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투표 노후를 위한 준비 어떻게 하세요?
저는 적립식 주식 매수로 준비중인데 아직 이렇다할 성과는 없네요. 다들 어떻게 하세요?
yes54
억대연봉
쌍 따봉
01월 04일
조회수
2,137
좋아요
145
댓글
100
40대중반 구직중 조언구합니다.
안녕하세요. 건강상의 이슈로 퇴사를하고 5개월정도 요양 및 재활후에 다시 구직을 하려합니다. 현업에서 조직장을 했었고 컨설팅펌에서도 근무를 했었기에 연봉이 높은 편인데요, 이부분이 오히려 지금은 걸림돌인 것 같습니다. 큰욕심을 부리거나 특정회사 아니면 가기싫다던가 그런상황은 전혀아니고요. 제가 했던 업무경력을 잘 살릴 수 있는 곳이라면 연봉 상관없고 눈높이 낮춰서 폭넓게 지원하고있는데 서류통과가 연봉이 좀 있는곳이 차라리 조금씩 되고 규모가 좀 작거나 연봉이 낮은곳은 아예 서류통과가 안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런경우에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언을 구해봅니다. - 최종연봉은 어찌되었거나 사실이긴 하므로 이부분은 실금액으로 적어내고 희망연봉을 낮추거나 내규협의로 한다 - 최종연봉을 사실과 다르더라도 대폭 낮춰서 기재하고 희망연봉을 내규협의로 한다. - 그 외 다른 효과적인 방법이 있다면 조언부탁드립니다. 그 외 자기소개서에 연봉은 크게 중요하지않고 이런 내용들을 좀 서두에 솔직담백하게 기재하는것이 좋을지 이런 부분들도 경험자분들의 팁 구해봅니다. 제가 이직경험이 두세번정도로 많지가 않아서 노하우같은것이 많이 부족하네요. 비슷한 연령대 비슷한경험 하신분들의 아낌없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아웃극복
01월 04일
조회수
4,014
좋아요
106
댓글
60
동상이몽, OKR vs MBO
직원 퇴사율이 높은 회사입니다. 그리고 올해 매출 목표가 있고 OKR 관리 제도를 활용합니다. 1. 팀원 이탈율 0%라는 관리 목표 2. 올해 ***억원의 전사 매출 목표 각 팀에서 이 두가지 목표를 두고 OKR을 진행합니다. 2025년 팀 운영 방향을 짜봤습니다. 사실 MBO나 OKR은 경험이 없고 체계적 교육을 받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위의 언급된 1의 목표는 MBO 형태이긴 하지만 2의 목표를 통해 도출한 팀 OKR을 팀원들과 전체 회의, 1대 1 면담 등을 통해 의견들을 더 들어보며 조율해가야할 것 같아요. ----------------------------------------- (새로운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려면 평균 3년이 걸린다는데. 글쎄요, 팀원 퇴사 관리보다 팀장인 저 본인의 퇴사 관리도 시급합니다만 ㅎㅎ 몇몇 팀장들과 얘기나눠보면 우리 회사는 결국 '경험을 쌓고 싶은 사원들에게 좋은 회사이다'라는 평들이 있습니다. 실제 팀장, 팀원의 양극화 현상과 갈등 조장 또한 실존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이번에 *인사팀으로부터 익명으로 인입된 팀원들 얘기를 들어보니 살짝 기운이 빠지기도 해요 ㅎㅎ) ------‐-------------------------------- *사람은 본인 유리한 쪽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편협한 의견을 내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 아무쪼록 작년보다 올해는 저 포함하여 모두가 한단계씩 더 성숙해지고 함께 발전적일 수 있는 2025년이면 좋겠어요.
내이름ㅇㄷㄴ
01월 04일
조회수
603
좋아요
5
댓글
4
전세갱신청구권을 쓰려는데 집주인이 나가라네요ㅠ
팔거나 부모님이나 자기가 들어가겠다고.. 갱신청구권 포기하고 올려주는게 맞는 선택일까요..?
엘저닝ㅇ
억대연봉
01월 03일
조회수
11,866
좋아요
143
댓글
142
30대 후반 여성 이직 고민
30대 후반인데 이직 가능할까요 외국계 6년 영업관리 외국계 1년반 사업개발 스타트업 3년 파트너십 공백 2년 정도 (가족사업) 영업관리는 주니어만 뽑아서 영업을 해야할것같은데 영업하기에는 경력이 부족해서 애매하네요ㅠㅠ
유리벽공
01월 03일
조회수
1,753
좋아요
42
댓글
37
수습 3개월 중 2개월만 일하고 퇴사했는데 인턴으로 표기? 아님 경력에서 제외?
정규직으로 입사했지만, 처음에 인턴 근로계약서를 작성했고 입사 후 3개월 간 수습직원으로 근무하기로 되어 있었어요. 그런데 정규직 근로계약서는 따로 쓰지 않았고, 2개월만 일하고 퇴사했거든요. 이런 경우 경력을 ‘인턴’으로 표기해도 되는 걸까요? 선배들은 짧은 경력이 흠이 될 수 있다고, 차라리 경력에서 제외하라고 하는데 고민이네요.
auda
01월 03일
조회수
2,489
좋아요
24
댓글
20
제약영업>제약 인사총무 신입
안녕하세요 제약영업1년차 경력을 가지고 있고 다리건강악화로 퇴사를하게되었습니다 재활후 사무직으로 이직할려하는데 제가 경영학과를 나왔고 인사팀을 해보고싶어서 지원해보려고 합니다 1.인사총무에서 구체적으로 하는일은 무었이 있을까요? 2.인사총무 지원전 알고 있으면 좋은 공부(책) 3.면접보신분들 단골 면접 질문 어떤게 있나요? 4.제약회사에서 일했던 경험을 활용 해보려하는데 신입지원이면 그냥 경력 자체를 빼는게 좋을까요? 5.조언 부탁드립니다!
dudufl
01월 03일
조회수
2,037
좋아요
13
댓글
10
명함 인쇄시에 여백이 부족할거같은데
회사에서 명함디자인을 했는데요 제일 기본 90*50 디자인했는데 재단을 생각못하고 디자인해서 다시 보니까 너무 좁아요… 이미 인쇄들어갔을텐데 주문한 담당자가 따로 있고 또 주말이고…걱정입니다 혹시 인쇄소에서 여백을 추가로 넣어 재단해주실 가능성이 있을까요…? png파일도 드렸구요 원본파일도 넘기셨는지는 확인되지않았습니다..
judyy
01월 03일
조회수
1,003
좋아요
5
댓글
3
공동대표 둘이서만 하는 회사 어떤가요
10년전에 창업해서 지금은 30ㅡ40억 정도 매출 하고있습니다. 순이익은 5ㅡ7억정도 나오는데. 직원은 없고 동업자와 둘이서만 운영하고있습니다. 항상 일이 많고 잘잘한 잡무도 처리해.가면서 일을하는데. 가다가다 염증이 많이 나네요. 같이 동업하는 친구는 기존 큰 회사에서 일하면서 사람들 사이에. 치이고 월급루팡들을 워낙많이보고 창업해서 그런지. 사람을 뽑는것에 아주아주 부정적입니다. 요즘 지피티나 이알피나 이것저것 편한것들이 많이나와서 일당백 한다는 자부심으로 하고있긴한데.. 일이 아주 많이 늘어나면 사람을 뽑자고 말하는데. 사실 잡무처리하면서 들어오는 일들 쳐내면 아예 새로운 고객사나 제안같은건 안하게 되더라구요.. 저는 수출도 해보고싶고 새로운 시도도 해보고싶고. 좀 여유롭게 고객사들도 만나고 싶긴한데 일이늘어나면 사람을 뽑자니. 순서가 뭐가 먼저인지 모르겠습니다. 슬슬 나이는 들어가는데 . 은퇴할때 까지.이렇게 둘이서 북치고 장구치고 둘이하나 죽을때까지 할까봐 무섭네요 ㅎ
방랑곰
01월 03일
조회수
14,816
좋아요
228
댓글
107
가스라이터와 잘 싸우는 방법..!(펌)
가스라이터와 잘 싸우는 방법..! <사무실의 도른자들> 이 책 진짜 좋네요 :))) 빌런 북클럽 준비하면서 정말 도움 많이 받은 책..! 📍 기록으로 증거를 남긴다 뭔가 이상하다고 느끼는 순간 바로 메모하라. 사진을 찍어라. 녹음 버튼을 누르고 말로 기록하라. 어떤 방식으로든 그 느낌을 기록하라. 남들에게 공개해야 할 순간이 오면, 이런 작은 기록들이 빛을 발할 것이다. 나아가 남들에게 공개할 용기를 줄 것이다. “보세요, 제겐 증거가 있어요.” 증거가 있으면 훨씬 편안한 기분으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 조금씩 인맥을 쌓아나간다 가장 가까운 사람들로 시작하라. 과거에 친구였던 사람, 가스라이팅을 당하기 전에 우군이었던 사람부터 만나라. (...) 어떤 피해자들은 가스라이팅을 당했다는 걸 깨닫고 나면 바로 제일 높은 사람을 찾아가고 싶어한다. 자기가 아는 가장 힘있는 사람을 찾아가 지금까지 어떤 일을 겪었는지 털어놓고 뭔가 변화가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전략이 효과를 내는 일은 드물다. (...) 사람들이 당연히 여러분의 편에 서줄 거라고 가정하지 마라. 여러분의 말을 믿게 하려면, 여러분만의 인맥이 필요하다. 📍 사회적 참고인을 찾아라 고등학교에서 학교폭력을 줄일 방법을 연구한 결과, 제일 좋은 방법은 여러 사람과 잘 연결된 핵심 인물 몇 사람을 찾아서 그들을 타깃으로 학교폭력 반대 캠페인을 벌이는 것임을 알아냈다. (...) 인기 있거나, 두루 호감을 사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이 사회적 참고인이 된다. 그들의 중요한 특징은 또래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는다는 점이다. 📍 사람들에게 의견을 구하라 더 작은 문제를 들고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게 더 좋다. 예를 들어 지난 석 달 동안 여러분을 가스라이팅하고 있는 상대에게 피드백을 거의 받지 못했다는 사실로 운을 떼는 것이다. (...) 사람들에게 의견을 구했다는 말이 줄리(가스라이터)의 귀에 들어가더라도, 특별히 꼬투리를 잡힐 구석이 없었다. 📍 정면 대결을 하고 싶으면, 기다려라 거짓말하는 걸 알고 있다고 상대한테 말해도, 상대의 행동을 멈출 수 없다. 상대가 오히려 더 세게 나올지도 모른다. 거짓말 전략을 바꾸거나, 예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여러분을 비난할지도 모른다. 여러분이 가스라이팅을 당하는 동안 상대는 바깥세상에서 여러분이 거의 알지 못하는 또다른 현실을 만들어나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하길. 📚 《사무실의 도른자들》, 테사웨스트, 문학동네, 2023, p.234-241
냥냥냥이펀치
01월 03일
조회수
1,648
좋아요
47
댓글
32
대체투자 자산운용사 > VC 업계로 이직 고민 중입니다.
안녕하세요. [개인 정보는 삭제하였습니다. 혹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게시글은 남겨두겠습니다. 답변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근래 부동산, 인프라 등 실물 자산을 다루는 업무에 대한 회의감이 들고, 제 성향자체가 대체투자 비즈니스 보다는 B to C 사업에 관심이 많고, 새로운 아이디어 혹은 아이템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해주고 거기서 보람을 느끼는 사람인 것 같아 B to C 관련 제 사업을 10년 내에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왕 나중에 사업을 할거면 VC 업계에서 일하며, 다양한 창업 아이디어를 보고, 관련 공부한다면, 지금보다 즐겁게 일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 어떻게 진입해야 할지 고민 중이며, 진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고민해봤습니다. 어떤 전략을 추천하시는지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스테이 * 관련 경력 더 쌓고 넣어가기 (단, 창업의 시기가 더 늦어질 수 있음) 2. 사내 기업금융팀으로 옮기기 3. VC 바로 진입(신입 공채, 주니어 경력직 등) * 직장을 다니며 대기업 VC 위주로 노릴 것 같습니다. 4. 그 외, 추가적으로 부동산 산업과 인프라 산업 관련 투자운용 전문성에 대한 VC 업계의 니즈가 있는지와 제 스펙이 VC 업계에 진입 가능한 스펙인지 궁금합니다. 귀중한 시간 내주시어 댓글 달아주시는 모든 선배님들의 조언 감사히 듣겠습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메테우스
01월 03일
조회수
2,871
좋아요
58
댓글
22
상장사에서 자기 회사 주식 많이 사는 직원 어떻게 생각해?
말 그대로 상장사야. 주식이 크게 움직이는 회사는 아니야. 근데 직원중에 본인 회사 주식을 열심히 매수하고 오랫동안 가지고 있어. 그러다가 또 사고... 이런 직원들 회사에선 어떻게 생각해?? 오너나 회사 경영진한테 묻고 싶고 그리고 관련 부서직원들은 이런 직원들이 어떻게 평가 받는지 들은게있다면 알려줘. 궁금해.
어반허반
01월 03일
조회수
1,055
좋아요
27
댓글
32
그냥.. 올려봐요
회사 다니면서 처음으로 올려봐요! 4년차인데 작년에 갑상선기능저하증, 작년 말에 우울증, 공황장애까지 판정 받았는데 사실 제 스트레스가 회사 밖에 없거든요. 주변 사람들은 다 휴직하라고 하는데, 한달조차도 쉬어본 적이 20살 이후에 한번도 없어서 쉬는 것도 무섭고, 휴직하는게 무섭더라구요. 아직도 결정을 못했는데! 한 달이라도 쉬는게 나을까요..? (회사에선 괜찮다고 한 상태입니다!) 제 스스로 마음의 결정이 잘 안되는 상태ㅎㅎ —— 답답한 마음에 올려 봤는데 응원 해주신 모든 분들 덕분에 따뜻한 하루가 될 것 같습니다! 직장인 여러분 모두 아프지 마시고, 2025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저도 늘 응원하겠습니다. 댓글 달아주신 분들, 좋아요 눌러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79865ddd
01월 03일
조회수
647
좋아요
19
댓글
18
(경영) 광고의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돼라
이것이 핵심
반가운소식
쌍 따봉
01월 03일
조회수
166
좋아요
4
댓글
0
이직 예정인데요 퇴사 관련해서요!!
1월 말에 성과금 받고 퇴사를 하고 싶은데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해고할 수 있나요..??? 전환형 계약직입니다 ㅠㅠ
꾸움내무
01월 03일
조회수
667
좋아요
3
댓글
8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