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부동산금융업을 지속하기 위해 나는 어떠한 자기개발을 하고 있는가?
부동산업에 들어와 현재 6년차인 주니어입니다. 학부는 타전공이지만 석사를 도시/건축/조경 으로 전공하여 부동산업으로 진출하였는데요. 일을 하다보면 회계사 등 라이센스 있는 분들은 확실히 전문성이 보이긴 하나, 제가 학부을 유관전공이 딱히 아니라고 해서 다른 업계 분들에 비해 전문성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요즘들어 남들에 비해 뒤쳐질 수도 있겠다라는 압박감이 있는데요, 부동산업에 계신 분들은 자기개발을 위해 개인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계신지요? 야간 대학원(부동산, mba)다니시는 분들고 계시고,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공부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네트워크를 위해 업계 모임을 주도하시는 분들고 계시고, 스터디 모임을 만드는 분들도 계시고요. 내가 부족하다 생각하는 역량을 채우기 위한 자기만의 노력, 여러분들은 어떤 것들을 하고 계신가요?
클로드듣뷔시
억대연봉
20년 08월 31일
조회수
1,929
좋아요
7
댓글
8
코로나 시대, 오프라인 매장 홍보는 어찌하세요?
인하우스에서 디지털마케팅일을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에도 회사는 매출을 요구하고 있으나.. 팀도 이벤트 기획만 해놓고 계속 연기만 되고 있어 이번달 보고는 지난달과 비슷하네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되니 오프라인 매장을 가지고 있는 저희로써는 SNS에 오시라고 할 수도 없고 코로나 얘기는 내부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주6일 업로드를 진행하고 있기에 매일 뭐라도 올려야하는 상황인데, 디지털마케터는 저 하나로 대행사도 없어서 저번 주말부터 이번주가 가장 난감하네요 다들 어떤 컨텐츠로 업로드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아리ari
20년 08월 31일
조회수
529
좋아요
3
댓글
5
원격의료 투자의 타이밍은 언제일까요?
코로나때문에 언택트 사업이 뜬다고하지만 원격의료는 규제탓인지 아직은 투자할 타이밍은 아니라는 느낌이 들어요.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EVEBITDA
20년 08월 31일
조회수
289
좋아요
2
댓글
10
finder's fee
딜 소싱 입장에서는 사실 finder's fee를 국룰로 인정해주시는 쪽에만 딜을 드리게되다보니 먼저 PE쪽에게 선별적으로 드리게되는것 같습니다. 증권사와 VC에서는 회사내규상 못해주시는것 같구요. (혹시 있으시면 댓글로 말씀 부탁드립니다.) 운용사쪽은 어떠신가요? 바이아웃 딜 뿐만 아니더라도 CB나 RCPS발행 때에 finder's fee를 고려해주시는건 케바케인 것 같더라구요. fee구조 결정요인이 있다면 말씀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반달곰
억대연봉
20년 08월 31일
조회수
430
좋아요
1
댓글
6
광고 대행사 진행 후, 실제 고객들의 반응이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다양한 방식의 대행사 마케팅 리포트를 받아보셨겠지만, 돈을 주고 진행 한 SNS, 블로그, 유튜브, 인플루언서 광고는 담당자 분들이 원하는 내용으로 들어가 있고, 그에 대한 조회수나 반응이 얼마나 나왔는지는 금방 확인해 보실 수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 그 광고를 보고 구매한 실제 고객들의 반응은 어떤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바로 얼마 전, 뒷광고가 한참 논란이 되었었는데 정말 내돈내산 한 고객들이 남기는 voc들이 발전에 더 도움이 될 것 같은데 관리하시는 제품, 브랜드에 대해 SNS 리뷰들을 모아서 볼 수 있다면 어떨까요? 만약 그런 솔루션이 있다면 어떤 기능이 있으면 좋을지 마케터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KaidenAI
20년 08월 31일
조회수
1,363
좋아요
4
댓글
96
AI 기획자는 필요한가?
AI 를 활용한 추천 시스템 같은 서비스의 경우, 단순히 서비스의 이해를 뛰어넘어 적용 시키는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한 기획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과 관련된 분야에 특화된 기획자는 많이 보지 못했는데 여러분 주변에는 그런 사람들이 있나요? 그리고 앞으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해할수 있는 기획자들에 대한 수요는 어떻게 될까요?
datad
20년 08월 31일
조회수
531
좋아요
6
댓글
15
4년차 총무(일반관리) 커리어 방향 고민 입니다.
안녕하세요 서비스업계 4년차 사초생 총무 담당자 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대외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요즘 커리어 설계에 대한 고민이 많아 용기를 내어 업계 선배님들께 고견을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과연 업무를 넓게 아는 제네럴리스트와 깊이 아는 스페셜리스트 중에 앞으로 선호하게 될 인재상은 무엇일까요? 저는 그동안 관리직군의 통합과 멀티화 추세 및 제네럴리스트로 성장하기를 바라는 회사의 목표에 따라 구매, 보험관리, 임대차관리, 자산관리, 사택관리, 인사, 노무, 도급사 관리, 계약, 인장관리 등의 업무를 얕고 넓게 수행 해왔습니다. 다양한 업무 경험을 할 수 있지만 반대로 전문성은 떨어지는 것 같아 갈피를 잡을 수가 없네요 회사의 인재경영 방향과 부합하는 제네럴리스트로 성장하기 위해 비상경계 출신으로 부족한 경영부문의 전반적인 지식 습득을 목표로 삼을 지 아니면 회사의 방향과는 맞지 않지만 재무, 인사노무, 기획, IR등 적성에 맞는 업무를 정해서 차곡차곡 준비를 한 후, 전문분야로 커리어 전환 및 이직 하는 것을 목표로 삼을 지 고민이 됩니다. 선배님들은 어떻게 커리어를 설계하시고 준비하셨는지 매우 궁금합니다. 경험이 일천한 후배에게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nllamm
20년 08월 31일
조회수
267
좋아요
1
댓글
4
고령자 전용 결제 카드 good!!
최근에 사모펀드로 고령자 분들이 많이 피해봤는데 정부에서 고령자 전용 결제 카드와 치매신탁 등 여러 상품을 출시해서 고형자들을 보호하려고 하네요.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적절한 상품인거 같습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고령자 관련 상품이 크게 수익성 있지는 않을 것 같긴 합니다만, 이런 상품들이 많이 나와야 될것 같습니다 http://naver.me/IDEUGtG7
홍키홍키
20년 08월 31일
조회수
365
좋아요
0
댓글
5
업무시간 이외 자기계발 시간
개발자로 지낸지 어연 6년이 흘렀네요 이젠 누가 시키지않아도 더 열심히 공부하고 더 열심히 일해서 회사에서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다들 업무시간 이외에 개인적으로 업무를 위한 공부를 얼마나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개발자6년차
20년 08월 31일
조회수
406
좋아요
0
댓글
8
인사(HR)에서 AI 어디까지 사용중일까요?
최근 신문기사의 제목입니다. "AI가 OK 해야 합격" 제가 다니는 회사도 2년전부터 AI면접관을 도입해서 지원자에게 원격으로 AI면접을 하고 있는데 이런 부분이 금융권 전체적으로 많이 확대되고 있는 분위기 인가 봅니다. 이제는 단순히 AI로 기본 면접을 보는것 뿐 아니라. 역량평가, 자기소개서 평가까지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분위기네요. 자소서의 경우 표절여부와 비문, 동어반복등을 체크하고 역량분야에서는 성격, 성향 유추, 거짓응답 판별한다고 합니다. 지금 취업시장에 도전하는 취준생들이 정말 준비할께 많아지는것 같습니다. ㅠㅠ 개인적으로 IT를 업으로 하고 있는 저로서는 만약 인사팀에서 요청이 온다면 인사DB의 기본정보(인사평가, 개인고충,급여수준,이동발령 기간, 연고지)외에도 개개인의 활동기록 데이터가 수집이 된다면(개인정보 보호되는 수준에서, 회사에 정보제공 동의한 영역들-출/퇴근시간, 인터넷 사용기록, 프린트 기록, 공용공간 CCTV이동기록 등등) 그 데이터를 가지고 퇴사, 이직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인사팀의 성격상 보수적이고 데이터 기반으로 진행하기 힘들기때문에 아주 아주 어려운 문제가 되겠지만요. 최근 직장인들의 대나무숲이라고 알려진 익명앱 블라인드에서 각 회사의 게시판 데이터를 활용해서 경영 컨설팅 사업에 수익화 모델을 한다고 보았는데요. 결국 이게 해당 회사의 기업문화(근무자들의 회사에 대한 생각, 불만, 의견)에 대해 수집하고 이를 회사의 경영진과 인사팀에 제공해서 수익을 꾀하겠다는 B2B모델로 가는것 같습니다. 여러분이 다니는 회사의 HR(인력개발, Human Resource)분야에서 AI활용 하고 계신가요?
데이터과학자
20년 08월 31일
조회수
180
좋아요
0
댓글
2
외국계회사 승진제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사5년차 사람입니다.. 궁금한 부분이 많이 생기고 있어서요, 질문드려봅니다, 구글이나 페이스북등 좀 내로라하는 외국계 기업들은 승진을 어떤프로세스로 진행하나요? 다면평가후에 승진대상자를 뭔가 다른 시험을 보는지 아니면 동료평가로 승진대상자에 들어간 인원들에 대해 경영진 평가를 진행하는지 이런게 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 께서는 조언 좀 해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키엘
20년 08월 31일
조회수
1,668
좋아요
2
댓글
8
중앙경제
조아爪牙에 대한 말씀을 드리려합니다. 하늘의 제왕인 독수리의 무기는 발톱(爪) 이고 지상의 왕자인 호랑이의 무기는 이빨(牙)입니다. 독수리의 발톱과 호랑이의 이빨처럼 자신과 조직을 보호해 주는 강력한 기반을 조아라고 부릅니다. 리더에게 조아(爪牙)는 잘못된 길로 갈때는 바로 갈 수 있도록 충고할 수 있어야 하고 어려울때 최선을 다해 도와줄 수 있어야 하며 리더가 다른 사람의 공격으로 위기에 처했을때 몸을 던져 구해줄 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공자님은 이를 諍友 쟁우라고 했습니다. 진정한 리더가 되려면 쟁우가 적어도 세명 이상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처럼 친구란 많음보다 깊이가 중요한 것입니다. 태산과 같은 큰산과 하늘만큼 넓은 땅과 같은 친구가 진정한 조아이고 쟁우일진데 과연 우리에게는 친구가 몇분이나 계시는지 주위를 두리번 거립니다.
중앙경제
20년 08월 30일
조회수
623
좋아요
9
댓글
5
재택근무할 때, 팀원들간 업무공유 노하우 공유 부탁드려요
회사에서 뒤늦게(!) 재택근무를 하라고 하네요. 다 좋은데, 팀원들간 공동으로 작업해야하는 보고서나 진도 체크 같은 것들이 제일 걸립니다. 여러가지 어플들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으시던데, 노하우나 팁 공유 부탁드려요~!
샤옹이
억대연봉
20년 08월 30일
조회수
618
좋아요
0
댓글
11
하이퍼커넥트가 유니콘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
하이퍼커넥트(아자르 및 하쿠나라이브)가 3~4천억원대 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는 매일경제 기사를 기초로 이번 글을 썼습니다. 하이퍼커넥트가 이 투자를 유치할 경우 우리나라에서 11번째 유니콘 스타트업이 탄생하게 됩니다. (우아한 형제들 제외). 유니콘 스타트업이라 하더라도 지피클럽과 무신사를 제외한 80%의 유니콘은 현재 적자 상황입니다. 성장성에 주력하기 때문인데요. 하이퍼커넥트는 성장성과 수익성을 한꺼번에 갖춘 스타트업입니다. 2019년도 연결감사보고서를 기초로 확인해본 결과 ㅇ 자기자본 수익률은 38% ㅇ 순이익률은 13% ㅇ 자산 회전율은 1.82 ㅇ 재무레버리지는 1.66 가량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상장기업 순 이익률이 3.85%인점을 감안하면 재무적으로 훌륭한 회사구요. 이유는 아자르의 앱에 답이 있는데, 아자르 애플리케이션은 기능을 추가할 때마다 인앱 결제를 해야 좀 비디오 챗 앱답게 쓸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해외에서 95%를 벌어들이는 앱 답게 구글 플레이 기준 터키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 5위,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도 같은 카테고리 상위권에 위치해 있습니다. 참고로 중동에서 인기가 있는 이유는 추정해보니, 그동안 기사에서 등장한 것처럼 문화적인 이유도 있습니다만… UAE의 경우 코로나 이전까지는 스카이프와 왓츠앱 화상전화 기능을 막아놨었구요. 사우디의 경우 통신사의 입김으로 VoIP가 막혀있는 나라입니다. 더 애플리케이션에 유도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https://pickool.net/hyperconnect-now-the-unicorn-startup-status-is-near/
pickool
20년 08월 30일
조회수
553
좋아요
1
댓글
7
이익을 많이 남길수 있는 만드는 영업을 하는 노하우 선배님 조언 부탁드립니다~~
9년차 영업사원으로 다른 분야에서 비슷한 영업을 했던 경험이 있었고 열심히 해서 나름 인정도 받았습니다. 최근 시장상황도 어려워지고 매출도 급감하면서 영업실적에 대한 회사의 압박도 심해지고 영업방법에 대해서도 요구사항이 많아졌는데요, 이익을 많이 남기기 위해서는 현장과 본사에서 만드는 영업을 해야된다는데 이런 영업을 하시는 고수님들의 노하우와 고견을 좀 듣고 싶습니다~~
타이거2594
20년 08월 30일
조회수
1,367
좋아요
0
댓글
9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