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계약직 권고사직 협박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의 내용입니다. 저의 얘기는 아니고 제 친구와 관련된 일입니다. 제가 나이가 어려 노무와 관련해선 잘 몰라, 이렇게 조언 얻고자 여쭤봅니다. 제 친구는 모 금융 회사에서 사무계약직으로 근무 중입니다. 계약 기간은 '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만 1년)입니다. 초기에는 업무 능력에 따라 3년 동안 계약 연장을 해주고, 이후 정규직 전환을 시켜준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말 회사 내부 사정으로 연장은 불가하다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문제는 계약 기간을 채우기 전에,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쓰고 나갈 것을 강요받으며, 응하지 않을 경우 징계 절차를 밟겠다고 해당 팀의 팀장에게 협박을 받았습니다. 궁금한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현 시점에서 자발적으로 퇴사하면 실업 급여 및 퇴직금이 미지급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맞을지요? 2. 징계 절차를 받을 경우 계약 기간을 다 마쳐도 실업 급여 및 퇴직금이 미지급 되는지요? 곤란한 상황인지라, 좋은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lecEng
2024.12.10
조회수
728
좋아요
0
댓글
3
이직의 기본스펙
안녕하세요 중소기업 기술영업(?)라는 직무로 일하고있는 내년 30살입니다 회사에서 영업과 엔지니어 같이 일하게된다고 해서 하고있는데 2년 조금 지난 지금 어디나가서 영업사원이다 또는 엔지니어라고 말할수있는 전문성도 없는 상태로 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문성을 키우려고 중견급이상으로 준비하려고 하는데 30살에 2년이면 중고신입으로는 늦었나요? 경력직으로 내밀어도 뭘했다고 내세울게 없네요. 전기기사,공사기사, 컴활 자격증있습니다
영업은아닌데
2024.12.10
조회수
578
좋아요
0
댓글
3
담당팀장 보다 옆(인사담당)팀장한테 더 잘하는 직원
담당팀장한테 보다 옆(인사담당)팀장한테 더 잘 하는 직원 .. 꼴보기 싫은데 어쩌지요? 그렇다고 담당 팀장한테 막히는건 아니에요 .. ㅠ 고과때 눌러야 할까요?
sunnmoon
2024.12.09
조회수
1,039
좋아요
24
댓글
24
갑자기 퇴사_챙겨야될 서류
갑자기 퇴사 하게 되었네요 연말정산 셀프로 해야될것같은데... 미리 챙겨야할 서류.. 뭐가 있을까요 원천징수영수증, 급여명세서, 소득금액증명원 3가지면 될까요?하....
와글와글01
2024.12.09
조회수
548
좋아요
0
댓글
1
혼자 일 다하려는 동료
협업할 때 저보고 1차로 검토하고 자기한테 달라고 한 다음에 자기가 최종 마무리를 지으려고 하는 동료가 있어요. 저보단 자기가 역량이 높으니 본인이 마지막에 검토해야 한다는 생각이 깔려있는데, 그럼 성과도 그 사람 성과 처럼 보이고 결과적으로는 제가 기여하는 부분이 적은 것 처럼 보인다는 문제가 있네요. 이 사람이 제 상사는 아니지만 저희 팀장도 그 동료가 저보단 역량이 높다고 생각하는지 따로 중재를 하진 않아요. 저는 서열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치 이 분이 재 상사 처럼 구는게 거슬리긴 하고요… 어떻게 처신하는게 좋을까요?
장사랑
2024.12.07
조회수
9,526
좋아요
72
댓글
60
출퇴근 체크 앱 쓰는 분(회사)들 계신가요?
회사에서 출퇴근 체크 앱을 쓰고 그걸로 지각/잔업을 확인합니다. 위치정보로 감시하면 안되기 때문에 출퇴근 버튼 누를때 회사안인지 위치만 확인하고. 시간 등록후 위치정보 삭제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출퇴근 시간이 앱에 찍히고 회사로 리포트가 가니까.. 내가 몇시에 출근하고 몇시에 퇴근해서 근무시간이 몇시간인지가 다 보이는 겁니다. 보통 8시에 출근을 하고 퇴근시간은 대중 없는데.. 주말 특근 안해도 60시간 전후로 찍히고.. 이번주처럼 야근이 많은 날은 어제까지 60시간 찍혀서 내일까지 나오면 80시간 가까이 찍힐 것 같습니다. 부장님들도 ‘이거 왜 하는지 모르겠다. 이거 다 체크해서 퇴사할때 미지급 잔여수당 청구하라고 신고하면 회사가 뭐라고 둘러대려고 하는지..’ 라고 합니다. 저희 회사가 잔업수당을 법대로 할증해서 주는 회사도 아니고 주 52시간 초과하는 부분은 아에 신청도 못하는데.. 왜 회사가 스스로 발목 잡는 일을 하는건지 이해가 안가네요.
메달리스트
금 따봉
2024.12.06
조회수
525
좋아요
5
댓글
9
특허 발명자 미등록 조치에 대한 대처 방안
특허 발명자 미등록 조치에 대한 대처 방안 고객 인터뷰 중, 기술에 대한 수요를 발견했습니다. 그를 통해 R&D 기획단계에 같이 참여하였고, 영업 담당자로서 상품화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하지만 대표는 제가 개발자가 아니라 개발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특허 발명자에서 명단을 제외하였습니다. 원래 이렇게 진행되는게 타당한건지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습니다.
에어팟소년
2024.12.05
조회수
267
좋아요
1
댓글
2
영업납품 신입사원
안녕하세요 영업납품 신입 직원입니다 회사에 사수가 없고 사원이 저 혼자인데 잘 적응할수 있을까요?
주말 좋아
2024.12.05
조회수
219
좋아요
1
댓글
2
계엄..??
서여의도쪽 근무하는데 이번주 출퇴근 괜찮을까요... 아효 북한이랑 전쟁난줄 알았네요
dxow38
2024.12.03
조회수
1,448
좋아요
32
댓글
29
투표 조직개편 어디로 갈것인가
10년간 사업이 부진해 모두 퇴사한 사업부를 맡아 고군분투하였으나, 회사에서 투자도 꺼려하고 (긴축재정), 그 책임은 제가 다 도맡아 승진에서 계속 누락이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결국 사업을 축소하게 되어, 다른 부서로 이동하였습니다. 새로 옮긴 부서마저도 사업성 악화로 분해가 되어, 다른 부서로 다시 이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부서를 맡을 때는, 위기는 기회라는 생각도 있었으나 아무래도 이런 사업성이 좋지 않는 부서로 전전하는 것이 큰 리스크라고 생각이 되는 상황입니다. 또다시 사업성이 안좋은 부서로 추천을 받아서, 고민을 하고 답변을 주기로 하였습니다. 사장님이 투자를 하며 키운다고는 하는데.. 차라리, 현재 잘되는 사업부에서 정착을 하겠다고 반기를 들지, 위기는 기회라고 다시 도전을 할지 고민이네요
ㅎㅎㅎㅎㅎ112
2024.12.01
조회수
617
좋아요
1
댓글
2
질병휴직시에 급여 몇프로 나오나요?
이게 회사마다 내규가 다 다를텐데.. 제가 다니는 회사는 공상, 산재휴직 외에 개인적인 질병휴직시에는 3개월까지 70%가 나온다고 합니다. 4개월째부터 무급이라고.. 그런데 다들 질병휴직하면 무급인줄 알고 있어요. 오픈되어 있는 회사 내규 어디에도 휴직시에 70% 나온다고 되어 있지 않아서.. 이것도 장기 휴직하신 분들이 휴직하니까 3개월까지 70%쯤 입금되어서 깜짝 놀랐다. 4개월째부터 안나오더라.. 라고 하시더군요. 이렇게 있는 복지도 왜 쉬쉬하면서 숨기는지 모르겠습니다.
메달리스트
금 따봉
2024.11.25
조회수
495
좋아요
0
댓글
2
마이너스 연차
마이너스 연차 사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불가피한 경우 2-3개 정도까지는 이해해도, 10개 마이너스가 쌓일 때까지 쓰는건 제한해도 되겠죠? 물론 그렇게 쓸 때까지 둔건 어디까지 하나 보기 위해서였는데 이미 8개 마이너스인데 결국 2개 더 쓰겠다 합니다^^ 그렇게 둔 리더에 대한 악플은 제외하고, 8개 마이너스(가족여행 등) 신청한 직원에 대한 생각이 궁금합니다. 마이너스 연차 관련 제재하는 공지를 했더니, -8개 사원이 아니라 0개인 애가 질문을 합니다 -본인에게 인사팀에서 입사OT당시 가이드를 "내년 4월까지 11개 연차가 있다 생각하고 쓰면 된다" 했음 -전자결재 시스템상 마이너스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 저는 한달 근무하고 1개 생기면 쓰고, 이런 식으로 해야되냐고 질문하는 팀원 생김^^ 저도 갈때까지 가보자고 인사팀에 가이드 확인한 후 추가 공지를 했습니다. ㅎㅎ 그리고 웃긴건^^ 결국 -8개 사원이 퇴사한다고 하네요? -----' 가이드를 1년 단위로 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전자결재 시스템 편의상(마이너스 처리가 가능하므로) 주는 인사팀 가이드입니다. <1년 근속하면 부여될 연차가 11개>라는 뜻이고, 1년이 될 때까지 11개를 마이너스로 다 쓸 수 있다는 말이 아닙니다. 인사팀도 11개로 생각하고 쓰시라는게 마이너스 연차를 막 쓸 것이라는 생각을 안하고 얘기한 것이고, 마이너스 1-2개 정도가 되는 것은 미리 양해를 구하면 됩니다. -----이게 인사팀과 조율해서 공지한 가이드인데 이것도 납득이 안되나요? ***업데이트가 있는데요, 제가 제재를 준지 일주일만에 퇴사하겠다고 하네요^^ 그냥 내일이 없이 살더니 내일이 없이 나가네요
wlfhddl
2024.11.24
조회수
1,597
좋아요
29
댓글
34
회사에서 심리검사 받아보신 분 있나요?
이번에 회사에서 공지떴는데 인사팀에서 새로 마인드카페 EAP 도입했다고 한번씩 상담 받아보라더군요 비밀보장되나요? 상사한테 올라가는건가요?
도레미파미파솔
2024.11.22
조회수
284
좋아요
2
댓글
3
팀원 평가 기준
안녕하십니까. 새내기 팀장입니다. 처음 팀원 평가를 하다보니, 이런 저런 생각이 너무 깊어지는데요. 선배님들의 접근 방식에 대한 조언을 듣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1. 기준 우선 순위 1) 결과물 2) 주도성 3) 적극성 4) 협조성 2. 8개월 신입 (협조성 제로지만 결과 있음) vs 2년차 팀원 (노오력은 하나 결과 없음) 이해가 안가시겠지만, 사회성은 없는 친구와 사회성은 있는 친구. 업무를 대하는 태도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3. 평가를 보통 팀원들에게 오픈하시는지? (아니면 이런식으로 평가했다고 언질은 하시는지?) 4. 정량적인 지표가 없을 수 있는 신입은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너무 어렵네요...ㅠㅠㅠ 그리고 새내기 팀장의 매니지먼트 향상을 위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mimijr
2024.11.17
조회수
13,871
좋아요
184
댓글
108
투표 #수능 #고등학교 #진로 #진학
이제 고등학교 올라가는 아이의 진로 어떤 직장쪽 진로가 더 좋을까요? 본인은 언어와 글쓰기를.좋아하는 어문학쪽(특히영어는 프리토킹과 영화다들림.모의고사에도만점 프랑스 2외국어 잘하는편임) 에 더 특기가 있는데요? 현실은 이과쪽 공대와 만약 성적이 좋게나오면, 바이오나 의학쪽 일자리를 하고 싶다는데 어쩌지요? 저는 사실은 공학쪽을 더 좋아했는데요. 현업은 인문학쪽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이의 미래는 아이가 정하는쪽으로 결정하는게 맞겠지만, 조언을 구해봅니다.
신사리
2024.11.14
조회수
299
좋아요
1
댓글
9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