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혹시 법인카드 증빙 및 관리 어떻게 하십니까
-
hihi0624
23년 05월 16일
조회수
1,304
좋아요
3
댓글
11
사회생활 공감.jpg
1번은 시간 지나면 별 거 아닌 것 같고 ㅋㅋ 대부분 공감되네요.
트둥트둥
23년 05월 16일
조회수
1,174
좋아요
4
댓글
3
라때는 1편?
내가 신입 시절 무조건 30분씩 일찍 왔다. 일단 상사보다는 먼저 출근하는게 목표 였음. 먼저 와서 컴터 키고 머리를 예열하고 하루 일정 검토하고 미팅있으면 아젠다 준비하는 등등 시대가 변한 만큼 조직 문화가 유연해 져서 30분 일찍 출근하는 건 오바임. 이건 인정. 그런데 요즘 신입들은 8:58분에 출근 함. 오자마자 컴터 키고 허둥지둥 되는 게 ㅈㄹ 안쓰러움. 그렇다고 뭐라 할 수도 없음. 좀만 뭐라하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 십년 터울 상사도 10-15분 일찍 출근하는데 이런거 쏘왔? 이런 분위기임. 에휴
맹금류
23년 05월 16일
조회수
2,157
좋아요
10
댓글
29
프론트엔드 개발 이직
이전에 솔루션 회사에서 SI 개발(4년)하다가 프론트엔드 개발로 전향(1년 6개월) 했거든 이번에 이직 준비하고 있는데 이전 SI 경력 무시하고 프론트엔드 경력에 맞춰 이력서를 넣어야 할까??
ttyywss
23년 05월 16일
조회수
1,869
좋아요
5
댓글
10
연봉 공유
안녕하세요. 전문대 3년제 졸업하고 서울에서 일하면서 건축산업기사 자격증 따고 건축설계시공쪽 경력증명서는 중급입니다. 관리직, 전기,통신설계 등 다른 업무등 하다가 건축설계로 넘어가서 사회생활 12년차, 건축설계 8년차 과장으로 건축사사무소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연봉은 3200이며 식대지원 없고 연차, 월차 없이 1년에 휴가 6일 쉬는 20명이하 건축사사무소를 5년째 다니고 있는데요. 주변에서 왜 다니냐고 해도 설계직이 박봉이니까 그래~라고 하며 회사 사람들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해서 만족하며 살다가 요즘 검색하고서야 제 연봉이 설계 2,3년차 수준이라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충격 먹고 이직을 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중소기업 건축사사무소 다니시는분들 연차랑 연봉이 어떻게 되는지 공유 부탁드립니다. --------------------------''-''---------------------------- 추가질문으로 다들 연봉을 퇴직금포함으로 하시나요? 전 여태 다른회사 다닐때도 퇴직금별도로 연봉을 받아 왔는데 여기 대표님은 퇴직금포함으로 연봉을 얘기하셔서 제가 3500을 받고 있는거라고 하시네요..
긍정의힘90
23년 05월 16일
조회수
2,988
좋아요
9
댓글
38
7년차 직딩 이직횟수..
안녕하세요. 현재 저축은행 기금업무를 맡고 있고 7년차에 2번째 이직을 하였습니다. 현재 또 이직을 고민 중에 있는데 너무 이직을 단기간에 짧게하는거 같아서 고민입니다ㅜ
노민
23년 05월 16일
조회수
1,207
좋아요
1
댓글
3
승진은 했는데 연봉은 동결 뭘뜻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회사생활 중 참으로 당혹스러운 일이 발생했습니다 회사에다가 연봉이 너무적으니 조금만이라도 요청을 했는데 올려달라는 연봉은 안오르고 대신 직급이 올라갔네요 (사원->대리) 그리고 승진은 관심없다고 의견은 분명히 전달했습니다 인사과 선배님들 혹시 이거는 저보고 회사나가라는걸 회사에서 말하지 못하니 돌려서 의견주는것인지 아니면 이런경우가 흔한지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커리어 면으로는 34개월만에 대리달았는거 자체는 회사생활 적당적당하게 무난히 잘다닌거로 생각이드는데 젤 중요한 돈을 왜 안올려줄까요 회사에서 하는거보면 돈없다고 직원들 상대로 가스라이팅만하고 돈 엄청 많아보이는데 어째서 제일 중요한 돈은... 그리고 회사사정과는 별개로 이직준비할 예정입니다 퇴사사유로 승진후 연봉동결을 명분삼으면 나갈때 큰 문제는 없겠죠
Dobby 도비
23년 05월 16일
조회수
21,247
좋아요
56
댓글
73
아침형인간으로 다시??
COVID19사태(?)가 일어 나기 전에 저는 누가 봐도 아침형 인간이었습니다.. 그런데 재택근무가 확산되고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는 현재까지도 재택근무 하는 것이 상당히 자유롭습니다.. 이러한 좋은 환경(?)이 저의 생활패턴을 많이 바꾸어 놓아서 지금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이 상당히 버거울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에게 1가지 심플한 질문을 통해 저를 다시금 아침형 인간으로 스위치 하고자 합니다. 질문: 아침에 일찍(5:30분 이전) 일어나는 비법과 아침에 하시는 정신건강에 좋은 루틴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외국계26년차
억대연봉
23년 05월 15일
조회수
283
좋아요
1
댓글
3
3년 9개월 차... 물경력이라 공부하고 직무 변경 가능할까요?
제목 그대로입니다 사실 뭘 해야될지는 아직 정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연봉 높여서 잘 포장해서 이직은 했는데 전전직장에서는 실수가 많았고 전 직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잘렸구요 이직한 직장에서 연차 대비 너무 무능력하다는 느낌을 받아서 이정도면 그만 두고 다른 일을 알아봐야 하는 건 아닌가 싶네요 제가 잘하는 게 뭘까요 그만두고 공부해서 직무 변경하면 적어도 마음 편하게 먹고는 살 수 있을까요...ㅠㅠ 먹고 살만큼만 있으면 되는데... 이제 대리 달았는데 너무 무능력해서 자괴감 드네요 배수의 진을 쳐야할까요 그래도 포기하지 말고 일해야 할까요 도와주세요
둠바둠바
23년 05월 15일
조회수
921
좋아요
3
댓글
3
상품 기획이나 소싱에서 보고싶은 데이터는?
안녕하세요! 현재 아이템 트렌드 인사이트 관련한 프로덕트를 제작하는 신입 기획자 입니다. 아이템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타겟 유저가 되어본적이 없어서인지 실제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발굴하는데에 어려움이 많아, 리멤버 유저분들의 의견을 여쭙고자합니다! MD경험이나 아이템 소싱(개인적인 스마트스토어도요!) 있으신 선배님들, 아이템 기획을 하실때 보통 어떤 사이트(물론 도메인마다 천차만별이겠지만 개인적인 경험도 좋습니다.)를 많이 참고하시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확인하고 싶은 데이터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혹은 사용하지 않아 본 정보 중 '이런 정보는 내가 이렇게 쓸 수 있을텐데' 하는 경험이 있으시다면 공유해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매마
23년 05월 15일
조회수
544
좋아요
0
댓글
5
퇴사 전 상사와의 식사자리를 꼭 잡아야할까요??
이번에 퇴사를 결정하면서 마무리하는 중인데 다른 분께 직장 상사와 점심을 하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상사분 당사자도 아니고.. 왜 다른 분을 통해서 식사 인비를 그 상사분과 잡아야하는지 참 이해가 안가는 상황이네요. 그 말씀을 해주신분은 그 상사분의 직후배입니다... 퇴사 사유의 70-80%가 상사분의 업무 역량으로 인한 스트레스였고, 1on1을 신청해서 조금 단호하게 그 부분에 대해서 강조를 했었습니다. 그 시점 이후로 저를 어려워하시는게 느껴집니다. 오히려 저를 회사에 배제하려는 느낌이 더 강하더라구요. 제가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알려달라! 의도가 뭐냐! 이런 느낌으로 전달 내용에 댓글을 달 때마다 이유가 있으니 시키는대로 해라.... 너가 그러니 너랑 같이 일하는 구성원도 그러지않냐. 라고 하시네요. 딱 거기서 퇴사를 바로 결심했습니다... 두서가 없었는데, 이 자리를 제가 인비를 해야할까요?? 사실 인비를 받아도 제가 거절하고 싶은데... 인비를 하라고 다른 분께 이야기를 들었던거라, 의도가 그냥 본인은 할 일 하고있다라는 느낌밖에 안들어서 너무 괘씸합니다...
술품
23년 05월 15일
조회수
10,416
좋아요
20
댓글
57
웹디 약2년 ui/ux디자인 9개월 경력 괜찮을까요ㅠㅠ
이번에 회사에서 임금체불등의 문제로 퇴사하게됐습니다… 그래서 경력이 엉망이 되어 버렸는데 다음회사에서 경력인정을 해줄까요..? 이 상황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노는게제일좋아1
23년 05월 15일
조회수
667
좋아요
0
댓글
6
새내기 기자 스트레스..
아직 0년차, 지역의 방송 기자입니다. 연고 없는 지역이라 아직도 지리에 익숙하지 않네요. 그 와중에 리포트는 막아야 하고... 리포트 발제는 떠오르지 않네요. 성격이 무심해서 취재원들이랑 친해지는 법도 잘모르겠구요. 보도자료 들어오는 건 구청 정도인데 별로 영양가도 없어요. 그 와중에 영상 구하고 오디오 읽고 편집하는 거까지 신경쓸 게 많아서 항상 진이 빠집니다. 신입시절 다들 어떻게 이겨내셨는지 궁금합니다.
티비가싫어요
23년 05월 15일
조회수
1,675
좋아요
7
댓글
14
설립 3년 안에 국내 500대 기업 되는 거 가능?
'씨피엘비'라는 낯선 회사가 설립한지 3년도 안되어 매출액 기준 국내 500대 기업에 진입했다. 작년 매출액 무려 1.36조 원, 영업이익 723억 원을 기록한 이곳의 정체는 👉 쿠팡의 PB를 전담하는 쿠팡의 자회사. 쿠팡을 쓴다면 매우 친숙할 '곰곰', '탐사', '코멧', '캐럿' 등을 여기서 만들었다. 쿠팡에서 안정적인 매출이 나오는 카테고리에 ​29개 브랜드를​ 런칭했고, 모 회사인 쿠팡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중. 작년 이마트의 PB 매출이 2조 원 조금 넘는다. (노브랜드 1.27조 원, 피코크 4200억 원 등) 만약 올해 이마트가 새로운 멤버십(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런칭으로 추세를 전환하지 못한다면 내년엔 국내 최대 PB 순위가 바뀔 것 같다. 물론 쿠팡의 PB 사업에도 리스크가 존재. 미국 아마존의 경우 ​의도적으로 PB를 우선 노출하는 행위를 금지 당했고(법안 발의), 유럽에선 일반 판매자의 데이터를 PB 판매에 활용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쿠팡도 시장 점유율이 상승할수록 규제•​감시에 대한 목소리가 커질 수 있는 것. 참고로... 1️⃣ 씨피엘비를 이끌어온 초대 대표는 ​아마존에서 PB사업을 담당했던 사람으로 최근 사임. 2️⃣ 노브랜드는 해외진출에 적극적. 필리핀에 17개 점포 운영 중이며 베트남•몽골도 진출 예정.​ 3️⃣ 편의점 PB들도 두 자릿수 성장 중 (GS25 29%↑, 세븐일레븐 25%↑, CU 16%↑​). 4️⃣ 편의점은 IP를 잘 활용한 케이스가 눈에 띔. CU의 '연세우유 생크림빵'은 2500만 개 판매. 5️⃣ PB는 아니지만 GS25는 '원소주' 독점 공급으로 300억 원 이상 매출. #쿠팡이영업이익을내는데PB가한몫했음 #신세계유니버스클럽은기대감이높지않다
정영준 | 그레이웨일
23년 05월 15일
조회수
1,387
좋아요
9
댓글
3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