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다들 월급통장 은행 어떻게 정하나요?
회사에서 정해주는 은행을 따라야하는지 직접 은행을 선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고노도로모
20년 11월 05일
조회수
651
좋아요
0
댓글
6
가볍게 등산하는분들 산 추천 부탁드립니다.
대부분 동네 산 등산 하시겠지만.. 가을 다 지나가기 전에 단풍 구경으로 예쁜 산 추천 부탁드립니다. 아직 등산 초보라 가벼운 등산코스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아이폰12
20년 11월 05일
조회수
996
좋아요
2
댓글
18
어떻게 홍보하고 어떻게 운영해야할지?
농기계, 특히, 축산기자재 분야의 선두기업의 호남사업소장겸 본사가 운용하는 쇼핑몰(천여개 제품 수록)의 배송메세지란에 전국에서 '호남사업소'라는 표기를 하면 실적이 인정되는 계약을 맺고 영업을 시작하려는데, 효과적인 홍보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참고로 쇼핑몰은 www.hwangso114.com 입니다. 참고로 계약의 적정성도 알고 싶습니다
군고구마카페
20년 11월 05일
조회수
68
좋아요
0
댓글
0
다면평가제 다들 있나요?
다면평가제 도입되어있나요? 곧 연봉협상도 있으실테고 한데 어디는 다면평가제라고 해서 동료도 동료지만 상사를 평가하는 것도 있더라구요 다면평가제 다들 어떻게 생가하시나요?
니기니기
20년 11월 05일
조회수
136
좋아요
0
댓글
4
동네서점 투어 좋아하시는 분! 가장 좋아하는 서점 어디세요?
좋아하는 서점들은 한남동 스틸북스, 선릉 최인아 책방, 서교 땡스북스, 합정 책과밤낮, 성수 아크앤북 요 정도 좋아하는데요. 검색해보면 작은 서점들이 워낙 많아서... 다 가보기에는 정말 너무 많네요. 서점 좋아하시는 분들이 선별해주신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좋아하시는 이유나 소개도 간단히 해주시면 정말 소중히 메모 해놓고 가보겠습니다. 개취 존중합니다. 장소는 서울이면 동서남북 가리지 않습니다^^
iiIIl
20년 11월 05일
조회수
233
좋아요
1
댓글
5
공무원은 설문조사기관 좌담회 참석 못하나요(겸직금지 또는 외부강의 미신고해당여부)
현재 휴직상태입니다. 우연히 설문조사기관에서 운영하는 좌담회에 참여할 기회가 생겼어요 주말에 온라인으로 하는거고 정부기관에서 하는 거더라고요. 참가비를 받고 하는건데 이것도 겸직금지에 걸리나요? 외부강의 미신고 범위에도 들어갈까요?
민맘
20년 11월 05일
조회수
2,125
좋아요
0
댓글
6
구매 직무 자격증 뭐가 좋을까요?
구매로 입사 이제 4년차인데 정말 구매에 직무에서 필요한 자격증이 뭐가 있을까요?
에이스 321
20년 11월 05일
조회수
765
좋아요
0
댓글
3
미국 대선일에 금융시장에서 벌어진 일
대통령 선거와 같은 큰 사건이 있을 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집니다. 시장의 가격은 누군가가 거래를 해야만 변합니다. 아무도 거래를 하지 않는다면 가격은 움직일 이유가 없으니까요. 그런데 대형 이벤트를 앞두고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결과를 보고 거래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죠. 사고 싶거나, 팔고 싶은 주식이 있어도 참았다가 결과를 보고 움직이고 싶은 것이 사람 마음이니까요. 미국 대선이 진행되었던 어제 금융시장을 보면 시장이 각 후보에게 어떤 기대를 하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오늘 리멤버 나우는 시장의 움직임을 살폈습니다. 👉 https://now.rememberapp.co.kr/2020/11/05/10643/
리멤버 | (주)리멤버앤컴퍼니
20년 11월 05일
조회수
346
좋아요
0
댓글
3
스타트업 출신은 어디로 이직하나요?
보통 대기업 출신들이 창업하거나 스타트업의 C레벨로 영입되는 경우는 많이 봅니다. 그렇다면 창업이력이 있거나 스타트업 종사자들의 이직은 주로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걸까요? 스타트업에서 대기업으로 점프업은 쉽지 않을것 같은데 결국 스타트업으로 경력을 시작하면 이 업계 내에서 커리어를 쌓아가는게 현실적인 걸까요?
다리우스
20년 11월 05일
조회수
386
좋아요
1
댓글
6
독립출판에 대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독립출판을 친구들과 제작한 경험이 있어서 해당 경험을 나누는 자리를 만들어주셨으면 좋겠다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몇가지 고민이 되어 글 남깁니다 ^^; 독립출판에 대한 준비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중심으로 준비할 사항, 인쇄, 서점 입고 연락, 판매 정산 등의 경험을 나눌 수 있을거 같아요 Q1 : 해당 주제로 관심있으신분들이 있으실까요? ^^; Q2 : 참가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지도 궁금합니다. 1) 1만원대 2) 2만원대 3) 3만원대 (장소섭외에 따라 비용이 바뀔수도 있을거 같아요;;) Q3 : 위에 말씀드린것 외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실지? ^^; 지극히 평범한 직장인이라, 선뜻 모르는 분들 앞에서 경험을 공유하는게 무척 조심스럽고 그러다보니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글 남겨봅니다. 오늘도 기분 좋은 하루 되세요~!!
물돌이
억대연봉
20년 11월 05일
조회수
144
좋아요
1
댓글
6
법무법인 설립 관심 있는 변호사님들 계신지요
기업 상대 법무를 하려 하니 법무법인이 아닌 현재의 상황에 한계가 느껴져서 법무법인 설립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변호사 수의 증가와 여러 법무 중개 플랫폼 등의 출현으로 인하여 현재의 변호사 업계 상황이 아주 좋은 상황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직 미개척 분야가 많아 보입니다. 법무법인 설립 전에 충분히 논의하여 구성원이 모두 동의할 수 있는 합리적인 룰을 정하여 법무법인을 설립하고 운영할 생각입니다. 생각 있으신 분들의 연락 부탁드립니다. p.s.: 법무법인 사무실 위치는 서울 고려 중입니다.
순리대로살자
20년 11월 05일
조회수
638
좋아요
0
댓글
9
업무상 재해 병원비는.보통 어떻게.처리하시나요?
중소기업이고 직원중에 한명이 현장에서 일을 하다 허리를 삐끗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받기로 했습니다. 심한 것은 아니라 몇번 통원치료만 받으면 될 것 같은데 이럴 경우 보통 어떻게 처리하시는지요? 그냥 회사에서 병원비 부담하고 산재는 처리하지 않는것이 보통인가요? (산재처리가 복잡한데 반하여 병원은 일주일정도만 가면 될 것 같아서요)
llllllll
20년 11월 05일
조회수
510
좋아요
0
댓글
5
의회 당일 자료요구 진짜 돌아버릴 것 같아요
미리미리 좀 요청하지 아아악
훙나
20년 11월 05일
조회수
232
좋아요
4
댓글
5
지자체 국비반납
안녕하십니까~! 광역자치단체에서 국비 사업 하나 처음 맞게 되었습니다. 국비 반납 업무를 하려니 매뉴얼 찾아본 결과 대략 보조단체에 교부한 것은 세외수입 징수하고 세입세출 예산 편성하여 중앙부처 담당자가 고지서 발급해주면 납부하고, 기초자치단체에 교부한 것은 세입세출외현금으로 보관하다 중앙부처 담당자가 고지서 발급해주면 납부하여 완료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문제가 생긴것이 중앙부처 담당자분 논리가 제 사업은 균특사업이라 자기네가 고지서 발급 따로 안해주고 지자체 자체적으로 국비로 반납하는 절차가 있다고 하시는데.. 주변분들께 아무리 여쭤봐도 명확한 답이 안나오는 상황입니다. 논외로 국가균형발전법에 균특 국비 받은걸 지방의 다른 균특 예산으로 돌릴수 있다고 나와 있는 부분은 배제하고 깔끔하게 반납하고 싶습니다. (주변에 딱히 사례도 없는것 같고 매뉴얼도 없는지라..)(혹시 다른 균특예산으로 돌리는 매뉴얼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막막합니다 ㅜㅜ) 혹시 중앙부처 담당자분이 지자체 자체적으로 처리할수 있다는게 바로 위에 제가 적은 다른 지방 균특예산으로 돌린다는 것을 말하시는 것이려나요.. 만약 그럴경우 어떻게든 국비 반납하고싶을 경우 고지서 발급해달라고 말씀드리는수밖에 없을까요? 긴 글 읽어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직공직해
20년 11월 05일
조회수
836
좋아요
0
댓글
3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