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주부의 일상 생활
육아 땜에 힘들고 남편은 출장 많이 가고 힘드네요 소통할 친구 어디 없나요?
초롱이야
23년 03월 25일
조회수
259
좋아요
2
댓글
3
안녕하세요 1년차 마케터인데 인생이 망한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1년차 마케터인데 인생이 망한거 같아요 첫직장 타 업종 10개월 첫대행사 7개월 두 번째 대행사 2개월 지금 대행사 3개월 재직중 첫직장에서는 야근은 주구장창 하는데 도저히 환경을 할 수 없는 환경으로 인해 퇴사를 했고 두번째 직장에서는 그냥 팀이나 회사하고 저하고 안맞는다고 수습기간 중 일방적으로 근무가 종료 되었고 지금 직장은 회사나 팀장이 요구하는 수준을 지금 당장 만들 수도 없고, 모든 상황에 대한 정답을 저에게 내놓으라고 하는 상황입니다. 어지간한 팀장 대리급은 되어야 해결을 하던, 답변을 하던 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저에게 답을 요구합니다. 매일 같이 피가 마르는 느낌입니다. 저에게 요구하는 수준이 너무 높아요. 퇴근을 하면 항상 머리가 터질거 같아요. 매일 같이 나는 인생이 답이 없구나, 나는 쓸모 없구나 그런 생각 밖에 안듭니다. 비슷한 경력대비 업무지식 같은건 좋은편이기는 한데, 지금 제가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다른 회사를 다닐 수 있을까요? 이직을 준비해야하나요? 준비할 수 있을까요? 그냥 계속 욕먹으면서 잘릴때까지, 배째라는 마인드로 내 할수 있는 만큼만 하면서 버텨야 하나요? 인생 패배자 같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구라가담긴예술
23년 03월 25일
조회수
2,266
좋아요
6
댓글
15
커리어 고민
금융업에서 기획 쪽 일이 하고 있는데 보고서 작성과 노가다가 전부이고 승진도 늦고 따분하고 보람도 없어서 뭔가를 도전해보고 싶은데 이직도 잘 안되고 고민이 많네요ㅠㅠ 4년차라 이제 경력이직을 해야하는데… 직무 고민도 많고 그나마 투자심사 업무나 리스크 쪽으로 가보고 싶은데… 시간이 걸리더라도 일하면서 CPA나 세무사 자격증을 따는게 맞을 까요? 직장에서 도망치고만 싶네요 다 그런건지ㅠ
gkgkgkgk
23년 03월 25일
조회수
1,360
좋아요
4
댓글
7
독립계 사모펀드에서 커리어 시작한 주니어 운용역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독립계 사모펀드 주니어 운용역입니다. GP 실무진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저희 회사는 메자닌 투자를 주로 합니다. 여기서 일을 시작한지 이제 1달 반이 넘어가고, 제 위에 시니어 두 분이 계십니다. 한분은 대표님이시고, 다른 한 분은 실무진 헤드이십니다. 즉, 두분 다 실무 검토만 하시는 분들이셔서, 실무를 배울 수는 없습니다. 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점은 오히려 좋습니다만, 제가 맞게 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고, 무엇부터 공부하면 좋을지 고민입니다. IRR분석, 밸류에이션 등 실무에서 요구되는 스킬셋을 선배님들께서는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이 외에도, PE 주니어에게 줄만한 조언 주시면 새겨듣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데드인사이드
23년 03월 25일
조회수
3,145
좋아요
23
댓글
17
투표 중소에서 중소로 이직
중소에서 2년 반 근무 후 퇴사하고 현재 이직처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왕이면 중견이나 대기업으로 회사 네임밸류 보고 이직하고 싶은데, 그게 쉽지 않으니 자꾸 오퍼오는 현실과 타협을 하게 되는데요.. 이번에 이직하면 그래도 3년은 버티고 싶습니다. 오퍼 온 곳 그냥 갈지..아님 좀 더 노력해서 중견이나 대기업을 더 넣어볼지..다들 어떠한 의견이신가요?? [이전 회사] -연봉 3천 중반+인센 5백 이내 -워라밸 없음 -60명정도 [오퍼 온 중소] -연봉 4천+인센 1천 내외 -워라밸 보장 -10명 내외 희망연봉은 인센 없이 4500이긴 합니다
apineye
23년 03월 25일
조회수
851
좋아요
0
댓글
1
회사에서 할일이 없음 어떡하나요?
현재 사업개발 업무인데, 처음 입사는 영업으로 들어왔습니다. 현재 2년정도 다니는데 1년 반은 영업 및 신규사업으로 바뻤는데 현재는 영업할것도 없고 위에서 쪼지도 않네요 정말 하루에 출근해서 2시간이면 그날 할 급한일은 끝나고 할게 없어서 멍때리는 시간이 많네요
cttc
23년 03월 25일
조회수
9,595
좋아요
29
댓글
30
투표 연소득 9천 <월세 vs 전세>
주업+부업으로 연9000 정도 가져가는데 이제 전세 연장시기 되어서 엄청 고민 중 ㅠ 전세대출 이율이 낮아서 월 20정도 나가는데 요즘 전세 안좋다는 이야기도 많고.. (근데 전세 있으면 현금은 잘 모을 수 있을 거 같공) 고민 중인건 월세 90-100정도 되는 곳으로 옮기는 거야 전세금빼서 은행 넣는 거랑 비교하면 월 40-50정도 더 내는 건데 그게 왤케 아깝냐 ㅠㅠ 형들이라면 지금 시기에 월세가 전세가?? 무주택자는 운다 올해말에는 자가 꼭..! (투자도 못하는 ㅈㅂ임 )
료꾜
23년 03월 25일
조회수
1,635
좋아요
0
댓글
9
알리익스프레스 구매 경험
알리익스프레스에 해드셋을 구입했는데요 ㅋㅋ 애플에 헤드셋을 복제품 같은데 회사에서 쓰러고 구매 했는데 완전 싼티가 ㅎㅎㅎ 결국 집으로 혼자만의 공간에서 사용하기로 했네요
begin
23년 03월 25일
조회수
904
좋아요
1
댓글
4
외국계은행 세일즈
연봉이나 대우가 어떤가요?
밀크앤티
23년 03월 25일
조회수
467
좋아요
1
댓글
1
연봉 인증 태그는 어디서 달아?
리멤버 블랙은 가입되었는데 연봉인증태그가 안뜨네 2억부터 태그뜨는거야?
ㅇㄱㄹㅇl
억대연봉
23년 03월 25일
조회수
908
좋아요
0
댓글
5
투표 해외파 학사 vs 국내파 석사
마케팅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는 23살 여자입니다. 전문학사이고, 해외 호텔 경력이 1.5년 있습니다. 1. (해외파 학사)해외 유학으로 학사 학위를 따고 현지에서 경력을 쌓는다. 2. (국내파 석사)국내에서 경력(마케팅 외)을 쌓으면서 마케팅 관련 자격증을 따고 석사까지 공부한다. 국내에서 마케팅 분야로 취업하기에는 어느쪽을 추천하시나요?
백정
23년 03월 25일
조회수
813
좋아요
0
댓글
5
이직 고민글입니다 IT전산팀 (20명vs 4명)
40대 ERP개발, 운영 주로 해 온 직딩입니다. 새로운 회사 오퍼가 와서 면접을 보았는데 고민이 되어 조언을 구합니다 1. 현직 회사 (외국계 직원 1000명/it20명 업무 : PM 및 erp 관리 (대부분 해외 외주) 장점: it 팀이 꽤 크니 리소스가 많고 워라벨 좋음, 팀 중간 관리자 성장 기회 있음, 매출 급상승 단점 : 반대로 리소스가 많으니 대체가능인력 될 수도? 메인 시스템은 비주류 외산 ERP사용 - sap활용도가 낮아 물경력 가능성 높음 2. 이직 면접 회사 (외국계 직원 150명/it 4명/리테일) 업무: sap ecc/hana/pos 운영 및 여러 sap 프로젝트 장점: sap 경력 유지, 워라벨 가능, 팀장 밑에 중간관리자직 단점 : 인원이 적으니 피상적인 업무(sap외 연결 시스템등) 도 관여해야함
장이
23년 03월 25일
조회수
2,283
좋아요
0
댓글
8
고민의 시간이 짧을 수록 합격률이 높다!
필자는 외국계기업 중심으로 채용과 강의를 진행하며, 여기서 올리는 글의 대부분은 외국계기업과 관련된 글임을 참고 바란다. (국내기업도 외국계기업의 채용방식을 차츰 따라가는 편이니 참고하면 좋겠다. ) 외국계기업의 채용방식은 기본적으로 선접수 선면접이다. 대부분 경력위주로 채용을 하고 채용오픈시점부터 들어온 서류부터 바로 검토에 들어가며 괜찮은 인재다 싶으면 최대한 빨리 면접을 잡는다. (그 괜찮은 인재는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므로, 괜찮다 싶으면 빨리 잡으려고 한다. ) 면접을 보고 이 사람이다 싶으면 2~3일안에 2차면접, 그 다음 하루만에 레퍼런스첵까지 끝나고 빠르면 서류제출 1~2주내에 입사가 확정되는 경우가 많다. 정말 괜찮은 인재면 1차면접이후에 당일에 바로 합격을 시키는 경우도 았다. 필자가 봐도 매우 뛰어난 인재가 있었는데, 면접을 본 그 회사의 실무 매니져들도 그렇게 봤기에, 그 후보자가 나가서 다른 곳에서 면접을 보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후속 과정을 다 생략한 채 합격을 시켰다. 그 후보자는 수도권대 졸업 및 중소기업 출신이면서 글로벌 ERP를 사용해 본 경험이 없었는데, 업계 상위권의 외국계기업에서 그를 채용했다. (그의 스토리는 다음 기회에) 외국계기업이나 수시로 채용을 진행하는 일부 국내 기업들은 보통 공고기간을 다 채우며 후보자를 기다리지 않는다. 공고기간이 2주라서 1주정도 고민하고 1주정도 정성 들여 이력서를 작성해서 공고기간 말미에 제출하면 어떻게 될까? 이미 다른 후보자가 채용이 확정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고민은 이틀을 넘기면 좋지않다. 하루이틀만에 최대한 적극 고민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접고, 기다 싶으면 바로 진행을 해야한다. “이번 한주 고민해보구요~” 본인이 특출난 슈퍼급 인재라면 그렇게 해도 상관이 없다. 본인이 생각해도 경쟁자가 적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확실한 방법 중 하나는 그들보다 빨리 지원하는 것이다.
이경석 | 헤드헌트
23년 03월 25일
조회수
5,628
좋아요
44
댓글
6
외국계회사 영어면접은 어떻게 준비해요?
외국계회사 이직을 앞두고있습니다. 근데 영어면접은 어떻게해야하는건가요? 해본적이 없어서 뭘 준비해야할지 모르겠어서 막막하네요 ㅎㅎ
을지로김대리
23년 03월 25일
조회수
744
좋아요
2
댓글
1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