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헤드헌터의 이직 제안
안녕하세요 바이오업계에서 의료기기 성능시험 관련해서 2년 반 재직 중 입니다. 학사 졸업 후 바로 취업하여 케이스로 첫직장에서 지금까지 계속 일해왔는데요, 과도한 업무량에 하루종일 콜센터 마냥 전화기를 붙잡고 살아요. 왜 이것도 못하냐는 등 핀잔에 일은 잔뜩 시키니 맡고 있던 일 마저 버겁단 생각이 듭니다. 사람에 치여 그만두고 싶더라고요. 딱 한달만 마음 편히 쉬고싶어 퇴직 의사를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던 중 다른 곳에서 예상치 못한 이직 제안이 들어왔습니다. 의료기기 회사에서 지금과 같은 포지션으로 뽑는다. 지금보다 연봉을 7~800 더 주겠다 이력서 넣어봐라 했습니다. 퇴직의사도 밝혔고 좋은 기회인 것 같아 이력서는 넣어봤습니다만, 한편으론 한달만은 쉬고싶단 생각도 드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사회초년생 A1
23년 01월 12일
조회수
731
좋아요
0
댓글
1
쉽게 틀리는 표현
가렵다 & 간지럽다 다르다 & 틀리다 가렵다라고 해야 되는데 간지럽다 하는 경우가 정말 많고 다르다라고 해야 되는데 틀리다라고 하는 경우 정말 많음. 매우 거슬림🤨
case8
억대연봉
23년 01월 12일
조회수
300
좋아요
1
댓글
1
연말정산 궁금한거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남겨봅니다 작년 이런저런 이유로 이직을 두번하게 됐습니다 현재 직장으로 올때 전전직장을 이력서에 넣지 않고 지원해서 현재 다니고 있습니다 한달짜리 경력이었고 이직에 도움이 안된다고 판단하여 이력서에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이제 연말정산한다고 전직장 원천징수를 내야할텐데 제가 이력서에 기재하지 않은 회사의 원천징수도 같이 내도 될까요? 아니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할때 처리해야할까요??
오징어징어
23년 01월 12일
조회수
578
좋아요
0
댓글
4
상장사 별도재무제표/주석 담당자
안녕하십니까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글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제 만 2년된 코스피 상장사 회계팀 주니어로, 이번 22년 결산부터 별도재무제표 및 주석 담당자가 되었습니다. 이전에 계시던 분께 인수인계는 전혀 못받은 상황입니다. 보통 언제 별도 담당자가 되는지와 담당자로서 주의해야 할 점들 좀 여쭙고자 이렇게 글 올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편한 밤 되세요.
김철수9
23년 01월 12일
조회수
1,147
좋아요
5
댓글
18
기업홍보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법인이 이제 막 성장기에 들어서있는 회사입니다. 철강과 관련된 친환경 기술관련 기업인데.. 지금까지는 투자자와 업계관계자와 미팅하고 하는 식으로만 해왔는데 좀더 기술에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해야할 거같다는 판단이 섰습니다. 다만 팀원모두가 홍보쪽은 다들 잼병이고.. 잘 알지도 못하여 외부업체에 맡기고 싶은데 홍보를 어떤식으로 할 수 있을까요? 찾아보니 홍보대행사를 통해 맡기는 방식이 리테이너, 프로젝트방식, 건바이건(?)이 있다고하는데.. 어떤 것인지 잘 모르겠네요 일정금액 지불하면 알아서 언론, sns 등에 홍보해주고 관리해주는 것인가요?.. 보도자료를 통해서 언론사를 통해 하는 방법이나 블로그(?)홍보도 고민중인데 혹시 이것을 외주를 주어서 운영을 맡길수도있나요? 올려줄 내용들만 정돈해서 주고 관리감독만 하면서.... 블로그형식으로 글을쓰고 하는건 해주는업체가있으면 좋을거같아서.. 유튜브로 동영상을 만들어 올리긴했는데 아무래도 전문적내용들이라 그런지 따로 조회수가 많이나오진않습니다.. 저희가 가끔 세미나를 열기도 하고 국제심포지엄도 연적이있는데...아쉽게도 그때 기사가 하나도 안 나갔습니다. 돈은 돈대로 쓰고 에너지도 썼는데 홍보가 안되어서 지금까지도 아쉽습니다.. 근데 또 그걸 해낼 역량이없다보니 저희끼리 안타까워하고있습니다. 이런고민을 헤결할 방안이 없을까요? 저희 내부적으로는 오랫동안 고민이되는 부분입니다..
새로운길
23년 01월 12일
조회수
546
좋아요
2
댓글
7
2차 면접 때 어느정도 수준까지 준비해야할까요?
1차 면접 합격 후 2차 면접 예정입니다. 1,2차 면접은 본적은 있어도 2차때 이렇게 준비해야하는 곳은 처음이라 당황스럽습니다. 기존 업무 설명, b2b 대상 마케팅 계획, 콘텐츠 마케팅 아이디어 제안 등 인데.. 보통 어떤 수준까지 준비해야 하는지, 이렇게까지 준비해야하는 경우가 있나요?
i11ll1il
23년 01월 12일
조회수
623
좋아요
0
댓글
1
투표 이직과 스테이 고민 (투표)
안녕하세요! 이직과 스테이.. 너무 고민돼서 글 남깁니다. 개인이야기를 커뮤니티에 처음올려보네요. 그만큼 고민이 큽니다. 의견과 투표 부탁드립니다. 현재 1년반째 재직중이고 두 기업은 비슷한계열입니다. 현직장 -연봉협상이 최근 잘됨 -발전 가능성이 없어보였지만 히어로같은 머리의 등장으로 발전가능성이 생김 -중소기업이지만 업력이 꽤 돼서 안정성있음 -일이 많지만 적응해서 잘 맞음 -팀원간 사이 매우 좋음 (여기까지는 좀 더 다니다가 이직을 생각할 의향이었습니다. 아래가 이직 도전 사유) -20대인데 유부남 아빠뻘한테 성희롱당함 잘 해결됐다고 생각했지만 같이 일하면 정신적 스트레스받음 이직고민직장 -현직장보다 많이 받음 -급성장 스타트업 (최근 a시리즈 투자받음) -원팀이라 최대한 빨리 이직해서 인수인계 받아야함 -현직장보다 성장가능성 있지만 안정성이 확실해보이지는 않음 -팀원막내로 일하다가 (사회생활 3년차) 혼자 일해야하는 부담이 있음 (연차사용 등 자유롭다고 하지만 다른팀 이야기 일수도 있음)
뽀리링
23년 01월 12일
조회수
764
좋아요
0
댓글
1
E-FUEL 미래는?
실실 독일 차업계를 중심으로 내연기관 시스템을 살리려는 노림수인듯 합니다 근데 이퓨얼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그린수소를 얻기위해 전기또한 그린이어야하고 이산화탄소 포집과 그 어마무시한 양을 소화하려면 장비또한 전력소모가 엄청날긴데, 될까요?
gongza
23년 01월 12일
조회수
630
좋아요
5
댓글
7
준법감시, 리스크관리
안녕하세요. 현재 미들급으로 기업발굴, 리스크, 준법감시등을 주업무로 하고있습니다. 전직장에서 프론트로만 일을했다보니 리스크,준법감시등 많은것들이 부족하다는것을 느낍니다. 물론 프론트도 당연 완벽하지않습니다 ㅎㅎ.. 현재 부족한부분들은 채워나아가는 과정인데 창업기업 리스크,준법감시쪽은 어떤걸 공부해야하는지, 참고할만한것들은 무엇이있는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썬즈
23년 01월 12일
조회수
897
좋아요
1
댓글
0
대기업 인사이동 경험 있으신 분들 공지 며칠 전에 언질받으셨나요?
공지 전에 말돌거나 언질받는다고 하던데...
amdjxjuq
23년 01월 12일
조회수
1,135
좋아요
2
댓글
6
서울 근처 섬 여행 1박 2일
아내분이랑 1박 2일로 서울 근처 섬 여행 가려는데, 좋은 곳 있을까? 아내분 생신이셔서 고마워 …
서머싯잇몸
23년 01월 12일
조회수
849
좋아요
1
댓글
7
계약직해고통보해야하나요?
현재 계약직인 직원들이 있습니다. 3개월 계약으로 계약했고 계약만료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알고 있기론 계약직은 정말 계약기간이 있기때문에 따로 통보를 안해도 된다고하는데 혹시 어떻게 진행해야 매끄럽게 계약을 마무리 할 수 있을까요?? 3개월 계약직도 퇴직금을 줘야하나요??
왜이리시끄러운것
23년 01월 12일
조회수
8,302
좋아요
15
댓글
24
국민연금 운용 커리어로써 어떻게 생각하나요?
아는 분이 이번에 연봉후려처서라도 간다는데 그 정도로 메리트가 있는걸까요…? 부동산/인프라 쪽은 아니고 주식쪽입니다
갑이되고싶더
23년 01월 12일
조회수
4,807
좋아요
19
댓글
32
인테리어 디자이너 취업 관련
안녕하세요 저는 1년 6개월의 인테리어 현장관리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실내건축 기능사와 전산응용 건축제도 기능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6개월의 인테리어 디자인 학원 수강과정을 밟아서 포트폴리오까지 만든 상태입니다. 현재 구직 활동중에 있는데요.여러 군데 이력서를 넣었습니다. 제가 제일 가고싶은곳은 상업공간의 인테리어를 하는 회사입니다.그래서 제가 배운 디자인툴들을 적극활용하고 일하면서 실력도 더 키우고싶은 마음입니다. 그러던중에 대형 건설사 수장공사를 하는 회사에서 면접을 보고 왔는데요 설계쪽으로 지원을 했지만 이쪽에서 원하는건 현장소장의 밑에서 현장관리 일을 배워나갈 인재를 원하더라구요.제가 원했던 직무는 아니지만 연봉이 그래도 여러 수당들까지 포함해서 꽤 높았습니다.이쪽 방향으로 가는게 맞는걸까요 아니면 제가 원하는 직무의 방향을 계속 고집하는게 맞는걸까요?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현장소장 둘중 어떤 직무가 더 비전이 좋을까여? 저의 생각은 6개월이라는 시간을 투자해서 프로그램들을 배웠는데 그걸 적극 활용할수 있어야 아깝지 않다는 생각이라 높은 연봉이라도 고민이 되네요
리스페이스
23년 01월 12일
조회수
1,661
좋아요
6
댓글
6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