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대학원은 가야하는건가요?
개인 커리어를 위해선 대학원이 필요할까에 대해서 너무 고민이됩니다 지금 30 대 중반이고 간단히 저의 커리어랑 경력을 말씀드리자면 군대-> 부사관 10 년 -> 직업학교3년 -> 공공기관계약직 근무중 이고 고등학교 졸업후에 군대에서 10 년있다가 전역하고 운좋게 취업하여 일은 계속하고있고 대학은 사이버대학으로 4학년입니다 지금 ! 대학이 마무리되고 대학원을 가야하는게 맞는건가에 대해 계속된 고민을 하고있는데 다른분들은 어떠한지 너무궁금합니다 !
으앙주금
22년 09월 29일
조회수
1,485
좋아요
3
댓글
17
안전보건 회의 하다가....
인천에서 물류창고를 운영하면서 도급업체를 채용하게되어 분기마감할려고 안전보건 회의 겸 합동점검을 하는데 솔직히 도급업체가 완전 똥입니다 회의하다 말구 말투 맘에 안든다구 나가버리네여 ㅡ.ㅡ 나이두 다덩 50넘으신 분들이신데 회의하다말구 나가버리는 어이엄는.... 도대체 회사 생활을 어떻게 해왔는지두 의문이 가는 부분이네여
헬리곱터
22년 09월 29일
조회수
406
좋아요
0
댓글
0
졸업증명서가 아닌가요 요센?
전엔 분명 졸업증명서를 뽑을수 있었던것 같은데..... 학위수여증명서 밖에 없네요?.... 석사 졸업했는데 이게 무슨일일까요? 학위 수여 증명서랑 졸업증명서랑 같다고 생각해야할까요?
그럴거면하지마
은 따봉
22년 09월 29일
조회수
937
좋아요
4
댓글
5
비즈니스 룸 식당/술집 추천해주실만한 곳 있을까요?
중요 클라이언트와 함께 내방예중인데 강남역 기점으로 금액대 상관없이 예약가능한 룸으로 된 괜찮은 식당과 술집(와인or위스키) 경험이 괜찮으셨던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
dayne
22년 09월 29일
조회수
751
좋아요
2
댓글
0
[질문]보고 및 일정지연 문제 해결방안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보고서작성이나 일정지연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들이 잘 지켜지지않아 이에대한 대책을 마련중에 있습니다. 보고나 일정지연같은 것은 기본이면서도 제대로 하지못하면 회사와결별할정도로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하는데요. 생각만큼 그 중요성이 구성원들에게 전파되고있지 않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 잘안지키는분들께는 위험할수있다는 신호를 드리고 싶은데 다른 회사는 어떤식으로 이러한 메시지를 공유하는지 궁금합니다.(대표나 팀장이 깐다는 개인단위 말고 조직적인 단위에서요) 교육만 제공하면 이것을 잘지키는게 회사에서 중요하다는 신호를 충분히캐치하지못할것 같아 고민이많네요 ㅠ
아이닉스
22년 09월 29일
조회수
551
좋아요
3
댓글
2
편집디자인 6년차 연봉 어느정도 받아야 할까요?
한 회사에 6년 다니며 기업 소개 및 제품 카달로그/브로슈어/리플렛/포스터 등 인쇄물 편집 디자인을 대부분 했습니다. 간간히 로고나 패키지 디자인도 함께 했습니다. 대졸 / 6년차 / 직급 대리 회사 인원 5인 이하 에이전시 재직 중 편집디자인 6년차면 연봉 어느정도 받아야 할까요? 곧 연봉협상인데 이직을 해야할지 연봉은 어느정도로 생각하면 될지 고민스러워요..
장인
22년 09월 29일
조회수
2,036
좋아요
1
댓글
7
최종면접 보고 합격결과
2차 면접이 끝나고 일주일에서 2주 뒤에 결과 나온다고 했거든요. 오늘이 딱 일주일째고.. 최대 2주가 걸린다고 했으니 다음주 목요일까지 기다려야하는데 .. 기다리기가 너무 힘든네요ㅠㅠ 그리고 합격결과가 2주씩이나 걸린다는 건 다른 분들과 (면접 일정 잡혀있는 사람 포함) 비교하고 뽑는다는 의미겠죠......ㅎ 나름 열심히 준비했던 곳이라 떨어지면 타격이 클거 같고... 솔직히 큰 기대는 안하고 있지만... 진짜 느낌상 합격확률이 반반이여서 희망 고문 당하는 느낌이에요.. 떨어지면 또 다시 이력서 넣고 면접보고 이래야 하는데...ㅎ 기운 빠질 것 같아요. 취직도 쉽지 않지만 이직도 쉽지 않네요...ㅠ 최종합격 후 갈 곳 고르는시는 분들 많으시던데 그저 부럽습니다. ㅠㅠ
프로통근러rr
22년 09월 29일
조회수
1,907
좋아요
2
댓글
4
투표 딜을 해야 하나요?
S전자 쪽 건설PM 기본연봉 8천5백 정도에.. 작년 원천 실수령 1.08억..(PS때문인듯) 1군 시공으로 차장급 연봉 1.3억 오퍼 받았는데..(해외 영어권(손,황선수 직관가능국ㅋ), 식대 등 생활비제외) 지금 회사,근무여건이 좋은데.. 보통 이때 인사쪽하고 Deal한번하시나요? 보통 어떠신지?
고민러11
억대연봉
22년 09월 29일
조회수
1,611
좋아요
1
댓글
9
패드립을 하는 직장상사
안녕하세요. 저는 중소기업을 1년째 다니고 있는 20대 초반 입니당. 일단 저의 이야기는 아닌 친구의 이야기 입니다.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는 6명으로 규모가 작은 회사입니다. 소장님, 실장님, 차장님, 선배, 동료 이렇게 있습니다. 여기서 실장님이 말을 좀 막 하십니다. 사람은 착하긴 한거 같은데.. 생각이 없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회사사람들이 일에 지쳐갈 오후가 될쯤 "아~ 일하기 싫다!" 라고 동료가 말했습니다. 이 말은 차장님도 하고 실장님도 하고 모두가 습관적으로 말하기 때문에 별거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가 저의 동료가 담배를 피러 나갈때 사건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제부터는 대화식으로 서술하겠습니다. 실장 : "쟤는 왜 저렇게 일을 하기 싫어할까?" 선배 : "ㅇㅇ씨 집에는 돈이 많잖아요~ 그래서 그런거 아닌가요 ? (매일 말하는 장난) 실장 : 아 그래서 그런가 ? 반찬가게 물려받으면 되겠다. 나 : 어머니 반찬가게 폐업하셨어요. 실장 : 아 어머니 폐업하셨어 ? 일하기 싫은건 유전인가 ? 나 : ㅇㅇ 어머니 허리 디스크로 수술하셔서 폐업하신거에요 실장 : 아~ 몰랐네 이거 말하지마! 실수야 실수! 이게 문제의 내용입니다. 저의 동료는 저의 절친한 동네 친구고 10년째 친분을 이어오고 있는 관계입니다. 친구가 어머니를 얼마나 아끼는지 알아 말을 안하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친구가 들어오자마자 그 실장이라는 작자가 "야..야.. 들어왔다 쉿.. 다같이 쉿하는거야 ? " 이렇게 눈치 없이 말하는겁니다. 결국 친구가 같이 집가는 내내 "무슨 이야기야 ? 뭐야 ?" 계속 물어보는 바람에 저 단어까지는 아니지만 순화해서 말했습니다. 친구는 화를 엄청 냈습니다. 저도 이해가 매우 갑니다. 근데 실장이랑 차장이라는 사람은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하기 때문에 사과까지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거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친구와 제가 베베 꼬인건가요 ?
배고픈카피바라
22년 09월 29일
조회수
2,545
좋아요
1
댓글
13
투표 연봉 천만원 상승 시 이직?
이직 시 희망하는 연봉이 궁금합니다. 천만원 정도면 무조건 이직일까요?
찾지마 호랑이
22년 09월 28일
조회수
1,496
좋아요
0
댓글
0
이직 고민입니다. 여러분들의 소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현재 6년차 직장인입니다. 최근 이직 제의가 들어와 몹시 고민입니다. 고민인즉슨 현재 회사 : *출퇴근 시간 30~40분 *좋은 직장 동료와 유연하고 자유로운 사내문화 *나쁘지 않은 연봉과 복지 혜택 이직 고민 회사 : *출퇴근 시간 1시간 30분 이내 *지금보다 700만원 이상의 연봉 제시 추가 협의도 가능(스톡옵션 등) *대기업 계열사로 굉장한 복지혜택과 커리어 상승의 기회 지금도 만족하며 회사를 다니고 있는데 좋은 기회가 들어와 고민의 연속이라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무래도 출퇴근 시간과 연봉, 그리고 이직 후의 적응이 가장 큰 고민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구9
22년 09월 28일
조회수
5,482
좋아요
20
댓글
70
이직시 희망연봉은 생각보다 더 높게 적어야 하나요??
현재 연봉 4300 이직시 원하는 연봉 4800 그런데 다들 희망연봉 적을때는 본인이 원하는것보다 높게 적는거라는데 정말일까요? 그럼 5000 이렇게 적어야할까요? 그런데 5는 앞자리도 바뀌고 또 48은 줄수도 있는데 50은 생각 안할수도 았지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4800 / 5000 오퍼들어와서 이력서 낼때 어떻게 적어야 할까요??
하하ㅎ
22년 09월 28일
조회수
1,664
좋아요
1
댓글
3
이직자 연봉인상률 반영 여부
4월 일괄 연봉 인상이 진행될때 3월 입사자는 해당이 될까요?? LG쪽 계열사 아시는분이나 경험이 있으신분 말씀 부탁드립니다!
ghkdlfld
22년 09월 28일
조회수
792
좋아요
0
댓글
3
보상휴가 관해서
회사에서 연장근로 27시간과 관련해서 보상휴가로 준다고 하는데 급여로 받게될 경우 1.5배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저한테 4일 휴가로 주겠다는데 27시간 X 1.5= 40.5시간으로 계산해서 5일 정도를 휴가로 주는게 맞지않나요??
보상휴기
22년 09월 28일
조회수
1,181
좋아요
2
댓글
16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