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남편한테 설거지를 맡겼더니 싱크대 개수대에서 싹이 났어요
안녕하세요. 결혼 1년 차 맞벌이 부부입니다. 저는 31살이고, 남편은 33살. 둘 다 직장 다니고 있고 연봉은 비슷하게 벌어요. 결혼 전엔 서로 존중하자, 가사 분담 확실히 하겠다고 하길래 좋다 했는데 정말 말만 잘 한 거였어요. 결혼하고 나니까 말과 행동이 너무 다르네요. 저는 아침 7시에 일어나서 출근 준비하면서 간단하게 아침 준비하고 남편 도시락 싸고 고양이 밥 주고 설거지까지 하고 나가요. 남편은 8시에 겨우 일어나서 씻고 옷 입고 그냥 출근. 집안일? 거의 안 해요. 남편이 먼저 퇴근하는데 저녁에 퇴근하고 와서 집에 오면 아침 설거지 그대로 쌓여 있고, 고양이 모래 안 치워져 있고, 택배는 현관에 그대로. 제가 정리하면 남편은 아 그거 내가 하려고 했는데~ 이럽니다. 그럼 하지 왜 나 올 때까지 안 했냐고요. 나 오면 내가 다 할 거 뻔히 알면서. 제가 우리 가사 분담 좀 제대로 하자고 했더니 남편이 한 말이 기가 막혀요. 네가 먼저 알려줘야 내가 도와주지. 원래 살림은 여자가 더 잘하는 거잖아. 난 해본적이 없어. 아니 참 나 어이가 없어서 도와줘요??? 도와?????? 우린 둘 다 일하잖아. 퇴근 시간은 내가 더 늦고 주말에도 피곤한 건 똑같은데 왜 지는 ‘도와주는 입장’이고 나는 ‘원래 해야 하는 사람’인 거죠? 시어머니가 반찬을 종종 챙겨주시는데, 그러시면서도 '네가 여자니까 좀 더 챙겨줘라' 하세요. 남편은 어머니가 그러시니 더 의기양양이구요. 지금은 주말마다 거의 제가 집안일 다 하고, 남편은 피곤하다며 소파에 누워 있어요. 저는 그 소파 앞에서 청소기 돌리고 빨래 널고, 혼자 분노 게이지 쌓는 중입니다. 한 번은 너무 화가 나서 일부러 며칠 간 아무것도 안 했거든요? 그러면 남편이 뭘 좀 할 줄 알았는데 진짜 아무것도 안 해요. 쓰레기통 넘치고, 싱크대에서 냄새가 나는데도 신경도 안 써요. 어느 정도냐면 개수대에 수박씨 버린 걸 일주일간 안 치워서 씨에서 새싹이 ㅋㅋㅋㅋㅋㅋ 났는데도 ㅋㅋㅋㅋㅋㅋㅋㅋ 새싹 보라고 신기하지 않냐고 ^^... 수박 키우는 게 남편 키우는 것보다 쉬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아니 이 정도로 더러운데 왜 아무것도 안 해? 신경 안 쓰여? 했더니 '니가 생각이 있었나 했지.' 합니다. 생각은 무슨 생각이야 내가 뭐 싱크대에서 수박 농사라도 지을 거냐고요 정 떨어져요. 진짜.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우리 맞벌이에요. 퇴근은 제가 더 늦고요. 연봉 차이? 거의 없다니까요. 이거 어떻게 해야 남편이 마음을 고쳐 먹을까요?
삶은여정
쌍 따봉
07월 12일
조회수
19,382
좋아요
192
댓글
194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 앞으로의 투자 경향
9년째 스타트업과 로컬 비즈니스를 육성하는 동시에 직접 투자도 병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시드나 프리A, 시리즈A 단계 투자 대상으로 요즘 계속 지켜보고 있는 분야나 주제가 몇 있다. 작년과 올해초 이 바닥 투자 이야기하면서 이미 언급해오긴 했는데 아직 변동 없다. 수직형 AI 기술과 서비스은 몇년째 꾸준히 살피고 직접 투자도 진행했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주요국 경제상황이 안좋다는 점에서 먹고 사는 문제, 의식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아이템을 선별해서 분석하고 투자도 집행했다. 같은 이유로 소비를 최소화한 상황에서 의식주 이외에 단 하나만 선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덕질할 수 있는 팬덤 기반 사업아이템에 주목하고 있다. K컬쳐를 대표해서 해외 진출이나 해외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차별적 경쟁력을 가진 아이템들을 분야 상관없이 보고 있고 일부 육성 중이다. 지금까지 투자한 성과를 기업가치 기준으로 살펴보면 투자금 대비 2.5배 수준으로 평균 보유기간 5년이다. 5년 뒤면 어떻게 될까 기대하고 있는 중이다. 작년부터 범용형 수평형 AI와 딥테크, 로봇, 반도체 등은 더이상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 이미 산업과 시장이 소수 몇 곳으로 정리되었고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쩐의 전쟁으로 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내가 소화할 범주가 아니기 때문이다. 스타트업이나 로컬 비즈니스나 최악의 환경 속에 있지만, 10년 가까이 귀에 피가 나도록 이야기해오고 있지만 이런 환경 덕분에 옥석 가리기가 거의 끝나가고 산업과 시장내 빈틈이 생기고 있다보니, 역설적으로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그 역동성이 최대가 될 것 같다.
강재상
07월 11일
조회수
301
좋아요
1
댓글
1
업무도 잘 맞고 사람도 좋은데
아무도 저에게 머라 하지 않으세요 제가 막내라서 다들 잘한다 잘한다 해주시고, 부장님은 제가 조용하게 할 일 잘해서 맘에 드신다고 하는데, 동료들과 이야기를 좀 해야 할지 … 근데 업무 중 스몰톡 하는 게 맞는지 고민이 됩니다. 점심은 같이 종종 먹어요. 막내가 업무 중 스몰톡하는 건 그렇게 좋아 보이진 않나요?
zetyhd
07월 11일
조회수
887
좋아요
9
댓글
7
적정 이직 기간
면접 후 한달 정도가 지났는데... 보통 1차 면접 후 얼마의 기간을 가지시나요? 또 최종 면접 후 얼마나 기다리고 답변이 안오면 탈락이라고 판단하시나요?
lastgrac
07월 11일
조회수
399
좋아요
20
댓글
3
Z세대 감당 불가...
MZ세대가 업무 지시에 대해 불응하고 적응 못 한다고 인터넷 기사로 많이 봤지만 이번에 제가 겪어 보니 빡세네요. 저도 M세대 30대 후반 인데 28살 어린 친구에게 업무 우선 순위라 던지 업무 방식을 가르쳐 주려고 하면 자기 방식이 옳다고 하고 변명만 잔뜩 늘어 놓네요. 무조건 이겨 먹으려고 해서 말 많이 섞다가 싸우겠다 싶어서 반포기 혹은 포기가 되네요 한번 겪어 보고 나니 회사에서 갓 졸업한 친구들 안 뽑으려는 이유 공감 아닌 공감을 하게 됩니다... 혹시 이 글 보는 Z세대 어린 친구분들 공감 될지 모르지만 사회 선배로서 조언해 줄게요. 사회는 더럽고 치사한 곳 입니다. 옆 동료가 아군이다가 사고 터지면 어느 순간 적으로 돌변 하는 사파리 왕국 입니다. 이 사파리 왕국에서 살아 가는 노하우를 알려 주면 No 하지 말고 듣고 수긍하고 자기 걸로 만드세요. 받아 들이는 자세를 갖추길 바래요...
쿠로카미
쌍 따봉
07월 11일
조회수
15,341
좋아요
199
댓글
115
데스크 실명제 도입이 시급하다
그새끼 이름도 꼭 같이 올라갔으면
베사
07월 11일
조회수
136
좋아요
2
댓글
1
디자이너가 qa를 하고 지라에 이슈 등록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5년차 디자이너인데요. 어떤 솔루션사에서 일 하고 있는데, 새로온 입사한 pm이 저보고 앞으로 디자인 qa를 직접 진행하고, 이슈가 생기면 지라로 이슈를 등록하라고 해요. 저는 이렇게 일 하는 회사 처음이고 왜 디자이너가 qa를 해야 하고 지라에 이슈까지 관리해야 하는지 이해가 잘 안 되는데, 이게 맞나요?
곰씨
금 따봉
07월 11일
조회수
2,570
좋아요
74
댓글
34
투표 이직했는데 이런 상황 어떻게 해야하나요?
A회사 B회사 최종합 둘 다 해서 골라서 왔어요 근데 결정했던 전제는 B회사에서 어떤 업무는 안시키겠다라고 면접에서 말이 나와서 이쪽으로 입사 결정함 근데 입사 3개월 지나니 그 일을 시키는데요. 지금 저는 완전 취업사기 당한 기분이고 일 할때마다 화가납니다; 물론 재이직 준비중이긴한데 말은 해봐야하나요? 커리어때문에 퇴사까지 생각중입니다. 1. 입 다물고 이직 2. 면접때 논의된 사항을 말한다
dyup
07월 11일
조회수
260
좋아요
0
댓글
4
많이 힘드네요
경력이 많이 모자란 것은 아는데 계속 떨어지다보니 자존감이 바닥을 치네요 어릴 땐 제가 되게 대단한 사람이 될 줄 알았는데 계속 실패만 거듭하니... 사는 게 참 힘드네요 여러분 젊다는 핑계도 얼마 안 남아서 더 불안합니다.
날아갈거야
07월 11일
조회수
302
좋아요
2
댓글
6
요즙 취업 정말 어려워요 36살 8년차 디자이너입니다...
요즘 서류 광탈의 연속이라 자존감도 너무 떨어지네요.... ux설계부터 컨텐츠 디자인도 다 하고 심지어 퍼블리싱까지 하라고 하여 html + css + Java 까지 다 하고 피그마로 개발팀하고 같이 모듈 생성도 하고 다 왠만큼 할줄 아는데도... 서류에서 다 떨어지네요. 80번째 도전을 하는데도 서류에서 다 떨어집니다. 예전에는 이직이 잘 됫던 거 같은데 계속 떨어지니 자존감이 팍팍 떨어지네요... 그러다보니 점점 알바라도 해야하는지... 걱정입니다. 제발 일하고 싶다.. 일하고 싶다... 저좀 누가 데려가주세요.... 연봉 높게도 안 바라는데 현실이 그래서 그런가 너무 힘드네요... 주저리 주저리 떠들어봅니다... 포폴 혹시 고수님들 계시면 지나가시다가 슬쩍 평가 해주시면 감사드리겟습니다. 포트폴리오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lWlU79SRG55gPC4Xg_CPphgu-j8QWo1t
@삼성전자(주)
너만힘든건아니야
동 따봉
07월 11일
조회수
1,867
좋아요
41
댓글
22
특별상여금
6월달에 20일정도 잔업하고 열심히들 했다고 사장이 특별 상여금이라고 10만원씩 주었는데 7월10날이 급여날이고 제가10일자로 퇴사했는데 주었던 상여금 10만 급여에서 제외하고 나왔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우장산
07월 11일
조회수
306
좋아요
1
댓글
5
지주사 회계팀 이직은 커리어에 도움이 될까요?
연결회계 업무가 메인일거 같아요 연차가 한창 실무할 연차라 별도 사업이 없는 지주사 회계팀으로 가는게 커리어에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몇년 있다 밑에 자회사로 순환도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상장사 회계팀으로 계속 이직처 찾아봐야 할지 연결회계 배울 수 있는 기회이니 일단 가는게 맞는지 고민이 되네요..
fgdgg
은 따봉
07월 11일
조회수
869
좋아요
14
댓글
4
이직 고민되네요...
언녕하세요 27살 남자 입니다. 현재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A기업에서 근무중이며 사회초년생으로 1년 6개월간 원료 구매담당으로 재직중입니다. 연봉은 3000이고 부가적인 복지포인트 80 정도입니다 하지만 내년 승진기회가 있습니다. 이직 고민중인 B기업은 원료제조기업이며 직무은 구매관리 및 자재관리이며 연봉 3300-3400 사이 협의 진행중 입니다. 부가적인 지원은 월세지원, 연말 상여금, 떡값 등입니다. 하지만 건강기능식품 제조업보다 원료제조업 보다 더 떨어진다는 얘기도 있고 원료제조업 다니면 미래를 생각하면 좋은 선택같지 않다는 얘기를 들어서 고민입니다. 원료 제조업에 다니면 인식이 안좋나요? 이후 이직시 불이익이 있을꺼요? 여러분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시겠어요?
smy
07월 11일
조회수
185
좋아요
0
댓글
1
연봉합산 1.8억 신혼부부 혜택 받을게 있나요?
결혼은 2년전에 했는데, 사정상 지금은 혼인신고 하는게 유리한부분이 있어서 혼인신고 하려고 하는데요 연봉 저 9500, 남편 8500인데,, 신혼부부 특혜 이런게 다 소득 기준이 있잖아요 사실 그래서 혼인신고 굳이 안하고 2개 명의를 살리려고 했었는데 소득 기준이 없거나 뭐 그런 혜택이 혹시 있을까요? 대기업 다니는게 죄도 아니고 저희는 신혼부부 취급 받지도 못하니 슬프네요ㅠㅠ 엄청난 혜택을 바라는것도 아닌데... 저희도 소박하게 사는데 말이죠...
이직희망러
금 따봉
07월 11일
조회수
2,911
좋아요
114
댓글
43
이직 포기하니까..
작년 하반기부터 공고도 줄고 헤드헌터 제안도 확 줄은 상태에서 올해 초에 회사에서 아주 중요한 빅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건 이직을 하면 평판관리에 문제가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공고도 안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지난주에 공급사와 공식 계약을 하고, 다음주에 킥오프회의가 예정 되었는데.. 딱 지난주부터 갑자기 헤헌들이 중복 포함해서 제안이 매일 하나 이상씩 오네요. 아.. 몇달전이었으면 이력서 쓰고 면접 봤을것 같은데.. 지금은 차마.. 같이 프로젝트 하는 동료들에게 미안해서 못 하겠네요. 이 프로젝트 끝나면 기술 전문가라 정년은 채울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이직은 하고 싶네요.
메달리스트
쌍 따봉
07월 11일
조회수
359
좋아요
0
댓글
1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