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출내역 감사 부탁드립니다

2022.09.14 | 조회수 11,424
PM기획전략
억대연봉
PM·PMO(프로젝트)
배너 광고 이미지
닉네임으로 등록
등록
전체 댓글 69
답이읍따
백엔드
BEST저축 43000원은 돼지저금통에 잔돈 넣는건가...
2022.09.14
31

리멤버 회원이 되면 69개의 모든 댓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김커뮤니티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BEST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2020.07.01
154
김커리어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 중
BEST리멤버 회원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리멤버 커리어를 소개합니다. 당장 이직 생각이 없어도, 좋은 커리어 제안은 받아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리멤버 커리어>는 리멤버에서 새롭게 출시한 회원님들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입니다. 능력있는 경력직 분들이 <리멤버 커리어>에 간단한 프로필만 등록해두면, 좋은 커리어 제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단 1분의 투자로 프로필을 등록해두기만 하면, 기업인사팀이나 헤드헌터가 회원님께 꼭 맞는 제안을 직접 보내드립니다. 지금 바로 <리멤버 커리어>에 프로필을 등록하고, 새로운 기회를 만나보세요!
2020.07.01
21
이 게시판의 최신 글
연봉 5500 현실적인 적금은?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관련 회사에 다니는 회사원 입니다. 현재 서울에서 자취를 하고 있는 상황에, 현실적으로 적금을 어느정도 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저는 월 130 정도? 생각하는데.. 감이 없네요ㅠㅠ
매븀ㄴ | AI·ML·DL
2024.08.28
조회수
14,620
좋아요
31
댓글
50
주식 실패
주식 실패했습니다 대출금 9천 남았네요 ㅎ.. 30살인데 월 490정도 벌고있고 3년 달에 250씩 모아서 갚으려고 합니다 140은 매달 적금 들고.. 능력보다 많은 월급을 받고있어서 세상이 쉬워보였나 봅니다. 반성하고 열심히 살아보겠습니다.
ddq
은 따봉
 | 크로스 플랫폼
2024.08.27
조회수
2,641
좋아요
23
댓글
12
코인 실패 30대남 인생이 허탈하네요
학생때부터 지금 직장생활까지 나름 성실하게 살아온 30대중반 남성입니다. 나름 대기업에 취업했지만, 30초까지 학자금 대출 갚느라 창문 없는 고시원 생활했고, 고시원을 나와 4평 원룸 살면서 열심히 살았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그동안의 삶이 억울하고, 보상받고 싶은 마음에 주식으로 시작해 비트코인, 알트, 코인선물까지 손을 빧었고 빚투까지 했습니다. 그리고 결론은 1억 가량의 빚만 남았습니다. 저축은 커녕 매월 빚을 꾸준히 갚아가고 있고, 30대 후반이 되면 모두 갚겠네요. 만약 그날이 오면 정말 허탈해서 나쁜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네요. 차라리 전세 사기라도 당했으면 남탓이라도 하고, 누군가에게 얘기라도 하겠지만 제 잘못인걸 알지만 이걸 인정하는데만도 1년이 걸렸습니다. 그냥 토해낼 곳이 없어 끄적여봤습니다..
bbll | 기타 영업직
2024.08.26
조회수
28,764
좋아요
191
댓글
157
세후 210만원 돈모으기
안녕하세요! 취업한지 얼마안된 20대 중반입니다! 월금 : 210만원 월세 : 35만원(관리비X) 주택청약 : 10만원 청년도약 : 고민중(자취 전 500,000 적금) 앞으로 제태크를 어떻게 해야할지.. 돈은 어떻게 모아야할지 너무 고민입니다 ๑•̥﹏•̥๑ ..! +그리고 주말에 알바를 할까 생각하는데 어떨까요? 선배님들의 돈 모으고 굴리는 팁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호랑Ol | 기타 마케팅직
2024.08.26
조회수
972
좋아요
0
댓글
8
하자투성이 상가 준공승인 대처방법 조언
3년전에 뜨는 지역의 상가를 분양 받았고 최근 1개월 전에 준공승인되어 잔금 치고 등기도 났습니다. 지난 8.21 태풍 종다리로 내린 비에 곳곳이 누수, 복도 천정에서 빗물이 떨어지고, 외부 발코니가 실내보다 단이 높아 빗물이 내부로 흘러들어옵니다. 이런 상태인데 관할 지자체에서는 나몰라라 수수방관하고 있고, 시공사 H건설은 하자처리공사는 하는데 언제까지 마치겠다는 일정도 알려주지 않네요. 준공취소나, 사용중지 같은 조치는 안되나요? 고수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프란시스 | PM·PMO(프로젝트)
2024.08.23
조회수
350
좋아요
0
댓글
2
절약도 투자다
우리가 흔히 ‘투자’를 이야기할 때는 주식, 부동산, 채권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이런 전통적인 투자 방법 외에도 우리가 자주 간과하는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절약’입니다. 절약이 단순한 비용 절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재무적 효과와 수익률에서 다를 바 없다는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배경: 금융의 복잡성과 절약의 무시된 가치** 21세기 금융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며 복잡한 금융 상품에 투자합니다. 하지만 이런 투자가 항상 성공적이지는 않으며, 때로는 큰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절약은 한편으로는 간단하고 평범하게 보이지만, 재무적으로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사례 연구: 작은 절약의 힘** 하나의 실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직장인 A씨는 매달 커피숍에서 커피를 사 마시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한 잔당 5,000원이던 커피를 하루에 두 잔씩 구매하는 A씨는 매달 약 300,000원을 지출했습니다. 어느 날 A씨는 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직접 커피를 내려 마시기로 결심했습니다. 이로 인해 매달 300,000원을 절약하게 되었죠. 이 절약한 금액을 매달 투자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연 5%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저축 계좌에 이 금액을 넣었다면, 1년 후에는 약 315,000원이 됩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10년 후에는 약 4,162,000원이 되어 있죠. 이 절약액이 단순한 비용 절감에 그치지 않고, 투자 수익률의 효과와 유사한 재무적 성과를 보여줍니다. **비용 절감의 재무적 장점** 절약을 통해 얻은 금액은 단순히 소비를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산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절약은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절감하고, 이를 저축이나 투자에 활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재정적 안정성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절약의 이점은 그 자체로도 상당하지만, 그 절약액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극대화됩니다. **결론: 절약과 투자, 재무적 효과의 공통점** 절약과 전통적인 투자 수익률은 본질적으로 유사한 재무적 효과를 제공합니다. 절약한 금액이 장기적으로 자산을 증대시키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재정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절약은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재무적 전략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절약과 투자의 경계를 넘어서, 두 가지 접근법 모두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재무적 성공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책장속비뚜코인 | 사업전략·기획
2024.08.23
조회수
735
좋아요
11
댓글
4
9년동안 저축
9년동안 퇴직금까지해서 6,000이 모아지는데 엄마한테 한심한 x 소리 들었네요… 첫직장에서는 연봉2,000 두번째직장에서는 연봉 2,800 세번째직장에서는 연봉 3,500 이번 옮기게 될 직장에서는 연봉 4,000 받는데.. 살쪄서 PT 쓰고, 열심히 먹고 운동하고 취미생활하고 옷사고 그뿐인데… 적금도 열심히 들고… 안그래도 현타오는데.. 너무 못모은건가요…?
최강몬스터즈 | 수출입·무역사무·포워딩
2024.08.22
조회수
34,305
좋아요
133
댓글
236
와이즈리포트 1/n로 공유 하실분들 찾습니다.
현재 저 포함 3명 있습니다. 7명 더 모집 합니다. 관심 있으시분들은 댓글 남겨주세요
드래곤18 | PB/WM
2024.08.21
조회수
495
좋아요
0
댓글
3
사회초년생 개인연금저축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입사한 지 6개월 된 주니어 입니다. 점점 회사생활을 하다보니 저축, 투자 등에 관심이 더 많이 생기는데요. 연봉은 영끌기준 4500정도 됩니다. 현재 월급의 40%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개인연금저축을 사회초년생 때 해도 되는지에 대해서 의문입니다. 선배님들의 의견과 충고 부탁드립니다. 의문인 이유 1 : 개인연금이 세제혜택을 받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 원금을 뺄 수 있다고는 하지만, 나중에 지금보다 더 나이가 들면 집을 살 때 목돈이 분명 필요할텐데요 1년에 600만원이 묶인다면 나중에 수천만원이 묶여있으면.. 집을 살 때 돈이 많이 부족할까봐 걱정입니다. 의문인 이유 2 : 개인연금을 한다면 국내상장 해외ETF 위주로 할 거 같은데요. 지금 투자중에 있는 종목들보다 투자수익률이 더 높을지 개인적으로 의문입니다(우량주들 위주로 투자중입니다). 세제혜택 등이 있다고는 하나, 수익금액이 이걸 넘어버리면.. 그냥 미국 직투 30년 장기투자를 하는게 더 이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있다면, 따끔한 충고와 조언 부탁드립니다!
상추에감기약 | 세무신고
2024.08.20
조회수
444
좋아요
0
댓글
3
개인 재무관리의 성공 비결: 자본지출과 운영지출의 차이와 지출 최적화 전략
개인의 재무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자본지출과 운영지출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두 가지는 재무 계획의 핵심 요소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우리의 재정 상태에 영향을 미칩니다. ### 1. 자본지출(Capital Expenditure)과 운영지출(Operating Expenditure)의 개념 **자본지출(CapEx)**은 미래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투자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교육을 위한 학비, 사업을 위한 기계 구입, 집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큰 수리비용 등이 자본지출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지출은 즉각적인 이익을 가져오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큰 수익이나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운영지출(OpEx)**은 일상생활을 유지하거나 현재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식비, 공과금, 렌트비, 소모품 구입비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운영지출은 매달 꾸준히 발생하며, 직접적으로 우리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출이지만, 장기적으로 자산을 늘리거나 수익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직접적인 기여를 하지 않습니다. ### 2. 자본지출을 과감히 투자하라 자본지출은 미래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속한 분야에서 더욱 전문적인 지식을 쌓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대학원 학비는 상당히 큰 금액이지만, 이 지출은 당신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미래에 더 높은 소득을 창출할 기회를 줄 것입니다. 이처럼 자본지출은 초기에는 큰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산을 증가시키고 재정적인 안정을 가져다줄 수 있는 중요한 투자입니다. 또 다른 예로, 집을 사는 것도 자본지출의 좋은 예입니다. 집을 사는 데 드는 비용은 크지만, 이를 통해 주거비를 절감하고, 장기적으로 집값이 상승하면 자산의 가치도 함께 증가할 수 있습니다. ### 3. 운영지출은 긴축하라 반면, 운영지출은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영역에서 최대한 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외식비나 불필요한 구독 서비스, 고가의 소비재 등은 과감히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를 준비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구독 서비스를 해지함으로써 운영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절약된 돈은 자본지출에 투자하거나, 비상 자금으로 모아둘 수 있습니다. 운영지출을 긴축하고 남은 자금을 자본지출로 돌려 미래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개인 재무관리의 핵심 전략입니다. ### 4.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지출 관리 이 모든 것은 결국 효율적인 재무관리를 통해,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재정적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것입니다. 자본지출은 미래의 수익성을 높이는 투자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과감히 실행해야 합니다. 동시에 운영지출은 현재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으로 관리하여, 가능한 한 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두 가지 지출의 균형을 잘 잡아나가면, 재정적으로 더 안정된 미래를 준비할 수 있으며, 삶의 질 또한 한층 높아질 것입니다. 당신의 재무 계획에서 이 두 가지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실행에 옮긴다면 보다 풍요롭고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책장속비뚜코인 | 사업전략·기획
2024.08.17
조회수
331
좋아요
5
댓글
0
엔화의 안전 자산으로서의 귀환과 포트폴리오 전략
엔화의 안전 자산으로서의 귀환과 포트폴리오 전략 ​ 1. 엔화의 안전 자산으로서의 위상 변화 ​ 이전 상황: 엔화는 안전 자산으로 간주되지 않음 현재 상황: 최근 엔 캐리 청산의 영향으로 엔화의 안전 자산으로서의 역할 재조명 ​ 2. 엔 캐리 청산의 영향 ​ 정의: 엔 캐리 청산은 엔화로 대출받아 높은 수익을 추구한 투자자들이 리스크 회피를 위해 엔화를 매입하면서 발생하는 현상 영향: 엔화 강세: 엔 캐리 청산으로 인해 엔화 수요 증가 일본은행의 정책 변화: 엔화 강세로 인한 금리 정책 조정 ​ 3. 포트폴리오 전략 ​ 방어 기제: 엔화는 리스크 회피 시기에 강세를 보일 수 있음 글로벌 증시의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한 방어 자산으로 적합 장기적인 엔화 강세: 미국 경제 상황: 고금리와 고물가로 인해 미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 일본은행의 금리 정책: 금리 인상 유보 및 점진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 인플레이션 문제: 일본 내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시 엔화 강세의 필요성 ​ 4. 엔화 강세의 시나리오 분석 ​ 급격한 강세: 일본은행의 정책 변화와 금리 인상 유보 단기적인 변동성 및 시장의 반응 점진적인 강세: 일본은행의 신중한 금리 조정 미국 금리 인하와 인플레이션 문제에 따른 엔화 강세 ​ 5. 단기 및 장기 투자 전략 ​ 단기 전략: 엔화의 변동성에 따른 단기 투자 위험 관리 엔화 강세의 단기적인 반응에 주의 장기 전략: 엔화 강세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장기 투자 포트폴리오 내 엔화 비중 조정 및 리스크 분산 ​ 6. 결론 ​ 엔화는 최근의 경제적 변동성 속에서 안전 자산으로서의 위상을 확립 포트폴리오에 엔화를 포함시키는 것이 방어 기제와 장기적인 강세 기대에 효과적일 수 있음 단기적인 환차익을 넘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엔화 투자 전략을 고려해야 함
데이지파파
억대연봉
 | 품질관리
2024.08.17
조회수
336
좋아요
2
댓글
4
금주의 경제 지표 발표 및 전망 분석
금주의 경제 지표 발표 및 전망 분석 1. 금주 지표 발표 현황 미시건대 심리 지표: 금일 발표 예정, 현재까지 주요 지표 발표 완료. 소매판매 지표: 미국 소비의 강한 회복세를 보여주며, 자동차 데이터의 왜곡 문제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소비가 강함을 시사. 월마트 실적: 미국 경제의 소비가 경기 침체 영역에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지표.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을 하회하며, 지난달의 부진했던 고용 지표가 일시적일 수 있음을 시사. 2. 소비자물가지수(CPI) 및 인플레이션 전반적 인플레이션 안정: 총론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기존 대비 안정적이며, 일부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물가 안정세를 보임. 상품 물가: 디플레이션 영역의 상품 물가가 이를 설명 3. 시장 상황 및 금리 인하 기대 골디락스 시나리오: 탄탄한 성장과 안정적인 물가가 현재 시장의 선호 스토리로, 강세장의 재확인. 금리 인하 기대: 연내 4차례, 향후 12개월 7~8차례 금리 인하 예상. 연내 금리 인하: 현재 FOMC 회의에서 50bp 금리 인하 가능성. 향후 금리 인하: 12개월 이내 8차례 FOMC 회의 중 매회 금리 인하 예상. 4. 연준의 정책 방향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 시장의 강한 금리 인하 기대에 부응하지 않을 가능성. 과거 사례: 2023년 1월: 금리 인하 기대와 연준의 금리 인상 충돌. 올해 초: 금리 인상 종료 선언과 금리 인하 시사로 시장 반응. 현재 상황: 시장의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와 연준의 인플레 우려. 5. 일본의 금리 정책 및 엔캐리 청산 금리 인상 시도: 인플레 대응을 위한 금리 인상 시도, 엔캐리 청산으로 금리 인상 후퇴. 미국 경제 강세의 영향: 미국의 강한 성장으로 엔 약세 심화 가능성 및 일본 내 인플레 압력 증가. 6. 결론 미래 전망: 다음 주 잭슨홀에서 연준의 중장기적 정책 방향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됨. 일본의 인플레 압력 대응: 일본의 인플레 압력과 정책 대응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음.
데이지파파
억대연봉
 | 품질관리
2024.08.16
조회수
242
좋아요
0
댓글
3
아이디스파워텔
아이디스에서 KT파워텔을 인수 했는데 이 기업은 비상장 회사 입니다. 상장이 될 것을 기대 하고 투자를 했는데 수십년을 기다려도 상장 소식은 들여 오지 않고....정말 답답하네요.
아이디스파워텔 | 기타 건설·부동산 관련직
2024.08.12
조회수
234
좋아요
0
댓글
0
요즘 아파트값 오르는데 9월 스트레스DSR이후로 좀 떨어질까요?
생애최초 구매를 노리는중인데(7억이하선에서) 연초에 6억중반하던 아파트들 7억으로 올라붙어서 으음.. ㅜㅜ 타이밍을 벌써 놓쳤나싶습니다.
무협조아 | 제어설계
2024.08.11
조회수
678
좋아요
1
댓글
3
주담대 문의
안녕하세요 현재 이직한지 2년정도 됐고, 제가 아파트 분양 받아 25년도 1월부터 3월까지가 입주 지정기간입니다. 문제는 제가 빠르면 9월중으로 이직할 계획입니다만, 주담대 받는데 문제가 없는지요? 어디는 급여 1-2개월치만 인증해도 된다하고 어디는 재직기간이 짧아 안된다고 하고 현재 선납 1.3억정도 했고 대출 받아야 하는 금액은 2.6억 정도 입니다 중도금은 없습니다. 대출에 문제가 안될까요?
늅비 | 구매·조달·소싱
2024.08.10
조회수
554
좋아요
1
댓글
4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