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내가 이런 상황이라면 퇴사한다 안한다
이직한지 6개월 다 되어가는데 이런 상황임 1. 신입인데 해야할 일, 챙겨야할게 너무 많음 (리서치 특인지 모르겠지만, 프로젝트 5~6개 하는데 프로세스를 잘 모르니까 프로젝트 완수까지 모든 루트를 팀장님의 컨펌없이 진행하기 어려움. 근데 팀장님이 다른 팀원의 프로젝트까지 같이 끌고가고 본인 업무가 있어 컨펌이나 프로젝트 완료가 지연됨. 야근 매일 확정) 2. OJT 아직까지도 못 받음 (수시채용이라 아직 받지는 못함, 11월 예정, 사규상 상/하반기 나눠서 진행) 그래서 모르는게 너무나도 당연함 3. 모르는거 있으면 물어보라는데 뭘 물어봐야할지 몰라서 못 물어봄 4. 이곳저곳 물어보다 (특히 행정처리업무) 내가 해야할 일 못해서 야근 다반사 5. 퇴근 직전에 일 던지고 내일 오전까지 하라고 함 6. 팀장 그리고 팀장의 상사 (ex. 부서장 혹은 부장) 가 쪼아서 내리갈굼됨 7. 야근 안하면 일 안하는 줄 아는 문화 8. 신입 연봉 세전 4천 + 인센 (근데 인센 max 200만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쓰면서 느낀건데 퇴사가 답인거 같은데 이걸 견디면서 최소 일년을 버텨봐야할까요 아니면 6개월 수습끝나기 전에 (11월말까지 수습) 빠르게 이직하는게 좋을까요 찐 현실조언해주세요
루루삥
22년 10월 26일
조회수
1,188
좋아요
2
댓글
3
대신증권 wm 연봉, 성과가 궁금합니다
wm 대리급 연봉, 성과가 궁금합니다 혹 아시는분 계실까요?
ffffl
22년 10월 26일
조회수
1,854
좋아요
1
댓글
7
자산전문인력 따 놓으면
나중에 이직할 때 더 쳐줄까요
구랫
22년 10월 26일
조회수
1,125
좋아요
0
댓글
3
나이가들면 더힘든이유
힘든데힘든다고말할수없어서 더힘든거같애요 자존심도그렇고 주변도다힘든데하기도그렇고 새삼스럽게 나이먹고 남에게공감을구하는걸로 스트레스풀려는것도 뭔가구차해보이는것같고요 그래도더털어놓고말하고해야 좋은거같습니다 아재들 화이링!!
경영철학회색지대
22년 10월 26일
조회수
1,156
좋아요
11
댓글
6
모 HR 스타트업 대표 관련 뉴스 진짜인가요?
술 때문에 한방에 나가리 되는 분들 보면 참 안타깝습니다...
case8
억대연봉
22년 10월 26일
조회수
1,720
좋아요
2
댓글
9
국내 MBA는 서울대 연대보다 고대를 추천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Finance, M&A쪽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MBA의 필요성을 느껴 알아보는 중인데 아는 분께서는 고대랑 카이스트 가 서울대 연대보다 더 인기가 많다고 하는데 네이버나 이런데 찾아봐도 나오지 않는 내용이여서요ㅠ 네트워킹에 강점이 있다고만 들었습니다. 혹시 국내 MBA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식견 요청드립니다.
별빛설화
억대연봉
22년 10월 26일
조회수
2,678
좋아요
5
댓글
8
퇴사가 빈번한 팀에서 오래 일하는 것이 경력에 도움이 될까요?
업계에서 입지가 탄탄한 회사에 매니저 포지션으로 이직해서 거의 2년 가까이 근속중입니다. 저희 팀은 생긴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최근에 각광받는 분야라서 기대를 갖고 입사했는데요, 막상 다녀보니 오래된 팀이 아니다보니 업무하기도 어렵고 (주변 팀으로부터 협조를 받기보다는 새로운 일을 하니 경계와 의심의 시선이 많더라구요) 헤드는 워낙 마이웨이로 가는 사람이라 모든 팀으로부터 배척당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도 한번 이직 했는데 적어도 3년은 버텨야지 하는 마음으로 다니고 있는데 고민이 되네요. 회사규모와 네임벨류만 포기하면 옆그레이드려 갈아탈 수 있는 회사는 다행이 아직은 있는 편입니다. 팀에서 제가 가장 근속이 길고 나머지는 대부분 1년을 채우지못하고 퇴사하고 있고 이마저도 업계에 소문이 나서 포지션은 항상 오픈되어있지만 능력있는 동료나 후배들이 지원을 꺼리네요.. 빈자리들은 단기 계약직이나 인턴들로 매꾸는 상황입니다ㅜ 이 팀에서 오래 버티는 것도 추후 이직시에 경력에 도움이 될까요? 오히려 눈치없이 버티는 안일한 태도로 오해될까 걱정입니다. 디렉터급 되시는 채용많이 하시는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쏠차일드
억대연봉
22년 10월 26일
조회수
931
좋아요
1
댓글
3
리더십 공부
https://m.blog.naver.com/wjchin/222911033841 리더의 시간은..
리더십수행자
억대연봉
22년 10월 26일
조회수
569
좋아요
0
댓글
0
투표 가장 선호하는 이직 방식은?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운영자입니다. 모든 직장인의 관심사 이직, 관심이 뜨거운 만큼 방식도 다양한데요. 회원님은 이직을 고려할 때 어떤 방식을 가장 선호하시나요? 투표📊와 댓글💬을 통해 의견을 들려주세요! 가장 선호하는 이직 방식을 투표해 주시고, 선호하시는 방식/비선호하시는 방식에 대해서 댓글로 의견 나눠주세요. * 참여한 분들께는 투표 종료 후 결과도 전달드릴게요.
커뮤니티 운영자
쌍 따봉
 | 리멤버
22년 10월 26일
조회수
619
좋아요
4
댓글
0
금토 회사 야유회
혼자 여자인 것도 싫고 ㅠㅠ 금토인 것도 싫고 금요일 밤에 그냥 빠져나와서 가고싶은데 구체적인 핑계 없을까요 ㅠㅠ?
너구리구리
22년 10월 26일
조회수
2,600
좋아요
3
댓글
19
현대사회에서 무기력은 병증이다
안녕하세요 무기력을 경험해보신적이 있나요? 뭔가 하기도싫고 의욕도없고 희망도기대도없는, 딱히 답도없는그런상태말입니다. 이 무기력이란 것이 현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시장경제사회에서는 참 무서운 병증입니다. 왜냐하면 이 시대에는 누가 뭘 딱히 강요하거나 시키지는 않습니다. 자기 의지로 돈을 벌고 일을 하고 그 대가를 가져갈 뿐입니다. 그런데 이 사회는 날로 진보하고 기술이발전하고 속도가 빨라집니다. 그 말은 결국 본인인 스스로 앞으로 치고나가지 않으면 퇴보하는 낙오하는 그런 사회란 것입니다. 즉, 피트니스의 트레드밀처럼 사회는 계속 앞으로 나아가기때문에 가만히 있으면 꾸물거리고 있으면 금새 낙오가 되어버리는 것입니다. 이런 사회에서 무기력증은 병증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너무도 바쁘고 복잡하고 잘난 사람들이 이끌어가는 이 사회에서 보통사람들은 서민들은 그들을 따라가고 자기몫을 하는데 카페인같은 각성제에나 의존하며 헉헉대다가 방전이 되어 무기력에 빠지기가 쉬운것입니다. 이 현대인의 무기력 또는 번아웃이라는 병증을 고쳐내는 것이 이 시대에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아닌가 그래 생각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경영철학회색지대
22년 10월 26일
조회수
426
좋아요
7
댓글
1
주니어가 시니어에게 줄 수 있는 것?
안녕하세요! 제가 회사(회사가 비영리쪽 네트워킹이 넓습니다)에서 소개받은 동아리(독서&토론 동아리입니다)에서 장을 맡고 있는데요. 저는 주니어인데(약 3년차 정도) 바라보는데 타 기업 시니어분들께서 저희 동아리에 들어와주셔서요. 주제는 성장입니다. 나름 그룹장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데 주니어인 저와 다른 그룹원들이 시니어인 그룹원 분들께 어떤 인사이트나 도움을 드릴 수 있는지 모르겠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오구구
22년 10월 26일
조회수
466
좋아요
0
댓글
1
경력 관련해서 고민 되기는 하네요 ㅎㅎㅎㅎ
원래 한 회사에 오래 있자! 하는 편이기도 하구, 광고대행사에서도 3년반을 있었는데 어쩌다보니 그 다음 회사가 근무처를 멀리 옮기는 바람에 6개월하고 나오게 됐고, 또 지금 회사로 왔는데 신사업팀이었는데.. 갑자기 신사업 중단하신다며..ㅎㅎㅎㅎ 이직을 해야하나... 하는 중인 단계입니다.. 여기도 애매하게 4개월이 지난 터라, 의도치않게 1년 미만의 경력이 두개가 생겨버렸네요. 저도 신입분들 면접 볼 때 경력이 짧은게 계속 있으면 좀 유의깊게 보긴 했던 터라.. 이유가 있어도 1년 미만 경력이 두번 연달아 생기는건 좀 그럴까요 ㅠ?
로제스
22년 10월 26일
조회수
367
좋아요
1
댓글
0
회사 안에 숨어 있는 진짜 권력자 찾기
안녕하세요, HBR Korea 편집장 최한나입니다. ✍ 직장 안에는 분명 권력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권력 구도가 회사 웹사이트에 나와 있는 조직도처럼 분명하지는 않죠. 특히 새로운 역할을 맡거나 회사를 옮기는 등 내가 속한 조직에 변화가 있을 때, 직급 계층 구조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업무가 진행되도록 도와주는 숨은 조직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오늘은 직장 내 권력 구도를 이해하고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HBR 아티클을 소개하겠습니다. - ✔권력의 종류 1959년 사회심리학자 존 프렌치와 버트램 레이븐은 다른 이들을 자신이 원하는 변화로 이끄는 5가지 권력 기반을 정의했습니다. 물리력에 의존하는 강압적 권력, 인센티브에 의존하는 보상적 권력, 계층구조에 의존하는 합법적 권력, 관계에 의존하는 준거적 권력, 지식 권위에 의존하는 전문적 권력입니다. 몇 년 뒤 희소한 데이터 자원에 의존하는 정보적 권력이 추가됐죠. 조직에서 누가 강한 영향력을 갖는지 정확하게 평가하려면 권력에 어떤 종류가 있으며 해당 인물에서 비롯되는 권력은 어디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누가 가장 많이 불리는가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듯한 동료는 준거적 권력을 가졌다고 볼 수 있을 겁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많은 인력을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진 동료는 정보적 또는 보상적 권력을 가졌다고 봐도 되겠죠. 다른 사람들이 조언을 구하거나 도움을 얻고자 할 때 누구를 우선적으로 찾아가는지 살펴보세요. 친한 동료들에게 “회사에서 누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나요?” 라든가 “여기서 성과를 내려면 누구를 알아야 하나요” 같은 질문을 던져보는 것도 좋습니다. 누가 빠르게 승진했는지 알아보는 것도 좋겠죠. ✔영향력의 변화를 이해하라 권력은 역동적으로 변합니다. 특히 지금처럼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에서는 ‘관계’에 따른 권력이 ‘계층 구조’에 따른 권력보다 우선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이는 특별한 직급이 없어도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가 주어지고 반대로 고위직에 있다고 해서 반드시 대단한 영향력이 보장되지도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이 회사에서 어떻게 권력을 얻거나 잃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겉으로 드러난 권력 구조 너머를 보라 숨은 권력이 존재하는 부서 간 공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기업이 보다 고객 중심적으로 변하면서 업무가 수직적인 조직 내에서만이 아니라 여러 분야에 걸쳐 보다 수평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이에 따라 부서 사이를 연결하는 인맥을 잘 구축한 사람이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권력을 가진 동료들과 관계를 형성하라 회사의 권력 환경을 이해했다면 이제는 영향력 있는 동료와 관계를 맺을 때입니다. 권력을 지닌 사람이 기꺼이 당신과 시간을 보내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에게서 배우려 하는 겸손한 열망, 이기적인 목적 없이 가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에너지 넘치는 열망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너무 많은 것을 얻어내려고 하지 마세요. 약간의 호기심과 친절함 정도만 보여주며 다가가는 것이 좋습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 https://www.hbrkorea.com/article/view/atype/di/category_id/6_1/article_no/729
최한나 | HBR 코리아
22년 10월 26일
조회수
4,731
좋아요
37
댓글
2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