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9월 5일] 안녕하세요?^^ 경제지표와 금융시장 톺아보기 공유해 드립니다.
[25년 9월 5일] 안녕하세요?^^ 경제지표와 금융시장 톺아보기 공유해 드립니다.
US 3M Yield, Fed Draining Reserve Balnace, US Manufacturing PMI in Agust, New Export Orders, New Orders, Production, DXY, Cash Assets in Commercial Banks, SP500, TGA Balance, Reverse RP_250905
▲ US 3M Yield 단기국채금리가 최근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 및 경기 둔화 심리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 증가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 동시에 연준 지급준비금이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상업은행 내 현금성자산 및 예금부채/수신잔액 감소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이는 현재 미 재무부의 TGA 잔고 Refill 정책에 의해 시장의 달러 유동성을 흡수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고, 9월 중 달러 상승 요인이기도 합니다.
▲ 8월 US Manufaturing(제조업) PMI는 48.7로 전달(7월) 48 대비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 고용(Employment, 7월 43.4 → 8월 43.8, +0.4%p) 부분은 50미만인 위축 국면을 계속 지속하고 있고, 수입(Imports, 7월 47.6 → 8월 46, -1.6%p)도 전달 대비 감소, 50미만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관세 영향으로 수입 자체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신규 주문(New Orders, 7월 47.1 → 8월 51.4, +4.3%p) 및 신규 수출/해외 주문(New Export Orders, 7월 46.1 → 8월 47.6, +1.5%p) 부문은 7월 대비 8월에 증가하였지만, 생산(Production, 7월 51.4 → 8월 47.8, -3.6%p)은 감소하였습니다.
▲ 이는 신규 주문(수요)이 증가하여도, 수입 관세 인상으로 기업은 생산을 늘린다고 해도 이익/마진이 제한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생산량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올해부터 지난 8월까지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서, 미국의 수출 가격 경쟁력(미국 제품이 해외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해짐)이 높아짐에 따라, 신규 수출/해외 주문(New Export Orders) 및 신규 주문(New Orders)이 상승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 현재 연준 지급준비금 잔고뿐만이 아닌, 상업은행 내 현금성자산 잔고도 함께 감소하고 있습니다.
▲ 과거 21.12.15~22.5.4 기간동안 TGA 잔고가 Refill 되었을 때에는, 연준 지급준비금 잔고 및 상업은행 내 현금성자산 잔고가 함께 하락하였고, 동시에 역레포 잔고도 증가(유동성 흡수)하였습니다. 미국 증시는 비교적 큰 하락세를 나타냈고, 달러도 비교적 큰 상승세를 나타냈었습니다.
▲ 과거 22.5.24~23.10.25 기간동안 TGA 잔고가 Refill 되었을 때에는, 연준 지급준비금 잔고가 소폭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상업은행 내 현금성자산 잔고는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동시에 역레포 잔고는 하락(유동성 방출)하였습니다. 미국 증시는 비교적 약한 하락세와 달러 강세가 출현되었습니다.
▲ 과거 두 개의 TGA Refill 기간을 비교했을 때, 역레포 잔고가 하락(유동성 방출)하는 기간이냐, 역레포 잔고가 상승(유동성 흡수)하는 기간이냐에 따라 TGA Refill에 따른 상업은행 내 현금성자산 잔고 및 미국 증시의 민감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5년 7월부터 TGA Refill이 진행중이며, 9월말까지 850 Billion을 채우는 것이 미 재무부의 목표입니다.
▲ 9월은 법인세 납부기간으로서, 상업은행 내 현금성자산 잔고의 하락 요인입니다.
▲ 한편, 역레포 잔고는 역사적으로 현재 바닥 수준입니다.
▲ 9월 TGA Refill 기간 중에 미 재무부로 시중의 달러 흡수가 지속될 경우, 달러 강세가 출현될 수 있고, 미국 증시는 소폭 하락 및 조정 국면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MMF가 보유한 역레포담보국채자산도 역사적 저점으로서, TGA Refill을 위해 발행된 단기 국채를, 현재 MMF가 역레포담보국채자산을 반납하고, 회수한 현금으로 국채를 매수할 여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 이에 TGA Refill을 위해 발행된 단기 국채의 주된 매수 세력은 상업은행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채 매수로 인한 은행 내 현금성자산의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또한, 기업은 MMF를 통해 역레포담보국채자산을 반납하고, 회수한 현금으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아닌, 은행에 맡겨 놓은 예금을 통해 9월 법인세를 납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는 9월에 상업은행 내 현금성자산 감소 및 투자대출 여력 감소로 인한 미국 증시의 하락 요인이며, 시중 달러 유동성 감소로 인한 달러 강세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
하단의 글을 클릭하시면 자세히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투자와 경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linkedin.com/pulse/%EA%B2%BD%EC%A0%9C%EC%A7%80%ED%91%9C%EC%99%80-%EA%B8%88%EC%9C%B5%EC%8B%9C%EC%9E%A5-%ED%86%BA%EC%95%84%EB%B3%B4%EA%B8%B0review-global-economic-factors-financial-%EC%84%B1%EB%AF%BC-%EA%B9%80-vmqcc/?trackingId=MclZORbiUgOq6IfC3HaKOw%3D%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