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9편
일전에 현 정부에서 대기업과 주요대학 및 특목고를 지방으로 이전하여 지역 불균형 해소를 하겠다는 어처구니 없는 안을 발표했습니다. 현상의 본질을 보지 못한 정부의 뼈 아픈 실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된 한겨레 신문의 기사 첨부합니다. 필히 정독해 주셔서 오해 없는 아름다운 댓글 남기시기를 바라며, 좋아요 꼭 눌러 주세요. 그리고 하단에 설문이 있습니다.
.....
지방 9개 거점국립대에 재정 투입해 전국 균형발전 하자는 제안
<한겨레21> 2022년 2월 기사로 다시 읽는 ‘서울대 10개 만들기
[편집자주]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에 대기업 3~5곳과 주요 대학, 특목고의 지방 이전을 추진하겠다. 20대 대기업의 본사나 공장, 서울대·연세대·고려대·서강대 등 주목을 끌 만한 주요 대학, 특목고를 함께 내려보내야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022년 9월6일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위와 같이 밝혀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수도권 집중 현상과 전국 불균형 발전을 해결할 묘수로, 대기업과 주요 대학, 특목고를 지방으로 이전시키겠다는 계획을 던져본 것입니다.
이 장관은 대학의 지방 이전을 유도하기 위해 ‘특혜’ 논란이 불거질 정도의 파격적인 인센티브가 보장되어야 한다고도 주장했습니다. 인센티브란, 기존 수도권 캠퍼스 부지를 직접 개발할 수 있는 권한 등을 뜻합니다.
그러나 대통령 공약이나 120대 국정과제에도 포함되지 않았던 정책을 관계 부처, 해당 학교 쪽과 전혀 사전 논의 없이 행안부 장관이 언급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교육부 장관이 ‘만 5살 초등학교 입학’ 정책을 꺼내들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생산적인 논의 없이 혼란만 가중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앞서 정치권에서 서울대 단과대 분리 이전 등의 문제가 언급된 적은 있으나, 서울대와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 체계적인 검토 단계까지 이르지는 못했습니다.
<한겨레21>은 2022년 2월 제1402호 표지 이야기로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심층 보도한 바 있습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란 김종영 경희대 교수(교육사회학)가 펴낸 <서울대 10개 만들기>라는 책의 제목이기도 한데요, 전국의 지방 9개 거점국립대에 서울대만큼의 재정을 투입해 대학 간 서열을 완화시키고 대학체제를 개혁하자는 방안입니다. 이를 통해 수도권 인구 비중이 50.4%(2021년 말 기준)에 이르는 등 심각한 전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해보자는 의도도 담겨있습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통해 ‘사회적 특수 계급’의 제도로 전락한 대학을 개혁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룰 수 있을까요? ‘SKY, 특목고, 대기업 지방 이전’으로 촉발된 논란을 좀더 생산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보면 어떨까요?
<한겨레21> 제1402호 표지이야기 ‘서울대 10개 만들기’ 기사를 다시 읽어보며, 함께 생각해보시죠.
신지민 기자 godjimin@hani.co.kr
2022년 2월9일 전국의 9개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회장 김동원 전북대 총장)는 여야의 대통령 후보들에게 4가지 ‘고등교육 대선 공약’을 제안했다. 9개 거점국립대는 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가나다순)다.
'인구 4천만 캘리포니아에는 10개의 연구 중심 대학이'
9개 대학 총장들은 지역 균형 발전과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국 9개 거점국립대를 세계적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근거 법률인 ‘국립대학법’을 제정하고, 지역 인재 의무 채용 비율을 현재의 30%에서 50%로 확대하며, 국공립대학 등록금을 무상으로 하고, 지역 연구·개발 재정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이들 9개 대학 총장과 서울대 오세정 총장은 2월4일 경남 사천에서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 정기회의를 열었다. 오세정 총장은 “인구 4천만 명인 미국 캘리포니아에도 연구 중심 대학이 10개나 된다. 인구가 5천만 명이 넘는 한국에도 9개 거점국립대 등 더 많은 연구 중심 대학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엔 조해진 국회 교육위원장과 정종철 교육부 차관도 참석해 공감을 표시했다.
서울대를 포함한 10개 거점국립대 중심의 대학 체제 개혁 방안이 대선을 앞두고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관심은 2021년 12월 김종영 경희대 교수(교육사회학)가 <서울대 10개 만들기>란 책을 펴내면서 쏟아졌다.
이 책이 나온 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도 2021년 12월15일 포럼을 열어 “지역 거점국립대 9곳을 상향 발전시켜 전국에 10개의 서울대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조 교육감은 9개 거점국립대에 단계별로 서울대 학생 1인당 교육비(2021년 4861만원)의 80~100% 수준을 지원하자고 말했다. 2021년 9개 거점국립대의 1인당 교육비 평균은 1851만원에 불과하다.
이어 2022년 1월7일 서울대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가 ‘거점국립대와 공동학위제’라는 이름으로 토론회를 열었다. 2월15일엔 민주당 안민석 의원(국회 교육위원회)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울대 10개 만들기’ 토론회를 열었다. 안 의원은 “국회에서 ‘서울대 10개 만들기’ 법률 제정을 추진하겠다. 교육계에서 국민운동을 시작해달라”고 주문했다. 앞서 2021년 10월 안 의원 등 10명은 ‘고등교육 재정교부금 법안’, 같은 해 11월 유기홍 의원 등 29명은 ‘국립대학 법안’을 제출한 상태다.
2월9일 거점국립대 총장들이 제20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에게 이 방안을 제안함에 따라 공은 각 후보 캠프로 넘어갔다. 가장 먼저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총장들이 제안한 날에 이 정책을 선거 공약으로 발표했다. 심 후보는 9개 거점국립대에 서울대 수준의 재정을 지원하고, 앞으로 이런 지원을 모든 국공립대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현재 이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재명 캠프의 유기홍 의원은 “사립대를 지원 대상에 포함할지를 두고 이견이 있다. 기본적으로 전국의 8대 권역별로 200여 개 공공기관 2차 이전과 함께 대학 교육을 재구조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캠프는 유보적이다. 윤 캠프의 나승일 전 교육부 차관은 “지방 대학을 지역 균형 차원에서 발전시키려 한다. 그러나 거점국립대에 집중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방의 국공립대와 사립대를 특성에 따라 발전시키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캠프는 “각 대학이 스스로 발전 계획을 세워서 운영하게 하고, 고등교육 예산을 확대해 지원하겠다”고 사실상 이 방안에 거부 뜻을 밝혔다.
‘서울대 10개 만들기’의 핵심은 지방의 9개 거점국립대에 서울대 수준의 대규모 재정을 투입해 획기적으로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정도에 불과한 연구 중심 대학을 9개 더 늘려서 대학 역량을 높이고 대입 과열, 대학 서열화를 완화하겠다는 것이다.
'이공계 대학에서 확인하는 예산의 힘'
2021년 서울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4861만원으로 거점국립대 9곳(평균 1851만원)의 2.6배에 이른다. 또 서울의 이른바 9개 주요 사립대 평균은 2149만원으로 거점국립대보다 평균 300만원가량 높다. 9개 사립대는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한양대(가나다순)다.
이렇듯 학생 1인당 교육비는 대학 서열을 결정한다. 국내 주요 종합대의 1인당 교육비는 서울대(4861만원)가 가장 높았고, 연세대(3501만원), 성균관대(2840만원), 고려대(2753만원) 순서였다. 반면 거점국립대 가운데 학생 1인당 교육비가 2천만원을 넘는 대학은 부산대(2004만원)뿐이었다. 이범 교육평론가는 “기존의 대학 개혁 방안에선 통합 네트워크만 이야기하고 예산 투자를 말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의 대학 서열화는 총예산이나 1인당 교육비 등 물적 토대에서 나온다. 그걸 바꿔야 대학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예산의 힘은 국내 최고 이공계 대학들 사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국내에서 학생 1인당 교육비가 가장 많은 대학은 사립 이공대인 포항공대(포스텍)다. 무려 1인당 1억원이다. 또 특별법 법인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디지스트)은 9280만원,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은 8092만원,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은 8060만원,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은 6393만원이다.
김동원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장은 “대전의 카이스트나 포항의 포스텍이 단기간에 국내 최고 대학으로 성장한 비결은 예산이다. 예산이 많으면 좋은 교수, 좋은 학생을 데려올 수 있고 명문 대학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김종영 교수는 9개 거점국립대를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한 대학당 매년 3600억원의 정부 재정을 더 투입해야 할 것으로 추산했다. 2020년 서울대가 받은 정부 지원금이 4866억원인데, 나머지 9개 거점국립대의 정부 지원금 평균은 1265억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9개 거점국립대에 매년 3조2천억원의 예산을 장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느냐가 이 방안의 관건이다.
반상진 전북대 교수(교육학)의 분석을 보면, 2021년 고등교육 예산 11조1455억원 가운데 교육부가 실제로 쓸 수 있는 예산은 3조1246억원이었다. 11조1455억원 가운데 국립대 운영비 3조8348억원과 국가장학금 4조1861억원은 고정비이기 때문이다. 현재 이 3조원으로 국내의 371개 대학을 지원해야 하므로 9개 거점국립대에 3조2천억원을 매년 지원하기는 불가능하다. 반상진 교수는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을 제정해 대학 예산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수준인 국내총생산(GDP)의 1.1%(현재는 0.6%)로 늘려야 한다. 그러면 21조원 정도 되는데, 여기서 국립대 예산 7조~8조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과감한 교수 구조조정으로 역량 차이 극복'
‘서울대 10개 만들기’의 다른 중요한 제안은 ‘규모의 대학’이다. 이 방안이 모델로 삼은 대학은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UC) 10곳 연합이다. 버클리, 로스앤젤레스(LA), 샌디에이고, 샌프란시스코, 샌타바버라, 어빈, 데이비스, 샌타크루즈, 리버사이드, 머세드에 캠퍼스가 있다.
이 대학들의 현황을 한국의 거점국립대 10곳(서울대 포함)과 비교해보자. 2020년 기준으로 학생 규모는 학부생이 각각 22만 명이다. 대학원생이 미국 6만 명, 한국 5만 명으로 비슷하다. 그러나 대학 예산과 교수 규모에선 엄청난 차이가 난다. 예산은 미국 10개 대학이 49조3천억원으로 한국의 10개 대학 5조7천억원의 8.6배다. 교수 규모도 미국이 2만4천여 명으로 한국(1만여 명)의 2.4배다.
교수 규모 차이는 연구 역량 차이로 평가된다. 한국의 거점국립대 중 물리학과 교수가 가장 많은 대학은 서울대로 39명이다. 나머지 9개 대학은 모두 20명 이하다. 그런데 캘리포니아대학 가운데 7개 대학은 물리학과 교수가 45명 이상이다. 한국 전체에서 물리학과 교수 규모 1위인 서울대가 캘리포니아대학으로 가면 8위로 떨어진다.
교수 규모와 연구 역량의 차이는 ‘2020년 세계 대학 학문 순위’(ARWU)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캘리포니아대학은 100위 안에 7개, 100~500위에 3개 등 10개 대학이 모두 500위 안에 들었다. 그러나 한국의 거점국립대는 100위 안에 단 한 곳도 없었다. 200위 안에 서울대, 400위 안에 경북대, 500위 안에 부산대 등 3개 대학만 포함됐다. 다른 7개 거점국립대는 500위 안에 들지 못했다.
이런 연구 역량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종영 교수는 거점국립대들의 과감한 교수 구조조정을 주문했다. 예를 들어 서울대를 뺀 국립거점대 9곳의 물리학과 교수는 모두 131명인데, 이를 3개 대학으로 통합하면 대학당 43명, 4개로 통합하면 대학당 33명이 된다. 이 정도면 9개 거점국립대가 서울대나 캘리포니아대학과 경쟁할 만하다.
그러나 현재 9개 거점국립대의 위상은 서울의 주요 사립대들보다 낮다. 2021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를 보면, 상위 20개 대학 가운데 거점국립대는 부산대(15위), 경북대(19위), 전북대(20위)뿐이었다. 20위 안의 14개 대학이 서울과 수도권의 사립대였다. 나머지는 서울대와 서울시립대, 서울과학기술대 등 서울의 국공립대였다.
이런 상황은 그리 오래된 것이 아니다. 더미래연구소의 2017년 보고서 ‘대학 개혁, 국공립대학 확충이 답이다’를 보면, 1976년 거점국립대인 부산대의 인문계 최고 학과 표준점수는 연세대와 비슷했고, 1986년엔 연세대 바로 아래였다. 그러나 1996년엔 서울의 중앙대에 밀렸고, 2005년엔 서울의 홍익대에도 밀렸다. 그 차이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
'전국의 불균형 발전을 바로잡도록'
이렇게 거점국립대의 위상이 낮아진 것은 정부 재정과 깊은 관계가 있다. 2020년 정부에서 가장 많은 재정을 지원받은 대학은 서울대다. 그러나 2~4위는 거점국립대가 아니라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서울의 사립대들이다. 부산대(6위)와 경북대(7위), 전남대(9위), 전북대(10위) 등은 그다음이다. 서울 사립대가 지방 국립대보다 더 많은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다.
심지어 정부의 대학 예산 지원 규모에서 국립대 비중은 계속 줄고 사립대 비중은 계속 늘고 있다. 2000년 정부의 대학 예산 가운데 국립대 지원 비율은 61.1%였으나, 2015년엔 29.3%로 반토막이 났다. 반면 같은 기간 사립대 비율은 14.9%에서 62.4%로 4배로 늘어났다. 사립대 비중이 국립대를 앞지른 것은 이명박 정부 2년째인 2009년부터다.
한국에선 국공립대와 사립대의 비율 자체도 극히 불균형하다. 2022년 2월 전국의 대학은 371개인데, 이 가운데 국공립대는 56개(15.1%)에 불과하고 나머지 315개(84.9%)가 사립대다. 학생 수로도 전체 257만1652명 가운데 국공립대는 47만3027명(18.4%)이고, 사립대는 209만8625명(81.6%)으로 훨씬 많다. 2003년 국립대 통합 네트워크 방안을 처음 발표한 경상대 정진상 교수(사회학)는 “한국 대학은 국립대 비중이 너무 낮아 대학 교육의 공공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거점국립대를 강화하는 서울대 10개 만들기 방안은 그런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지방 국립대와 서울 사립대의 위상 변동은 전국의 불균형 발전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1960년 20.8%였던 수도권 인구 비중은 1980년 35.5%, 2000년 46.3%로 급상승한 뒤 2019년 50%를 돌파했다. 2021년 말엔 50.4%에 이르렀다.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은 더 심각하다. 2021년 수도권의 순유입 인구는 5만5697명이었는데, 수도권 순유입 20대 인구는 이보다 많은 7만211명이었다. 다른 세대에선 오히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순유출된 것이다.
오세정 서울대 총장은 “현재 지방 소멸이 심각한데, 이를 막으려면 지방에 좋은 기업과 함께 좋은 대학이 있어야 한다. 기업과 대학이 서로 연계돼야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오지 않고 지역에서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 폐지’에서 ‘서울대 10개’로
전문가들은 대체로 ‘서울대 10개 만들기’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중앙대 김누리 교수(독문학)는 “예전엔 대학 교육을 살리려면 서울대를 폐지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번 방안은 오히려 서울대를 늘려서 문제를 푸는 방안이다. 사람들이 받아들이기 더 쉽다”고 평가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 방안은 대학 서열화를 완화하기 위해 1단계로 10개 거점대학을 먼저 키우는 것이다. 단계적으로 모든 국공립대와 공영형 사립대까지 포함하는 대학 네트워크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운동 단체들도 이번 방안을 둘러싼 토론을 반가워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김태훈 정책부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교육 정책이 전혀 진도를 못 나갔다. 이 방안을 통해 대학 개혁에 관심이 일어난 일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의 최은옥 고등교육정책실장은 “거점국립대를 육성하는 일은 필요하다. 문제는 예산이다. 현재 고등교육 예산이 국내총생산의 0.6% 정도인데, 이를 1%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 또 정부의 대학 지원이 사업비 공모 방식으로 돼 있는데, 이를 ‘고등교육 특별회계’ 같은 안정적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거점국립대를 키우려면 예산 시스템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규원 선임기자 che@hani.co.kr
출처: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52558.html
............
아래 관련 글 추천합니다.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SKY 지방 이전 대신, 전국에 ‘서울대 10개’ 만들면?
지방 9개 거점국립대에 재정 투입해 전국 균형발전 하자는 제안<한겨레21> 2022년 2월 기사로 다시 읽는 ‘서울대 10개 만들기’
https://h21.hani.co.kr/
https://app.rmbr.in/wZuBmPmNmBb
학벌 사회에서는 모두가 불행하다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편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초엘리트의 산실인 ENA를 폐교했습니다. 자신도 ENA 출신임에도 말입니다. 프랑스 안에서 그들의 위상은 …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f7Jm0541QBb
확실한 출산율 제고 정책, 하지만 하지 않는 이유
학벌 사회에서는 모두가 불행하다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2편
* 시작하기에 앞서 이전 지적하신 의견에 따라 특정 대학을 비하하는 자극적인 표현은 지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VukiUeEUjEb
“명문대에 목매는 입시… 내가 기업인이면 한국 대학생 안뽑아”
확실한 출산율 제고 정책, 하지만 하지 않는 이유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번외편
1. 주택 문제 해결
- 집값이 비싸 가계에 부담됨
2. 사교육 문제 해결
- 교육비가 많이 들어 가계에 부담됨
3. 맞벌…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3AO2ajvPoDb
김종영 교수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명문대에 목매는 입시… 내가 기업인이면 한국 대학생 안뽑아”
‘대한민국의 학부모님께’ 펴낸 이수형 서울대 교수, 한국 교육 꼬집어
AI발달로 취업시장 급변하는데
학벌지상주의 ‘우물 안’ 못벗어
성적보다 좌절않는 마음 키워야
서울대 국제경제…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r0zQaE81QBb
일본 대학 서열화는 한국보다 심하다
김종영 교수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서울대 예산은 타 거점대보다 예산이 1조원 정도 많다고 합니다. 좋은 대학이 많아지면 선택의 기회도 넓어지고 다양성도 확보될 수 있습니다. 아마 여기 있는 많은 분들이 동의하시지 …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eMiBvcn6YBb
서울대는 정말 없어져야 할까?
일본 대학 서열화는 한국보다 심하다
과연 그럴까요?
일본도 수직서열화 되어 있고 최상위 대학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 한다며 한국의 상황을 정당화 합니다. 하지만 결코 그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다양성과 균형 과 견제…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hyGtlV11QBb
[MBC] 진짜 카르텔은? (킬러 문항과 ‘최종병기’, 수능을 해부한다' 중)
서울대는 정말 없어져야 할까?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3편
시작에 앞서 그동안의 댓글을 보고 서두에 몇 가지 미리 말씀드립니다.
1. 이 글은 서울대를 폐지하자는 글이 아닙니다. 오히려 …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ZWPBVqJp6Cb
학벌 카르텔의 핵인싸들은 어떻게 자녀를 교육할까?
[MBC] 진짜 카르텔은? (킬러 문항과 ‘최종병기’, 수능을 해부한다' 중)
진짜 카르텔은? (5) - 스트레이트 220회 | 골라보는 스트레이트
https://youtu.be/QZ9fRzfZOT4?si=-ZsCofeN01lmJ7Ka
전체보기
https…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xDFeGJmw4Bb
[직격 인터뷰] ‘서울대 10개 만들기’ 주창하는 김종영 교수
학벌 카르텔의 핵인싸들은 어떻게 자녀를 교육할까?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4편
사회 지도층 인사라고 하면 소위 사자 돌림의 직업을 가진 분들로서 사회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입니다. 법조인, 교수, 정치…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3O88HN6BSDb
요즘 의대 입시가 진짜 문제인 이유
[직격 인터뷰] ‘서울대 10개 만들기’ 주창하는 김종영 교수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5편
[직격 인터뷰] ‘서울대 10개 만들기’ 주창하는 김종영 교수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BFwDHLhKRDb
과도한 의대 쏠림과 값비싼 사교육에 대한 김누리 교수의 의견
요즘 의대 입시가 진짜 문제인 이유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6편
대중음악계에 획을 그은 가수 신해철은 간단한 수술 받다가 집도의의 과실로 소천했습니다. 이분은 이전에도 의료 과실로 알려진 분이었…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lecfrUItSDb
이기심이 낳은 역대급 재앙 - 국가 침몰엔 이유가 있었다
과도한 의대 쏠림과 값비싼 사교육에 대한 김누리 교수의 의견
과도한 의대 쏠림. 한국의 미래는 없다 (김누리 교수)
https://youtu.be/isCDhXp0sgg?si=ch26tvFlVMu4BC4A
값비싼 사교육, 이대로 두면 한국 …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Lw1bjPXoXDb
문해력이 낮아진 이유
이기심이 낳은 역대급 재앙 - 국가 침몰엔 이유가 있었다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7편
20년 전 경고 무시하더니…나라 뒤흔든 '땅꺼짐' 알고 보니 #뉴스다 / JTBC News
https://youtu.be/cSjV…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PXI6KkGS0Db
50년 후 대한민국 인구 전망
문해력이 낮아진 이유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번외편 - 문해력
제가 이곳에서 깜짝 놀란 사실 중 하나가 많은 댓글의 반응을 보니 많은 분들이 문해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것이었습…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40Ibf3B20Db
서울특별시 김포구가 대한민국에 미칠 영향
50년 후 대한민국 인구 전망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8편
통계에 의하면 50년 후 인구는 최대 2천만명 가량 줄게 됩니다. 최대 40% 가량 감소하는 것입니다. 경제 규모도 비례해서 감소…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MVb6D4p5oEb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서울특별시 김포구가 대한민국에 미칠 영향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9편
서울시 김포구 구리구 광명구 일산구 파주구... 서울특별시의 초광역화 정책입니다. 이러다가 해남까지 서울시에 편입시키는 것은 아닌…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LFdPVL7ONEb
전 미국 교수가 말해주는 한국 학생과 미국 학생의 차이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0편
우리는 생각을 안 하고 모든 것을 외우면 최우등이 되는 교육 시스템에 살고 있습니다. 비판 없이 수용하고 사고를 최대한 하지 말…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PFNefHuRSEb
대한민국을 헬조선으로 만든 근본적인 원인
전 미국 교수가 말해주는 한국 학생과 미국 학생의 차이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1편
한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학위를 학벌로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무슨 뜻인가? 학위를 사회적 신분으로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k7ao25mdDFb
대한민국 의료 공백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
대한민국을 헬조선으로 만든 근본적인 원인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2편
'서울의봄'이 불러낸 역사 다시 보기 열풍...정우성과 장태완의 비극, 허구와 실제 사이 | #JTBC #뉴딥
https://y…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yokw5CwdDFb
출신 대학이 평생의 신분이 되는 것이 과연 공정한가?
대한민국 의료 공백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3편
의대 정원 늘리면 지역 의료 공백 해결될까? [토크와이드] | 시사톡톡
https://youtu.be/5epffVcXE0A?si…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oOmkBIvdDFb
학벌을 볼 수 밖에 없다
출신 대학이 평생의 신분이 되는 것이 과연 공정한가?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4편
'운칠기삼'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인생사에 있어 운이 7, 기세가 3이라는 뜻입니다. 성공한 이들도 그런 말을 합니다. 종교인들…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K5JjuMsOEFb
최고의 대학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학벌을 볼 수 밖에 없다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5편
[끝까지 스크롤 다운 하시면 설문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대학 출신일수록 우수합니다. 학벌 정말 안 볼 수가 없어요.…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xIJi6QISdLb
소멸로 가는 0명대 출산율 5개국, 공통점은 뭘까?
최고의 대학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6편
불편하지만 해야 하는 질문 | 다큐멘터리 K - 대학혁신 3부 - 최고의 대학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https://youtu.be…
https://app.rmbr.in/
https://app.rmbr.in/YjDnOuvuTLb
조국의 미래가 서울대에 있다
상위권 대학의 지역별 비례 선발제 확대가 수도권 집중화를 해결 할까요?
소멸로 가는 0명대 출산율 5개국, 공통점은 뭘까?
SKY 학벌 사회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단상 17편
https://youtu.be/VicI_jF_lws?si=CC8p7OXnLArqGhLV
소멸로 가는 0명대 출산율 5개국, …
https://app.rmbr.in/
지역거점국립대를 서울대 수준으로 만든다면, 한국이 직면한 교육 및 수도권 과밀화 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투표 종료
총 17명 참여
예
10(59%)
아니오
7(41%)
이슈토론베스트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