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회사 내에서 카풀 이용하시는 분 계세요?
저희 회사에서 사내차량으로 카풀 이용하면 좋지않을까? 의견 수렴중인데.. 혹시 회사 내에서 카풀 이용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어떻게 운영하고 계세요..??
mercy
21년 03월 04일
조회수
347
좋아요
1
댓글
2
분야별 업체 목록 있을까요..? 외주업체 어떻게 찾으세요?
국내에서 업무를 해줄 곳을 찾고 있습니다. 대부분 인맥에 인맥으로 찾고 있는데요.. 뭔가 Yellow Page 같은 목록이 있다면 좋겠는데, 찾기 애매하네요. 잡코리아 같은 곳에서 역으로 회사이름을 찾아서, 업무를 맡아줄만한 곳을 찾는데.. 여러분은 외주업체를 어떻게 찾으시나요?
SungChan
억대연봉
21년 03월 04일
조회수
351
좋아요
1
댓글
3
출퇴근시 대퇴부 운동
출퇴근시 버스 또는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급출발, 급정거를 경험하게 되는데... 손잡이를 잡는척하고는 잡지 않습니다 (살짝 걸치는 정도) 그리곤, 다리를 든든하게 받히고서 무게중심을 옮기는 식으로 왔다갔다하면.. 남들이 보기엔 평범하게 손잡이를 잡고있는 것인데, 대퇴부 운동을 확실히 할 수 있습니다. ^^
SungChan
억대연봉
21년 03월 04일
조회수
268
좋아요
1
댓글
2
아침 운동하기
요즘 직장인들은 운동할 시간이 없다고 합니다. 운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회사 출근을 1시간만 일찍하는 겁니다. 회사에 가서 운동을 하면 됩니다. 저는 출근해서 1시간 정도 걷습니다. 회사 주변 골목길을 걷다보면 주변에 보이지 않았던 것도 알게되고 좋습니다.
물류창업대부
21년 03월 04일
조회수
212
좋아요
1
댓글
0
비상장 주식
벤처기업 주식인데.. 비상장 시장에서도 안 보이는 주식을 매매할 방법이 있을까요?
하웅
21년 03월 04일
조회수
629
좋아요
2
댓글
3
중국현지 자회사 양수도시 세금
중국현지자회사를 국내 관계사로 매각 했더니, 중국세무당국에서 현지 자회사에게 세금을 부과 했습니다. 현지자회사는 주주가 바뀌었을 뿐인데 세금이 부과되어서 황당한 상황입니다. 그동안 소득에 대한 세금이라고 하는데, 매년 중국에서 법인세를 납부하고 있었는데요. 혹시 경험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라비안나이트
21년 03월 04일
조회수
374
좋아요
1
댓글
2
[1일차 도전]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란거 잊지 말기
아무리 프로페셔널이라도 인간은 생각보다도 더 감정에 잘 휘둘립니다. 가끔 '프로다움'으로 포장하여 상대의 기분을 생각하지 않는 언행을 하는 사람들을 보는데, 이런 사고는 갈수록 (요즘 시대에는 더더욱)폐해를 부른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오히려 요즘은 상사나 대표는 감정에 무디다고 생각해 부하직원이 윗사람을 막대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은데요, 프로든 아마추어든 젊든 나이들었든 감정은 꼭 서로가 케어해줘야하는 요소란 걸 알아야합니다. 일에 감정을 섞으라거나 일보다 먼저 상대의 기분을 생각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일을 잘 하기 위해 직설적으로 말할 수 있어야 하지만 그 또한 상호감 신뢰, 즉 탄탄한 감정적 토대로부터 비롯된다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둡둡
억대연봉
21년 03월 04일
조회수
188
좋아요
3
댓글
0
사원에서 주임(대리) 진급 시 얼마 오르나요?
사원에서 주임(대리)진급 시 얼마 오르셨나요?
폴리싱
21년 03월 04일
조회수
3,505
좋아요
0
댓글
5
상업시설이 언제쯤 살아날까요?
하소연 겸 전망이 어떨지 다른분들 생각이 궁금합니다. 요새 속초시, 전라도 광주시, 수도권 주상복합아파트를 검토를 계속하는데 결국 시행사의 마진은 상업시설로 귀결되더군요. 예를들어, 사업마진이 백억남는 다고 가정하면 상업시설이 80-90억을 차지하니 이거 원 감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코로나 시국이라 더욱더 출발을 시켜야될지 생각이 많아집니다. 백신보급이 하반기까지 다 되면 좀 살아날까요? ㅎ 시행사분 포함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율이아빠
21년 03월 04일
조회수
321
좋아요
3
댓글
3
계약직 차별처우
근로기준법상 동일직무에 대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을 금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계약직부장으로 팀장업무를 1년간 수행했는데 다른 정규직 팀장과의 급여차이 및 복리후생 명절상여 등에서 차별을 받았다면 회사를 상대로 소급하여 차별받은 금액을 청구할 수 있는지요? 노무사분들 계시면 답글좀 부탁드립니다.
푸하하ggggg
억대연봉
21년 03월 04일
조회수
318
좋아요
0
댓글
1
명함 외부 직급
저희는 사내 직급이 따로 없습니다.(팀리더만 있음) 그러다 보니 영업이나 사업쪽은 명함 만들 때 외부 직급을 임의로 만들어 넣고 있는데요, 규모가 작기도 해서 사업기획 쪽에 작년에 처음 한 분이 들어오셨는데 어느정도 연차가 있으셔서 명함에는 팀장으로 넣었습니다. 그리고 얼마전에 비슷한 연차의 사업기획 한 분이 또 들어오셨는데 이분 명함에 어떻게 기재해야 할지 고민이네요....ㅜㅜ 편하게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숨7
21년 03월 04일
조회수
519
좋아요
0
댓글
2
사내 강의 효과 있을까요?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건 아니고, 마케팅팀 대상으로 마케터를 위한 데이터 분석 강의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인 SQL이나 엑셀 활용법 정도를 전수하려고 해요. 저도 막 전문가 수준은 아닌데, 효과 있을까요? 뭣보다 윗선에서 시켜서 하는거라, 마케팅팀분들이 이에 대한 니즈를 정말 느끼실지, 그래서 잘 따라오실지 걱정되네요 강의 커리큘럼 짜는것도 너무 낯설고요. 경험자 있으시면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어요~ :)
dataex
21년 03월 04일
조회수
306
좋아요
2
댓글
2
대표 선출제 현실성 있나요?
물론 컨텐츠일 뿐이지만, 어제 워크맨에 대학내일의 사례가 나왔습니다. 썸네일의 제목이기도 하지만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대표를 3년마다 선출한다는 건데요 아직까지 대학내일은 지금 대표님이 실패하신적은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허울뿐인 제도는 아니라고 생각되는 것은 아래 영상에서 보실 수 있는 이 회사의 분위기인데요 이런 분위기라면 대표 선출제 자체가 그리 말도 안되는 얘기는 아니다.. 라는 생각도 들고요 허나 이 제도를 우리 회사에 가져온다고 상상하면 현실적으로 말도 안된다는 기분이 드네요 레거시도 있고, 그렇게 주기적으로 경영 철학과 분위기가 확 바뀔수 있다고 상상해보면... 여러분의 회사는 어떠세요? 이런 젊은 분위기를 갖고 있다면, 진짜로 선출제를 통해 CEO가 종종 바뀌어도, 그게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https://youtu.be/h0tg0iKA7NI
베틀네트
21년 03월 04일
조회수
1,210
좋아요
6
댓글
10
리더가 되기위해 준비해야할 것
AI 분야에서 한 팀을 이끌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역량이나 팀원들의 동기부여나 존중 이런 제너럴한 것 말고, 이 분야라서 필요한 역량을 생각하시는 게 있다면요.
ㄷㅇㅌ
21년 03월 04일
조회수
178
좋아요
0
댓글
2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