그렇네요... 개인 사정이 있어서 대학 다니다가 휴학하고, 어찌어찌 취직해서 회사 다니고 있는데 커리어라 내놓을 만한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고, 일을 알려주지도 않습니다. 가족들 사정도 좋지가 않아서 지금 받는 월급 210으로는 미래도 안 보이는 느낌입니다. 요점으로 돌아와서, 전부터 퇴근 후 꾸준히 공부하던 게임개발 쪽으로 취업하기 위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배경이 배경이다 보니 조건에 맞는 곳을 찾는게 쉽지가 않습니다. 만약 게임 개발 업계에 계신 분들이 계시다면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어떤 조언이든 괜찮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산딩고 | 전기·전자 R&D
22년 06월 20일
조회수
441
좋아요
0
댓글
3
건설/건축
월 200 vs 월 300
월200은 집도 멀어 한달에 기름값 20만원 나감. 월300은 집도 가까움. 10분거리임. (현 직장)가스라이팅 뭐 딴거 다 참겠는데 성장 가능성 안 보임. 근디 막상 나갈려니 정이 들었고, 사실 월 300(실수령)이 주 6일에 단순 안전관리보조라... 사고 터지면 나 책임이 될까 싶어 고민되기도 함. 직무는 단순 사무 서류작성이라고는 되어 있는한데... ssk 직무 어떤가요?
ㅋㅋㅋzz | 기타 설계·엔지니어링
22년 06월 20일
조회수
2,772
좋아요
10
댓글
17
무역/유통/물류
3PL 업계
현재 대기업 정규직으로 종사하고있는데 거의 말단 사원입니다 관련업종으로 스타트업 중소기업으로 이직을 해보고싶기도 한데 어떤 기업 위주로 보면 좋을까요 ?
헤이헤이헤이 | 배송·운송·운전
22년 06월 20일
조회수
1,996
좋아요
3
댓글
11
회사생활
정확한 면접 일정이 안잡혀요
처음 전화로 직무관련사항 질문하시고 면접 일정은 언제가 괜찮냐고 하셔서 날짜 주시면 맞추겠다 했습니다 검토 후 연락 주신다고 하시고 오늘이 3일째 인데 아직 연락이 없어요. 불합격이라고 보면 되는건가요? 가고싶은 회사라 문자나 전화 드려보고 싶은데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헬로헬로 | 디자인/UX 기타
22년 06월 20일
조회수
1,280
좋아요
1
댓글
16
이슈토론
옷걸이로 다섯살 아들 발바닥 때린 아빠 징역형
https://n.news.naver.com/article/422/0000547351 아침에 뉴스보다가 놀랐는데요 기사가 모든 내용을 못 담고 있다고 생각 되는데 옷걸이로 발바닥 때렸다는 건.. 훈육으로 보이거든요. 폭행이나 학대로 보이지는 않는데.. 이런 훈육도 이제 처벌을 받아야 하는 걸까요? 실상에는 기사에 안나온 무언가가 있었거나, 이전에도 아동복지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이력이 있는 사람이라서 가중처벌을 받은 거겠죠?
세종대왕 | 서비스기획·PM/PO(프로덕트)
22년 06월 20일
조회수
638
좋아요
2
댓글
4
이슈토론
한국 상속세 부담 OECD 최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런 체계가 계속되면 어떤 부작용이 생길까요. 또 지금 체제의 당위는 무엇일까요.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613210?cds=news_my
고엽 | 시장조사
22년 06월 20일
조회수
536
좋아요
1
댓글
9
회사생활
학벌을 본다는 것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요.
사실 신입을 뽑을 때 그 사람이 '우리 회사 일을 잘 알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거든요. 처음부터 배워야하는게 대부분이라. 이런 상황서 학벌을 본다는 것의 정확한 의미는 뭘까요 1. 배운 게 많으니 일도 더 잘 할 것이다? 2. 학창 시절부터 맡은 바 일을 잘 했다는 말이니, 책임감이 있을 것이다? 3. 좋은 학교에 나온 만큼 주변 환경이 좋았을 것이니, 실력도, 처세도, 네트워크도 좋을 것이다
illlili | 법인대표·CEO
22년 06월 20일
조회수
2,513
좋아요
1
댓글
20
바이오/헬스케어
연봉인상률
협상이라는걸 해보고싶네 허울만 외국계 의료기기지 매번 인상률보면 세일즈 빼고는 진짜 현타옴 5프로 내외라니
알에이그루 | 컴플라이언스·준법감시
22년 06월 20일
조회수
2,178
좋아요
3
댓글
10
회사생활
회사를 옮기고 싶어 집니다
서른둘에 안해본 일 없는거 같네요 대리점 직원부터 경비원 보험영업사원 일반 회사원 다단계영업사원 대리운전 개인사업 등등 지금 다니는 회사가 마음에 안들고 옮기고 싶어집니다 기술력을 쌓는다 해도 써먹는 곳은 한정이고 배움이 없어 지는거 같습니다 공부 해본적은 대학교 이후로 전무 한데 큰일이네요 지금 다니는 회사는 최저에서 조금더주고 9~6시 칼퇴가능인데 먹고 사는 문제로 입사해서 일에 집중도도 떨어지고 능률도 안오르네요 어디서 뭘해야할지 심적 고민입니다
엔네이처 | 법인대표·CEO
22년 06월 20일
조회수
1,468
좋아요
5
댓글
15
회사생활
샘플 관리 어떻게 하세요?
안녕하세요~ 소기업 인하우스 마케터입니다. 제품 생산 진행하다보면 박스라든지, 라벨 등 샘플을 많이 받게 되는데요. 필요없는건 버리지만 최종으로 진행된 자사 제품 샘플은 보관하는데 모양이 잡히지 않고 부피는 크다보니 어떻게 정리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따로 관리하는 사람은 없는데 저도 찾기가 어렵고 해서 정리를 하려는데 공간은 좁습니다 ㅜ 다른 곳에서는 샘플 관리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당!
귀여운다람쥐 | 마케팅 전략·기획
22년 06월 20일
조회수
579
좋아요
1
댓글
2
인사/HR
(뉴스) 퇴사하며 성희롱 폭로는 명예훼손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흥미로운 판례 뉴스 하나 공유 드립니다. 퇴직하는 인원이 1년 5개월 전 직장상사의 성희롱 사실을 폭로했고, 직장상사는 명예훼손으로 그 직원을 고소하였습니다. 결과는, 무죄로 판결이 되었습니다. 명예훼손의 요건인 공연성, 사실적시, 명예훼손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공공의 이익이 인정되어 정당성이 인정된 사례입니다. 직장생활하며 겪는 수많은 부당한 대우들을 그저 참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해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안심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판결은 나름 의미가 있는 듯 합니다. 다만, 늘 악용은 주의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6164024i
팀장님 | 인사기획
22년 06월 20일
조회수
1,201
좋아요
12
댓글
0
이직/커리어
사람도 좋고 회사도 좋은데 이직 고민해 본 형 있어?
안녕 형님들, 지금 내 상황이 딱 제곧내야. 난 8년차 30대 막내(!)야. 지금 다니는 회사는 규모는 그렇게 크지 않지만 부서원들 다 좋고, 심지어 부서장님도 좋은 분이셔. 근데 지금까진 나름 짱짱했는데 미래가 안 보여. 새로 온 사장은 뜬구름만 잡고 있고, 나보다 3~4살 정도 직원들은 퇴사를 많이 하네? 연봉도 지금 당장 먹고는 살 만한데 인상률이 거지라 5년 뒤엔 허덕일 것 같애. (물가 올라서 이미 허덕이는 중) 그동안 여러 오퍼들이 들어와서 그냥 제안만 받아보곤 도로 거절하곤 했지만 요즘처럼 진지하게 생각든 적은 없더라. 다 잘 해주고 있고 나도 잘 하고 있고, 그런데도 단순히 돈 혹은 미래 하나만 보고 더 이직한 형들 있어? 배신이니 어쩌니 인간적인 도리나 미안함은 둘째고, 이게 그냥 뭔가 이 나이때에 오는, 극복해야 할 매너리즘인지 아니면 진짜로 탈출을 생각해야 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 해 보니까 어땠어? 잘 했다 싶어? 아니면 좋은 사람들하고 있을 때 그냥 쭉 갈 걸 하고 후회했어?
SUS316 | 기술영업·SE
22년 06월 19일
조회수
1,434
좋아요
2
댓글
11
인사/HR
이직 시 연봉 인상률
보통 이직하실 때 마지막 최종 연봉에서 몇프로 정도 인상시켜서 희망 연봉으로 제안을 하시나요???
asas1212 | 생산관리
22년 06월 19일
조회수
2,801
좋아요
2
댓글
13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