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200 재돌파, KOSPI ETF 어디 담을까?
최근 몇 주간 주춤하던 코스피가 어제(9월 4일 기준) 다시 3,200선을 돌파했습니다.
올해에만 약 30% 가까이 상승한 만큼,
앞으로도 이 상승세가 이어질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향후 코스피 상승세는 국내외 정세에 따라 크게 달라질 전망입니다.
코스피 투자를 고려 중이시거나, 더 담아볼까 고민 중이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코스피 변동성 요인과 KOSPI 200 ETF를 비교해보았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KOSPI 변동성에 영향을 줄 이슈
먼저, 단기적으로 코스피 흐름을 좌우할 주요 변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2. 자사주 소각 의무화 상법 개정
- 기존 법안: 자사주 소각은 기업의 자율
- 예상 개정안: 원칙적으로 소각하도록 제도화 → 주주 이익에 직접 기여
- 기보유 자사주 소각에 대한 유예 기간이 길면 시장 실망 요인, 짧으면 주주가치 기대감으로 긍정 작용
3. 배당소득 분리과세 법안 통과 여부
- 기존 법안: 배당소득 원천징수 15.4% , 이자 및 배당 합산 2,000만원 초과 시 종합소득에 합산
- 예상 개정안: 배당성향 요건 충족 시 분리과세, 최고세율 25~35%
- 35% 확정 시 실망 요인, 30% 이하로 결정 시 긍정 요인
→ 최근 코스피가 횡보세를 보이고 있지만, 위와 같은 정치 및 제도적 요인이 단기 변동성을 크게 흔들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KOSPI 200 ETF 기본 비교
코스피 상승세에 올라탈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 투자자에게 가장 접금하기 좋은 방식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 투자입니다.
그 중 대표적인 상품인 KOSPI 200 ETF의 기본 스펙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현재 상장 KOSPI 200 ETF는 총 14개입니다.
- 상장 순: KOSPI 200은 2002년 10월 시작되어, KODEX 200과 KIWOOM 200이 가장 먼저 상장
- 운용규모: KODEX 200 1위(70,209억) > TIGER 200 2위(29,769억) > RISE 200 3위(15,572억)
- 거래대금 역시 운용규모와 순위가 같음
- 총보수: ACE 200 최저(0.017%), TREX 200 최고(0.325%)
- TER(총비용비율, Total Expense Ratio): 0.04% ~ 0.34%
→같은 지수를 추종하더라도, 규모·보수·비용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투자 전 꼼꼼한 비교가 필요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KOSPI 200 ETF 성과 비교
그렇다면 실제 성과는 어땠을까요?
KOSPI 200 ETF 중 시가총액 1000억 원 이상 7개 ETF의 데이터를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성과는 어땠을까? (2025년 1월 ~ 7월)
- 연초 대비 수익률은 대부분 +37% 대 수익 중
- 분석 대상 중 연초대비 수익률이 가장 높은 ETF와 낮은 ETF의 성과는 약 0.6%P 차이
- 연초대비 수익률은 TIGER 200가 1위(38.064%), RISE 200이 2위(38.040%)
- TIGER 200은 RISE 200보다 보수가 높지만, 수익도 높았음
📌작년 성과는 어땠을까? (2024년)
- 작년에는 대부분 KOSPI ETF가 -9% 대 손실
- 가장 수익률 좋은 ETF와 낮은 ETF는 약 0.5%P 차이
- PLUS 200가 1위 (-9.165%) > HANARO 200이 2위 (-9.197%)
- 올해 1위인 TIGER는 작년에는 6위(-9.542%)를 기록
📌평균 및 누적 성과는 어땠을까? (2019~2025년)
- 매년 성과 순위는 달라짐.
- 2019년~2025년 순위 평균을 냈을 때 TIGER가 1위, 다음이 PLUS, HANARO 순
- 누적 수익률을 보면 PLUS가 1위(연 10.34%)고 TIGER가 2위(연 10.29%)
→ 해마다 순위가 바뀌는 만큼, 단기 성과만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성과와 ETF 운용사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ETF 어떤 관점에서 골라야 할까?
마지막으로 투자자 입장에서 ETF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 투자 목적 파악: 기간(단기, 장기)과 계좌 성격(절세, 연금 등) 등 투자 목적에 따라 선택
- 규모와 거래량: 운용 규모가 크고, 거래량이 많을 수록 유리. 단, 무조건은 아님.
- 보수: 보수가 낮을 수록 유리. 이땐 총보수 뿐만 아니라 TER(총비용비율)등도 함께 확인 필요.
- 운용사: 안정성과 신뢰가 높은 운용사인지 검토 필요
→ 즉, 같은 지수를 추종하더라도 ETF 선택은 투자자의 목적과 조건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여러분은 코스피 ETF 투자 시 성과를 우선 보시나요,
아니면 보수·규모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시면 서로의 투자 기준을 비교해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본 콘텐츠는 리멤버x든든의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