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금융/투자
[운용역] 개인 국내 주식 투자가능한 운용사
운용역이 개인 투자가능한 메이저 운용사, 일임사도 있을까요 ? (매수 매도 기간 다르다는 가정하에) 어디에 문의해볼 수 있을까요?
@디에스자산운용(주)
빌ㄹ
01월 05일
조회수
2,253
좋아요
20
댓글
14
커머스/MD
마케팅 업무능력 개발 어떻게 하시나요?
단순 MD 업무로만은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마케팅쪽을 진지하게 더 배워서 능력을 키워가보려 합니다. 현 직장에 좋은 분이 계셔서 여러가지 궁금한 부분에 대해서 묻고 배워가곤 있으나 이는 한계가 있을 것 같고, 직접 해보지 않고 글로만 이론적인 부분을 공부하는 것도 한계가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떤 식으로 마케팅을 배워나가는게 좋은 방법일지 노하우나 팁 좀 부탁드립니다.
세노워우
01월 05일
조회수
1,392
좋아요
57
댓글
34
술 이야기
술 마시고 나온 성격 본성?
술 안마시면 안그러는 사람이 술 마실때도 잘 안그러지만 정말 어쩌다 한번 술 마시고 폭력적이면 본성일까요?
thvf
01월 05일
조회수
9,832
좋아요
147
댓글
146
회사생활
근로계약서 작성 안하는 회사
근로계약서를 아무도 작성 안한 회사에요 처음엔 늦는 건가 싶었는데 입사 2달이 넘었는데도 작성을 안해서 주변에 조심스레 물어보니 아무도 작성 안했다고 하더라구요 주말 출근이 거의 당연하고, 주 근로시간이 85~90시간 수준인데 당연히 포괄 하 업계 특성상 포괄이 많아서 포괄 계약 자체는 백번 양보해 그럴 수 있다 치는데 사측에서 근로계약서를 작성 안 하려는 의도가 뭘까요? 포괄이어도 주 90시간 수준의 근무시간은 문제가 되기 때문인가요? 퇴사를 할래도 근로계약서 없이 퇴사를 하는 것도 웃긴 것 같고… 난감합니다
빌마크다운
01월 05일
조회수
1,278
좋아요
22
댓글
36
데이터분석
[데분/데싸] 현재 업무에 만족하는분 계신가요?
학사,석사 전공도 데분/데싸랑 관련되고 경력도 이전 회사에서는 관련 되는 업무였는데 옮긴회사에서는 몇년간 하는 업무들이 점점 관련없거나 분석같지도 않고 숫자 끼워 맞추는 심부름 하는것 같아 성장도 없고 의욕도 점점 없어지네요. 앞으로도 여기선 이렇게 지낼것 같습니다. 데분/데싸 업무적으로 만족하시는분 계실까요? 만족하시거나 만족하셨던 회사 추천 해주세요
갈길잃은
01월 05일
조회수
1,222
좋아요
34
댓글
15
이직/커리어
스타트업에서 처음 중견기업 이직
안녕하세요. 저는 8년차되는 마케터이고, 그 동안 계속 스타트업에서 업무를 했는데요. 스타트업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저도 더 압축성장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스타트업을 다니면서 열심히 업무를 했습니다. ( 대부분 들으시면 알만한 네임드 스타트업도 있었습니다. ) 그러다가 이번에 좋은 기회로 꽤 규모가 있는 중견기업에서 오퍼를 받고 처우 협의를 시작해야하는 상황인데요. 보통 스타트업 다니다가 중견을 가면 연봉을 많이 올리나요? 대행사에서 스타트업 올 때는 많이 올린다고는 들었는데.... 스타트업에서 중견으로 갈 때도 인상 폭이 좀 큰 편인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월급전날 카드값
01월 05일
조회수
779
좋아요
4
댓글
2
회사생활
영업판매직에서 본사 발령 후 급여 부분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우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들!! 제가 가구 영업판매직으로 근무를 하다가 사내 메일을 통해 회사가 집중하는 사업 프로젝트 담당자로 지원하게 됐고 그 결과 본사 사무직으로 전배되었습니다. 아시겠지만 영업 근무는 인센티브가 추가로 나오는 구조인데, 사무직은 인센티브가 없어서 전화로 인사팀에서 물어볼 때도 인티가 없는데 괜찮냐는 질문을 했고, 그 부분은 가볍게 이야기하고 넘어갔어요. 그런데, 급여나 이런 부분이 어떻게 변경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아직은 없고, 어떤 분은 인센티브 3개월 평균 부분을 기본급여에 포함해서 들어간 케이스 등 사례가 있더라구요. 현재 본사 출근한지는 3일 가량 되었는데 이 내용을 인사팀에 물어보는 것이 문제가 되진 않을지 인상이 되지않으면 너무 급여가 낮아서 협의를 할 수 있을지 여러 의견 &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사회생활 만랩인 선배님들 도움 부탁드려요!
클태
01월 05일
조회수
376
좋아요
3
댓글
2
회사생활
대체투자 운용역 개인 주식투자
안녕하세요, 주식운용하는 운용역들이 본인 뿐 아니라 배우자,부모님까지 개인 주식투자에 제한이 있다고 들었는데 부동산,인프라 등 대체투자 운용역들도 같은 제한을 받고있나요?
AIINVE
억대연봉
01월 05일
조회수
845
좋아요
11
댓글
7
인사/HR
담당이 아닌데 노무/컴플라이언스 업무를 시킨다면?
저는 원래 다른 직무 업무를 오랫동안 하다가 3년 전에 HR부서로 이동 HRD 를 담당했는데요 내부 조직 변경에 따라 다시 원래 하던 업무 팀장으로 발령 받았습니다 근데 제가 시니어 직원이라 HR 업무시 직장내 괴롭힘이나 리더십 진단, compliance 이슈 발생시 조사위원회 간사로 여러번 조사미팅도 진행하고 보고서도 쓰고 그랬는데요 당시 스트레스를 정말 많이 받았습니다 이제 HR이 아닌 다른 직무로 가면 솔직히 그 업무와는 연관이 없는데요 보고서 쓰고 다 그 일을 안하려고 하니 자꾸 저를 시킵니다 윗분은 임원이신데 시키고 결정하는 역할만 하고 본인이 실무는 안하시구요 이럴경우 저는 해당 업무와 관련이 없으니 컴플라이언스는 담당자를 뽑던지 새로 지정해서 하시라 하면 넘 건방질까요? 이런일이 녹취한 거 듣고 정리 보고서 작성. 회의 주관 그리고 당사자에게 원한도 사고 ESFJ 인 저에게는 너무 안 맞아서요
강여사
01월 05일
조회수
2,156
좋아요
79
댓글
46
자유주제
리엠버에서 사람들 보면 볼 수록 요지경이네요
안그래도 직업 자체가 영업이라 평소에도 나름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을 만나고 겪는데 리멤버는 더 다양한 사람들이 있네요. 어플 사용자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늘어나고 커뮤니티가 활성화 된건 좋은데 몇몇 댓글이 커뮤니티의 순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들이 자꾸 보여서 그냥 짚고 넘어가고 싶어지네요. 1. 광인형 - 비교적 적은 유형으로 본글과는 상관없는 이상한 댓글로 보는 모든이들로 하여금 짜증이나 의문을 자아냄. 술먹고 술김에 그냥 아무말 대잔치 하는 느낌 2. 우물안개구리형 - 본인이 경험하고 알고있는게 전부인 유형. 리멤버에는 각종 다양한 고민들이 올라오는데, 여러분들도 알겁니다. 정답이 수학처럼 명확하게 정해진 문제보다 케바케의 문제가 많습니다. 고민중인 사람에게 '나는 이렇게 해결했어요, 나는 이런 경우 봤어요, 참고해보세요' 정도라면 다양한 사례를 통해 답을 찾을수있게 돕는 조언이지만 '이렇게 해야됩니다, 이렇게 해야지만 해결 됩니다' 라는 식의 매우 단호하고 강한 확신의 조언들...옳다면 필요하죠...근데 그게 아닌데 너무 확신에 찬 말들은 고민자를 더 헷갈리게 하거나 더 힘든 상황을 초래 할 수도 있다 생각이 듭니다. 3. 딴지형 - 고민자나 댓글러의 말들에 '난 아닌데? 우리 회사는 아닌데? 니 말 잘못됐는데?' 테클부터 걸고 봄. 그냥 심성이 좋지 못해서 그냥 테클거는 사람들도 있는데 안타까운건 독해력 문제 입니다. 작성자나 댓글러가 어떠한 관점과 취지에서 말을 한건지 전체적인 의도나 늬앙스를 파악했다면 그런말들을 못할건데 초등생 수준의 독해력이 안되는 유형이 생각보다 많이 보입니다. 예전에 비해 평균 독서량이 줄면서 어휘력도 저하되고 독해럭이 떨어진다는 뉴스를 봤었는데 여기서 직관을 자주하네요...타인을 비판하는 것도 자유인데 적어도 저 사람이 무슨말을 왜 하는지 정확하게 알고 비판을 해야 커뮤니티의 다양성을 통해 서로 좋은 여러 의견들이 교환되는거지 엉뚱한 테클은 또 다른 분란을 조장할 뿐 입니다. 모든 유형과 사례에 100 % 가 어딨습니까. 댓글에 일일히 일부 산업 또는 기업은 해당되지 않습니다라고 달아줘야되나요ㅋㅋㅋ그냥 누군가가 아주 잘못된 댓글을 단거 아니면 고민자 글어나 댓글달고 다른 사람 시비 좀 걸지 맙시다. 4. 분노형 - 컨셉인지 이유는 모르겠는데 대뜸 화부터 내는 유형. 위 3번의 딴지형의 진화버전이랄까.......가끔 글 보다보면 댓글에서 고민자의 글과는 상관없이 댓글러끼리 싸우고있는 이상현상이 관측됩니다ㅋㅋㅋ하....뭐 왜 싸우는지 보면 뻔하더라구요? 분노하는 사람, 화내는 사람들은 인성자체가 개차반 쓰레기인 경우보다 현 상황이 버겁거나 스트레스가 감당이 안되는 마음의 여유가 없이 몰려있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제가 보기엔). 다른 분들 처럼 여기에 정식으로 글을 올려서 조언도 구하고 위로와 응원을 받아보세요. 타인에게 상처주고 화풀이한다고 당신 삶이 더 나아지지 않습니다. 저도, 여러분도 부족한 사람이고 배워가야할게 많습니다. 그렇기에 서로 돕고 살아야되고 우리네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내가 경험해보지 못한 세상에 대해서도 알고 배워나갈수 있는거 아닐까요? 굳이 남이한 말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바보취급하고 비아냥 거리면서 잘난척 하면 살림살이 좀 나아 지시나요? 나름 리멤버 초창기부터 했는데 너무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면서 물이 흐려지는게 보여 답답하고 짜증나서 글 올려봅니다. 얼굴 안보인다고 인성질하지말고 최소한의 매너와 예의 좀 갖춥시다. 다들 성인 아니신가요? 굳이 안해도 될 말은 하지말고, 타인을 존중하고, 겸손합시다 좀. 조언은 좋지만 자랑은 다른데 가서 하던가 따로 자랑 글을 올리세요, 다른분 글에 댓글로 자랑하지 마시고. p.s : 조금 답답한 마음에 올린 글인데 생각보다는 많은분들이 봐주셨네요. 저야 그런 댓글에 상처받고 속상해하지 않습니다. 멘탈관리는 조금 하는편인지라, 근데 작성자분들이 고민올리실때 그냥 질문자체가 헛소리인 경우도 있긴한데 대체로 본인의 고민을 용기내어 도움을 요청하는 글에 안하느니만 못한 이상한 댓글로 흐리는게 별로 보기 좋지 않더라구요. 제가 뭐 되서 나대는게 아니라 공익성을 위해 지적한 글 입니다. 사람은 셋만 모여도 한명 이상 빌런이 있다지요. 맞습니다. 어떤 관점에서보면 그런 빌런이 아예 없는 세상은 오지 않을런지도 모릅니다. 그래도 말귀 다 알아먹는 성인들인데 누군가가 브레이크만 걸어줘도 조금 나아지지않겠나 하는 마음이었습니다. 표현의 자유, 존중합니다. 다양한 사람이 있는건 어디나 마찬가지죠, 하지만 자유라는건 타인의 권리와 행복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누리는거라고 다들 배우셨을겁니다. 최소한의 예의와 존중을 하자는 취지 입니다. 이곳에서 일면식 없는 누군가에게 굳이 시비조로 말하면서 분쟁질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가끔 눈팅하면서 저도 많이 배워가는 유일한 커뮤인데 간혹 불편러들을 보면서 느낀바 적었습니다. 공감해주시고 위로해주신 분들 감사하고, 전 아무것도 아니고 아무 권한도 권력도 없습니다. 니가 뭔데 이래라 저래라 하시는 분들은 죄송합니다. 그냥 지나가세요. 본인 까는 글이라고 생각해서 불편함을 드러낸다 생각하겠습니다.
오늘만산다
01월 05일
조회수
2,411
좋아요
63
댓글
31
재테크
투표 🩷🧡오늘 뭐하세요? 주말에도 리멤버 방문 출첵 (출석체크) 합시다!!
오늘 서울 경기에는 새해 첫 눈 왔네요. 모두 행복한 2025년 되세요! 👍 출첵하고 댓글 모두 서로 추천해요!
시오비야
억대연봉
01월 04일
조회수
474
좋아요
52
댓글
66
재무/회계
투표 동료가 너무 한심해서 퇴사하고싶어요..
이직이직이직하자
01월 04일
조회수
1,171
좋아요
34
댓글
22
IT 직군
(현재 토요일밤에 해당하는 일요일 02시)
회사 가기 싫어서 잠을 못자겠어요 ㅜㅜ
JY JY
01월 04일
조회수
77
좋아요
0
댓글
1
회사생활
40살 권고사직자 일기 3
오늘은 갑자기 이런생각이 듭니다 내가 설사 지금 재취업을 한다하더라도 언젠가는...어떤형태로든 회사를 나오게될텐데, 그때도 경제적인 충족이 월급으로 만족스럽긴 어려울것이고 회사타이틀이 없어지는 것으로 인한 충격도 지금과 큰차이가 없을것같은데 그렇다면 많이 늦었더라도 지금부터 준비하는게 맞는거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업 투자 세무나 감평사 준비 정도가 떠오르네요 모두 쉽지많은 않겠지만 회사다니시는분들은 어떤계획을가지고 계시나요 막연한 불안감으로 제가 회피하고싶어 이런생각을 하나 싶네요 심난한 밤에 생각이 많아 글을썼습니다
베스딩
금 따봉
01월 04일
조회수
2,817
좋아요
51
댓글
36
결혼생활
제가 이직할 직장 골라서 이력서까지 지원하는 와이프
우선 저는 현재 직장과 업종이 너무 불안정해서 이직 예정입니다. (업종전환도 적극 고려중) 최근 몇달간 급여가 제때 지급이 안되기도 해서 와이프도 스트레스 받고 불안해했고요. 이런 상황에서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데 몇 가지 이슈들이 있어서 다른 분들에게는 어떻게 보일지 궁금하여 의견 여쭙습니다. 1. 자소서 코칭 와이프는 2,3년 전 구직활동하며 전문컨설턴트에게 자소서 코칭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저에게 자소서를 보내주면 본인이 봐주겠다고 해서 전달했는데, 개선할 사항들이 있긴 했지요. 근데 단어나 문장사용까지 제 입장에서는 과한 참견이다 싶을정도로 코칭(사실강 강압..)을 합니다. (제가 글을 그렇게 못쓰는 편도 아닌데 과한 간섭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2. 지원할 회사 골라줌 처음에는 공고문을 공유해주는 수준이었는데 최근들어 제 계정에 직접 스크랩해놓더니 오늘은 자소서까지 작성해놓고 내일 지원하겠다고 하더군요(현 업종이 아닌 전에 종사하던 업종) 현재 부동산 업종에 종사중인데 워낙 시장상황도 안좋고 급여 문제도 있어서 불안하고 답답한건 이해가는데 이러는게 맞나 싶은 생각도 들긴 합니다. 크게 위 두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 다른분들이 보시기에는 어떻게 보이시나요?
부동자세
01월 04일
조회수
10,228
좋아요
162
댓글
102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