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차라리 몸 불편한 쪽을 택할 것
선택의 순간엔...! 지금 보다 직급이 낮았던 때, 해외 출장지에서의 주말이었다. 업무 협의 차 모인 임원 분들이 잠시 짬을 내어 짧은 코스로 골프를 즐겼다. 그리고 이어진 저녁 식사. 식사가 끝나고 결제를 하려는데 의견이 반반으로 갈렸다. 한 임원분이 오늘은 주말이지만 업무 시간이 더 길었고, 잠시 골프를 즐긴 것이니 회사 비용으로 처리를 하자고 하셨다. 다른 한 분은 그러지 말고 그냥 개인 비용으로 처리를 하자고 하셨다. 개인 비용을 제안하신 분이 가장 연장자였으므로, 비용 방법은 자연스럽게 개인 비용으로 이루어졌다. 마침, 그분을 공항으로 모셔다 드리게 되었는데, 차 안에서 나지막한 조언을 듣게 되었다. "자네, 아까 그런 경우에서는 말이야. 몸이 불편하냐, 마음이 불편하냐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봐. 마음이 불편한 일은 피해야 해. 차라리 몸 불편한 게 낫다고." 살다가 보면, 깨달음이 전광석화와 같이 올 때가 있다. 그분은 '말이야...'란 어법을 쓰셨음에도 나는 토씨 하나 남기지 않고 그 조언을 마음에 새겼다. 바로 얼마 전에도 비용처리를 어떻게 할까 판단하기 애매한 경우가 있었는데, 그 순간에 들었던 불편한 마음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각보다 직장에선 업무적인 일이든 아니든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는 경우가 많다. 마음 불편한 것 보다, 몸 불편한 쪽을 택하는게 백 번 천 번 낫다! 요즘은 회식이 많이 줄었지만, 직장인을 힘들게 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회식 문화다. 원하지 않는데 끝까지 가야 하는 2차, 3차는 곤욕이기 때문이다. 곤욕이란 이야기는 억지로 간단 뜻이며, 억지로 간단 이야기는 모든 상황을 무시하고 혼자만 그곳을 빠져나오기가 뭐 하다는 것이다. '뭐 하다는 것'에 대해 풀이를 해보면, 그것은 결국 '불편한 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회식에 가기 싫어 거짓말을 하거나, 없던 약속을 잡는 경우. 당장 몸은 편할 수 있겠지만, 나 없이 진행되는 회식 시간 내내 마음은 불편할 것이다. 혹시, 오늘 안 가서 불이익이 있는 건 아닐까? 갈 걸 그랬나? 나만 빠지니까 좀 그런가? 다음 날, 삼삼오오 해장한다며 뭐라도 마시러 가면 왠지 소외되는 느낌을 가질 수도 있겠다. 그러니 사람들은 회식에 대해 궁시렁 거리면서도 끝까지 남아 있는 것이다. 이런 마음이 들 바엔, 차라리 회식을 가는 게 훨씬 더 낫다. 아니면 정말 진지하게, 마음 불편해하지 않던가. 이런 경우도 있다. 당장 나 편하자고 내가 해야 할 일도 하지 않거나 회피하는 것. 당장 편한 몸 이후에 오는 후폭풍은 각자의 몫이다. 팀원이나 유관부서 사람들의 태도가 달라질 것이고, 나에 대한 평가는 말하지 않아도 좋지 않은 쪽으로 변질될 우려가 높다. (물론, 이렇게 해놓고도 마음 불편해하지 않는 강심장인 사람들도 있긴 한데, 이 글은 그런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요는, 차라리 몸 불편한 걸 택하자는 생각을 따르면, 나중에 이르러 마음이 편해진다는 걸 알게 된다는 것이다. '아무도 모르는데 오타나 잘못 작성된 표를 그냥 놔둘까? 나중에 들키면 어떡하지?' 추천: 마음 불편할 거면 귀찮아도 바꾸는 게 맞다. '이 정도는 법인 카드로 구매해도 되겠지? 근데, 나중에 혹시라도 진단에 문제 되면 어쩌지?' 추천: 마음 불편해할 거면 속 시원히 그냥 내 돈으로 산다. '환송해야 할 사람이 있는데, 나 하나 안 간다고 해도 괜찮겠지? 좀 그런가?' 추천: 가서 얼굴이라도 비춘다. 오히려 새롭게 알게 되는 사람이 생길 수도 있다. '아, 저 일 받으면 귀찮은데, 팀원들에겐 좀 그렇지만 팀장님에게 빼 달라고 할까?' 추천: 그냥 내가 한다고 한다. 그렇다고 일이 안 오는 것도 아니고, 팀장도 삐딱하게 볼 가능성이 높고 팀원들도 알게 되면 그 선택은 자충수가 된다. (차라리 가만있거나.) '상사에게 질문을 받았는데, 대충 둘러댈까? 그러다 나중에 사실이 아닌 걸 알게 되면?' 추천: 솔직하게 모른다고 한다. 내내 불편한 마음보다 푸닥거리 한 번 하는 게 낫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그리고 선택은 '순간'이다. '순간'의 선택이 나의 많은 것들을 좌우한다. 그러니, 생각할 겨를도 없이 선택을 해야 할 때가 있다면 자신만의 기준이 있어야 한다. 그 기준은 오랜 경험에서 나오고, 몸소 느껴보면서 그 기준을 강화하게 된다. 미리 알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그 기준을 다시 한번 더 한 문장으로 요약하며 글을 마친다. "선택의 순간엔 마음 편한 쪽으로...!"
스테르담
23년 05월 04일
조회수
1,279
좋아요
23
댓글
3
30대후반 40대초반 연봉
영업직/경력 대략 10년/중소기업 40살되면서 5400정도 법카는 따로 없고 업무 중 사용한 비용은 실비 실적에 따라 보너스, 보통 1년치 합하면 1000-1500사이 이직 경험 1회라 이 정도면 보통인건지 감이 안오네요.. 30대후반 40대초반 보통 연봉들이 얼마나 되시나요?
우와머찌다앙
23년 05월 04일
조회수
2,791
좋아요
1
댓글
6
같은 팀 내 비밀연애가 거슬려요
제목 그대로입니다 팀 내 같은 직급인 사원과 팀장이 비밀연애를 하는 것 같습니다. 어쩌다 채팅창을 봤는데 입술 이모지가 있어서 맞구나 생각이 들었고, 불필요한 외근을 자꾸 같이 나갑니다. 문제는 같은 직급인 사원과 협업해서 해야 할 업무가 있는데 외근, 출장 등으로 같이 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결국 제게 업무 부담이 옵니다. 그냥 모르는척 하고 있고, 그 사원에게 웬만하면 제 개인 얘기라던가 회사생활이 힘들다던가 얘기는 안하려고 합니다. 계속 모르는 척 하고 제 할 일 하면 되는 걸까요? 조언 부탹드립니다.
매일두유
23년 05월 04일
조회수
17,057
좋아요
45
댓글
52
산업단지 입주업체 명단확보?
파주 지역 산업단지 입주업체 명단을 알고 싶은데 시청에 공개된 사업체 현황 통계 자료가 없다고 하네요. 보통 지자체에서 업체명, 주소, 직원수 정도로 해서 통계자료 공개자료방에 올려두지 않나요?
그냥웃음
23년 05월 04일
조회수
1,175
좋아요
1
댓글
6
여러분들의 연봉은 얼마인가요?
보통 다른 분은 연차대비 연봉이 어느정도 이신가요? 물가는 오르는데 다들 어떻게 생활하시는지ㅠㅠ 대단하십니다 다들...
둠바둠바
23년 05월 04일
조회수
2,040
좋아요
3
댓글
16
하인즈 어떤가요
외국계 자산운용사라고 들었는데 한국에서 어떤지 들어보신분 있으신가요
코타키
23년 05월 04일
조회수
2,044
좋아요
1
댓글
5
투표 연금보험
20살 직장인입니다 연금보험을 20년납으로 만65세부터 수령하여서 25만원 낸거를 60만원 정도로 되돌려받습니다 종신?보험인가 뭐라던데 변액연금보험을 해지해야할까요 넣은지 얼마안되었는데 주변에서 극구해지하라네요 연 5퍼 확정인데 회사가 망하거나 해약만안하면 보장된다네요
생산기계
23년 05월 04일
조회수
521
좋아요
0
댓글
3
기본급과 직급수당 관계
선배님들, 직급수당이 올라가면 기본급은 줄어드나요? 회사동료가 이번 월급에서 주임급에서 대리급으로 직급수당이 올랐는데 기본급은 오히려 낮춰져서 주임때 받던 월급에 맞춰져서 지급 됐네요. 월요일에 경영에 문의를 해보라고 하긴 했는데 직급수당이 올라가면 기본급이 내려가는지 궁금합니다.
회사는가까워야댐
23년 05월 04일
조회수
929
좋아요
0
댓글
3
VC와 지분협의
기업가치는 50억정도로 평가받고 해외VC와 10억투자유치 협의중인데 지분요구를 너무 과도하게 하네요(35%수준) 역제안도 제한적이고..자금은 필요한데 지분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nearr
억대연봉
23년 05월 04일
조회수
1,990
좋아요
4
댓글
10
가성비일까요?!
1. 현재 저는 Si쪽 영업직입니다. 2. 회사에서 개발한 규격제품이 있는데 해당제품은 이미 레드오션입니다.(물론 실제 업체 적용할때는 업체에 맞춰서 적용하지만 공수는 적습니다.) 3. 하도 저가 제품이 많다보니 경쟁력을 위해서는 커스터마이징 제안을 하는중이고 비중이 커지는 중입니다. 4. 커스터마이징 제안을 한 업체와 계약을 하려고하면 개발쪽에서는 항상 안된다고 합니다. 시간도 걸리고 지금 걸려있는게 많다 등등 5. 결국에는 프리랜서 또는 계약직 개발자를 채용해서 하기때문에 영업이익이 떨어집니다 6. 지금 직원비율은 영업20:개발80 비율입니다. 제 생각에는 영업직원보다 개발직원이 훨씬 더 많으니 영업수주속도보다 개발속도가 더 빠를 것이라고 생각하는데..맞지않나요? 이게 아니라면 가성비가 안맞다고 오늘 문득 드네요..
kookoo
23년 05월 04일
조회수
345
좋아요
0
댓글
2
상사가 일을 시키면(2)
이전에는 알아서 척척 했는데, 지금은 어느정도는 모르겠는 척을 합니다. 그래서 괜스레 한번 질문하죠. "이건 이해했는데, 저건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실은 다 이해함) 그랬더니 상사와의 관계도 좋아지더군요.
clever
억대연봉
23년 05월 04일
조회수
762
좋아요
8
댓글
4
저는 물경력자였습니다. 한번 의견들 내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커머스쪽 5년차 된 서비스 기획자입니다.(총 경력 : 7년 6개월 과장급, 이전은 영업부서에서 근무) 고심이 있어 여러 현업 선배님 혹은 후배님들께 혜안을 얻고자 글남기게 되었습니다. 메인 고민 : 인하우스에서 근무하였으나 웹 에이전시에서 가서 구르면서 기획경험(다양한 도메인의 기획서 작성)을 쌓아서 더 좋은 인하우스(ex:네쿠카라배)로 가고싶은데 현실적으로 웹에이전시를 다시가면 나오기 힘들까요?사바사이지만 확률적으로 여쭙겠습니다. 한집안의 가장으로서 벌이가 없어질 생각을 하니 구토가 나오고 잠을 못자 건강이 안좋아지고 있습니다. 내용: 저는 올 2월 7년3개월간 근무했던 첫직장을 퇴사하고 이직을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직장에서 수습기간 내 함께하지 못할 것 같다는 통보를 받게 되었습니다.퇴사 요청 사유는 기획력 부족 즉, 기본기가 없다는 것이였습니다. 맞습니다. 부족한 점이 많았습니다. 머리에서 요구사항정의서, IA, FLOW CHART 등이 어설프게 떠오르지만 손쉽게 이를 그리기가 많이 어려웠습니다. 일전 회사에서는 체계화된 기획서를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개발 요청서를 컨씨컨비로 그리고 Description만 잘 작성하면 되었습니다.(*작성도 잘 못한 거 같음, 개발자가 장기근속자가 많고, 유능한 개발자들이 많아서 그냥 해준거 같습니다...ㅎㄷㄷ)따라서 제 경력은 현시점에 와서 보니 물경력...이였던 것 같습니다. 물론 커머스 도메인에 대한 이해도는 어느정도 있습니다. 또한, 필요 요청사항정도...그릴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뭔가 자존감도 많이 낮아지고 제 연차에 비해 일을 못하는 게 맞다는 결론에 다다랐습니다. 탑다운이 강한 업무 방식으로 시키는 것만 그려서 사용자 이용행태 분석 및 경쟁사 시장 현황 분석 이런 것도 할줄도 모릅니다.(*JD에 요새 많이 필요 조건으로 하여 기재) 결론 : 기획자로서 잘하는 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현시점에서 인하우스로 이직을 하는 게 맞을지, 한번 웹에이전시가서 전반적으로 무언가를 구축해보는 게 맞을지 현직자분들께 지혜구해봅니다.
신당동땃쥐
23년 05월 04일
조회수
3,598
좋아요
28
댓글
35
하나증권 pf어떤가요??
하나증권 과장급 프론트 처우가 어떨가요 기본급이나 인센 생활 회사상황이 궁금합니다
후두룩
23년 05월 04일
조회수
3,540
좋아요
2
댓글
22
대구/경북 지역 대학교 나온 고향분들
서울 상경하신 또래의 고향분들, 직장 처우가 대부분 어떤지 궁금합니다. 전 대구 지역의 지방 사립대를 졸업하고, 그 마저도 고등학교 때 체육 선수를 준비하다 실패하여 낮은 성적으로 스물에 야간대 문과를 나왔습니다. 졸업도 학고를 받아가며 2점대로 했네요. 문과 신입은 2천대도 흔하고, 그마저도 지방대는 거의 그렇다. 라도 하는데.. 대학 동기는 아는 사람이 없어서 물어보지는 못하고 여기 여쭙니다. 문과 기준으로, 정말 여러분 서울 올라오셔서 어느정도 받고 계신가요? 익명이니 이렇게 물어봅니다. -- 전 어찌저찌 스물 일곱, 서울에 올라와 신입 연봉 4천 후반으로 얼마 전 계약했습니다. 학교에선 주간대학에, 여기선 눈만 돌리면 저보다 낮은 스펙을 가진 분을 찾기가 힘들어서 자존감도 참 많이 낮아졌네요. 취업 시장이 빨간 불이라는데, 제가 천지 몰라서 그런 건지 실감도 안나고 연봉도 이게 평균인지 모르겠습니다. 서울 상경하신 고향분들, 요즘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정프덕매
23년 05월 04일
조회수
1,172
좋아요
5
댓글
15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