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고객에게 상품권 전달시 세금이 나가나요?
회사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중입니다. 국내 대기업에서 대형가전 판촉으로 10만원 백화점상품권 판촉 마케팅지원을 제안 받았습니다. (선 결제처리 후 대기업으로 부터 입금처리) 회사 회계팀에서 해당 건 마디 0.5% 세금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커머스 마케팅 11년차 동안 유가증권(=상품권)이 추가 세금이 발생한다는 이야기는 첨들어서요. 변수(?) 아시는 분있으면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소국왕자
20년 09월 07일
조회수
142
좋아요
0
댓글
4
All in cost 계산법
제목그대로 부동산 pf 에서 all in cost 계산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추가로 취급, 자문수수료율의 기준이라고 할만한게 있을까요..
익플러
20년 09월 07일
조회수
10,566
좋아요
3
댓글
3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자산운용사에서 1년을 지나 이제 2년차인 파릇파릇한 신입입니다. 보통 운용역 달기까지 얼마나의 시간이 걸리나요? (보통) 현직자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자산운용
20년 09월 07일
조회수
328
좋아요
0
댓글
3
리멤버 직무톡 검색 기능
직무톡과 직접 관련 내용은 아니지만... 게시판 검색 기능 없는 건가요? 제가 못 찾는 건지 해서요ㅠㅠ 아시는 분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니어2
20년 09월 07일
조회수
79
좋아요
0
댓글
5
영업 관련 책 추천해주세요
마케팅 영업쪽 책도 두서없이 읽어봤습니다만 좋은책 추천받고 싶습니다. 하고있는 영업은 B2B 입니다.
OML
20년 09월 07일
조회수
1,712
좋아요
5
댓글
12
사회생활 잘한다의 기준이 뭘까요?
너는 아직 사회생활 잘할려면 멀었다... 이 소리를 오늘 들었는데... 사회생활 잘한다는 기준이 뭘까요? 일 잘하는거랑은 별개인거같고... 사회생활 잘하는 방법이 있을까요ㅠㅠ 저말듣고 하루종일 기분이 안좋네요..
주토피아
20년 09월 07일
조회수
265
좋아요
0
댓글
6
2.5단계가 더 연장될거라고 보시나요?
안그래도 타격이 너무 큰데 어찌될지.... 하락세이긴한데... 또 방심하다가 하나 터지면 국면이 또 바뀔거라서 너무 걱정되네요..ㅠㅠ
lawn
20년 09월 07일
조회수
64
좋아요
0
댓글
3
경조사 시 버스 지원 복지를 현 상황(코로나)에서는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안녕하세여 저희는 직원 복지로 경조사 발생 시 원거리에 한해서 버스 1대 비용(회사경비처리)을 지원해 주었습니다. 코로나이후 직원 대상자뿐 아니라 동료들도 경조사에 참여 할 수 없는 상황인데 이런 경우 어떤 대체가 있을 수 있을가요? 직원들이 만족하고 복지제도에 큰 영향이 없는 방향에서 선배님들의 조언 많이 많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선영아
20년 09월 07일
조회수
138
좋아요
1
댓글
8
뉴스레터/콘텐츠 서비스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기획 케이스 스터디나 트렌드 파악을 위해 관련 아티클&콘텐츠 좀 구독하려고 합니다. 이쪽에 좀 문외한인데 찾아보니 너무 많고 다양하네요. 퀄리티 높은 몇몇 서비스만 구독하고 싶은데 추천좀 부탁드릴게요.~ :)
바다여행
20년 09월 07일
조회수
206
좋아요
2
댓글
6
OKR등 설정할때 이론을 얼마나 따라야 하는지?
예를들어 Objective는 정성적이고 가슴뛰는 것으로 설정돼야 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정량적이면 안되는 걸지요? 정량적이어도 KR을 포함하면서 가슴뛰는 목표를 세울 수 있을 것 같은데.. 물론 정량적일 경우 의도와 다르게 목표가 채워져버린다.. 라는 문제점을 보기도 했지만 너무 모호해지는 듯 하여서요.
베틀네트
20년 09월 07일
조회수
1,047
좋아요
1
댓글
10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낮춘다네요
중개수수료율 인하 검토 비롯해 상한요율 5단계→5단계 이상 세분화 검토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4722755 집값 올라서 그렇다는데, 그러면 집값 내려가면 수수료율을 다시 낮춰줄 것인지? 궁금하네요. 힘든 중개사들도 많은데요.
기본프로필
20년 09월 07일
조회수
3,014
좋아요
14
댓글
60
여러분 회사에서 혁신활동은 어떻게 하시나요? 혁신활동이 성공적이신가요?
혁신이라는 용어가 한참 오래전에 지나간 듯 하지만 실제 기업경영에서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끊임 없이 추진해가야 한다 생각됩니다. 아래 저의 경험을 담아보았습니다. 여러분 회사에서는 어떻게 하시고 계신지, 그리고 그 활동은 성공하시고 계신지 노하우를 알고 싶습니다. * 아래는 멕시코 친구들과 같이 메일/블로그로 공유하는 글입니다. 참고로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혁신의 기본은 구체적 실행이다.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혁신과 끊임없는 개선이 필요하다. 기업 구성원들 각자의 혁신에 대한 아이디어와 절실함을 가지고 구성원들이 속해 있는 부서나 직책에 맞는 리스트를 작성하여 하나하나 확실하게 실행해 가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통상 조직에서 혁신은 혁신을 진행하는 부서나 조직의 리더들만이 관심을 가지고 이뤄나가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기 쉽다. 그만큼 혁신 하면 뭔가 거창하고 커다란 그림과 같은 것이라 생각되어지기도 한다. 나는 혁신을 다른 방향에서 접근하였다. 혁신이란 무엇인가? 그냥 지금까지 너무나 익숙하게 해왔던 지난 모든 업무 형태들을 뒤집어 엎는 것이 혁신인가?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기존의 업무 형태들이 잘 못된 것들이었다면 우리 기업은 지금까지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나는 내가 혁신이라 생각하고 진행했던 아주 작은 행동들을 여기서 서술해 가려 한다. 멕시코에서 철강 가공법인 법인장으로 근무를 마치고, 생산법인의 CMO로 발령을 받아 부임하였다. 부임하자마자 나는 나 나름대로 내가 필요한 기존의 판매 실적 분석을 하였다. 연간 판매 목표부터 월별 판매 목표 및 실적을 분석하고, 판매에 따른 생산, 재고 등의 숫자를 분석하였다. 이후 고객을 산업별로 구분하여 보았고, 구분된 고객사별 판매 목표 및 실적에 대한 숫자를 살펴 보았다. 일별 분석을 통해서 무슨 요일에 판매가 주간 최고점이 되는지를 확인하기도 하였다. 매출과 영업이익을 연결하여 분석하기도 했고, 각 팀별로 판매목표 및 실적을 나열해 보기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나는 내가 CMO로서 법인의 판매를 확대하고, 이를 영업이익과 연결시켜 나갈 수 있는 리스트를 만들었다. 나는 언제나 구체적 실행을 중시한다. 연간 목표를 설정하여 진행을 하면서 실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고, 팀장들은 무엇을 해야 하고, 팀 구성원들을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집중한다. 이에 따라 나는 우리 마케팅부서에서 혁신해야 할 리스트를 만들었다. 만들어 놓은 리스트를 줄이고 줄여서 100여개가 되었고, 이를 내 책상 앞에 있는 화이트보드에 번호를 붙여서 적어 놓았다. 우리 회사, 특히나 마케팅 본부의 혁신은 확정된 판매 목표를 달성하고 이익을 실현해 감과 동시에 고객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 발전하고, 신규 시장 개척을 통하여 회사의 지속 성장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회사의 판매 목표를 각 팀별 목표로 세분화하고 이를 개인이 담당한 고객사별로 목표를 보다 더 세분화하여 운영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을 진행하면서 나는 구성원들에게 몇가지 강조하면서 진행되었던 활동들이 있다. 한 예를 들자면, 판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들을 병행하면서 나는 직원들에게 메일 회신에 대해 강조 하였다. 우리 회사가 지속 성장 발전하는데는 어느 기업이나 마찬가지로 고객 가치를 가장 상위에 두어야 한다. 우리에게 있어서 고객은 같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해 가야 하는 동반자적 위치에 두어야 한다. 나는 매일 고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활동을 생각하였다. 그중에 하나가 신속한 메일 회신이었다. 아울러 이는 혁신 활동의 작은 실천이었다. 나는 우리 구성원들에게 고객들이 궁금해 하지 않도록 하자고 제안하였다. 고객이 우리에게 주문한 물건이 생산완료가 되었다면 완료 여부를 알려주고, 트럭이 배차되어 운송중에 있다면, 당일 몇시면 고객사의 공장에 도착하는지 알려주고, 만약 돌발상황이 발생되었다면 그 상황에 대해서 알려주고,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엇을 하겠다라는 것도 알려 주라고 했다. 사전에 먼저 알려 준다면 가장 좋겠지만, 때론 고객사에서 먼저 물어오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엔 메일을 수령한 즉시 회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객사에서 메일을 보내왔을 경우 즉시 회신하는 걸 강조하였다. 만약 물음에 대한 답을 즉시 할 수 없다면, 언제까지 답을 주겠다고 명시하여 회신을 하도록 하였다. 실제로 쉬운 일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무 담당자들에겐 쉽지 않은 일이 될 수도 있다. 하루에 수없이 많은 메일들이 들어오고, 이를 일일이 대응하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나는 고객사의 메일에 대한 회신은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강조하였다. 여기서부터 우리의 대 고객 서비스 향상을 시작하자고 했다. 이는 우리가 실행했던 혁신 활동의 한 예이다. 나는 아직도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구성원 모두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작은 것이라도 매일 실행을 해가야 한다고 확신한다. https://beanexcellentleader.blogspot.com/
rhino126
20년 09월 07일
조회수
253
좋아요
0
댓글
2
생산직에서 노조 간부로의 보직 이동 어떻게 생각하세요?
제목 그대로입니다. 이런 오퍼가 드물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경험있으신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구피
20년 09월 07일
조회수
191
좋아요
1
댓글
4
수출채권만 있으면 바로 현금 지급?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721592 유동성 문제로 골치 썩으시는 업체들 있으시면 확실히 도움이 되겟네요 다만 이전에도 수출채권만 가지고 대출받는 프로그램을 놓고 온갖 사기업체들이 횡횡했는데 아예 현금을 준다고 하면 더더욱 그런 업체들이 늘어나지 않을지 우려되네요.
망고
20년 09월 07일
조회수
132
좋아요
0
댓글
4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