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제약 바이오 쪽 생산 직무 취업에 있어 대학원이 도움 될까요?
분야별로 천차만별이라고 생각합니다. 상대적으로 단순 노동만이 필요해 학위가 중요하지 않은 곳도 있지만 바이오 제약쪽은 다른 걸로 알아서요. 관련 지식이나 경험이 큰 도움이 된다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실제로 그런지 궁금합니다. 현직자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요?
명륜진사
20년 08월 11일
조회수
484
좋아요
2
댓글
7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중 제일 괜찮은 곳이 어디일까요?
정말 괜찮은 알고리즘 쓰는 곳이 있을까요? 이상하게 믿음이 잘 안 가네요
얼음
20년 08월 11일
조회수
463
좋아요
0
댓글
14
내실있는 회사인지 판단하는 알 수 있는 방법?
뭐가 있을까요? 특히 스타트업일수록 아예 사업아이템을 AI BD로 잡고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점을 판단 기준으로 잡아야할지 모호한 것 같습니다. 돈이 많은지 여부.. 혹은 CEO 성향? 뭐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브라이언
20년 08월 11일
조회수
331
좋아요
1
댓글
5
워라밸과 연봉의 상관관계
예전에는 워라밸과 연봉이 반비례라고 생각했는데 요즘 보면 대기업이 워라밸이 더 좋은거같아요 물론 회사나 부서마다 다르겠지만 대기업다니는 친구들이 오히려 빨리 퇴근하고 휴가도 더 잘쓰더라구요 워라밸과 연봉 둘 다 사수하고 싶네요ㅜㅜ
안토니오비그
20년 08월 11일
조회수
614
좋아요
0
댓글
4
P2P 업계는 옥석가리기가 될까요? 폭삭 망할까요?
법 시행이 이번달인데요. 그래서 그런지 IR에 막판 열 올리는 업체들이 눈에 띕니다. 이 와중에 실력은 있고 정직한 업체에 조금 투자해 놓으면 법 시행 후 옥석가리기 되서 시장을 장악할까 아니면 법 시행 후 중소 P2P는 싹다 망하고, 카카오뱅크같은 곳이 중금리 하는 식으로 바뀔지 판단이 잘 안서는데요 여기 계신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항상기뻐하라
20년 08월 11일
조회수
2,403
좋아요
5
댓글
22
HUG 고분양가 규제보다 분상제가 낫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3차·경남아파트 재건축)' 조합에 따르면 다수의 감정평가사에 의뢰한 결과 HUG 규제에 따른 분양가 3.3㎡당 4891만원보다 분양가상한제에 의한 분양가가 5588만원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왔다. 원베일리 조합은 7월 말 일반분양 승인을 신청해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일단 피할 수 있는 상황이다. 조합은 9월 말까지 분양가상한제나 HUG 규제 중 선택할 수 있는데 사실상 분양가상한제로 결정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633276 분상제가 더 낫다니.. HUG 대단하네요
기본프로필
20년 08월 11일
조회수
301
좋아요
0
댓글
0
대표님들 매출변동에 따른 멘탈 관리는 어떻게 하시는지요?
매년 매출, 영업이익등 조금씩이라도 상승곡선을 그려가며 사업을 키워야 하는데 해마다 매출이 늘도록 하는 것이 정말 만만치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규모도 작은데도 불구하고 매달 숫자를 보면 살얼음판을 걷는 것 같습니다. 매출이 오르고 내릴 때 마다 멘탈을 유지하면서 전략을 세워야 하는데요. 하반기가 되니 더더욱 숫자에 민감해지는 것 같습니다. 오랜 기간동안 사업을 하시는 대표님들 어떻게 그 힘든 과정들을 겪으시면서 멘탈을 유지하셨는지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다시시작
20년 08월 11일
조회수
520
좋아요
4
댓글
7
기자들한테 걸려오는 전화..
다 응대하시나요? 몇몇 기자들 전화 받고 답변을 해줬었는데, 이제 더 많은 기자들한테 전화가 오네요; 말 많이 하다 보면 실수할 거 같아서 좀 참는 중인데, 어떡해야 할까요?
점심뭐먹지
20년 08월 11일
조회수
554
좋아요
1
댓글
14
퇴사하겠다고 하는데, 진짜 잡고 싶은 인재가 있을때..
어떻게 하시나요? 1. 대표한테까지 와서 퇴사하겠다는 직원은 잡아봐야 소용없다 2. 진짜 잡고 싶으면 연봉을 올려주든 복지를 주든 잡는다
조선사나이
20년 08월 11일
조회수
878
좋아요
0
댓글
13
국가 전문가 vs 제품 전문가
가끔 글 올리고 조언 받는 주니어 입니다. 저는 어학은 영어 중국어를 대충 소통할 정도 하고 회사는 한번 이직했고 아이템 상관없이 영업을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전문성을 갖춰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만약 국가 전문가를 한다면 중국을 파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전히 2선3선 도시에는 여지가 많을 것 같아서.. 하지만 지금 코로나 상황도 그렇고 국가 경제라는 것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차라리 특정 아이템(예 기계 설비 혹은 IT 솔루션) 영업 전문가가 될까 이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활동하신 선배님들은 어떤 커리어를 추천하실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단데기
20년 08월 11일
조회수
119
좋아요
0
댓글
3
바이든이 당선됐을 때 증시에 미칠 영향
코로나 방역 실패, BLM 시위 대처 실패 등등으로 바이든 당선 가능성이 좀 유력해진 거 같은데요. 만약에 전례없던 장사꾼인 트럼프가 낙선하고 바이든이 당선된다면 미국 증시엔 호재일까요 악재일까요 다른 분들 생각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1. 악재다 2. 아무 상관없다 3. 호재다
깐깐이
20년 08월 11일
조회수
253
좋아요
0
댓글
6
셀러허브 같은 플랫폼 제작 기간
안녕하세요! 초보 웹 개발자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위와 같은 쇼핑몰 통합관리 솔루션을 제작하는데 관련하여 필요 기술이나 필요한 정보, 필요한 인력의 개략적 볼륨이 어떻게 될까요? 갑자기 너무 큰 프로젝트를 조사하려니 정말 감이 하나도 안와서.. 아니면 혹 참고해볼만한 곳이 있을까요? ㅠㅠ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삐약이
20년 08월 11일
조회수
209
좋아요
0
댓글
4
2~3년 마다 이직.. 흠일까요?
요즘 이직이 흔하다고 해도 이력서를 검토할 때 2년 내외마다 이직한 커리어면.. 괜히 경력기술서 내용을 더 꼼꼼히 보게 됩니다.. 저도 3년차에 이직해서 여기가 두번째 회사인데 내로남불이 따로 없네요; 다른분들은 어떠신가요? 면접관 입장 또는 사측에서 볼 때, 경력 당 책잡히지 않는 기간은 몇 년 정도부터 일까요? 역량으로 검증하는게 아니라 기간을 기준으로 질문하는 이 사고방식 자체도 문제일까요?
광화문3번출구
20년 08월 11일
조회수
461
좋아요
1
댓글
12
마케터들의 이직,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년정도의 업무경력, 제일 오래다닌 회사 3년 평균 1년 반정도 다녔고, 이번도 1년 6개월차에 이직을 하려고합니다. 성장이 더뎌서이긴한데, 인사팀에서 안좋게 보는건 알고있지만 저희 직무가 다양한 경험이 도움이 되긴 해서 장점도 있는 것 같은데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루루루루
억대연봉
20년 08월 11일
조회수
365
좋아요
0
댓글
6
회사 평판 관리는 보통 어떻게 하고 계시나요?
검색 한 두번으로 찾을 수 있는 회사 관련 정보가 무궁무진합니다. 저 역시 이직할 때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하고요. 예를 들면 지인을 통한 정보습득, 잡플래닛, 구글링, 각종 기사와 댓글, 크레딧잡.. 그리고 후배들을 보니 직장인 커뮤니티에서도 정말 많이 찾아보네요. 반대로 얘기하면 회사 평판 유지를 위해 관리해야 할 채널이 그 만큼 많다는 것인데요. 위 채널들을 살펴보다 보니 작위적으로 정보를 막거나 디펜스를 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오기도 하던데요, 보통 사측에서 어느 채널(온/오프라인)에서 어느 정도 선으로 평판관리를 하고 계신지 노하우가 궁금합니다.
솜사탕
20년 08월 11일
조회수
243
좋아요
0
댓글
4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