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단건 계약에 다중 선적인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할가요?
안녕하세요. 무역 초보 업체에 직원입니다. 회사 규모가 작다보니 어찌 어찌 배워서 무역 업무도 보고 있습니다. 보통 저희는 액수가 크지않은 계약(바이어)를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한건 계약시 한개의 업체에서 제조된 물건을 거래합니다. 그러나 최근 진행중인 계약은 A라는 업체와 계약을 진행하고 해당 업체는 총 4개의 국가에서 물건을 제작/선적할 예정입니다. (물품 구매 계약서는 1건, 물품 제조국은 4개업체) 물품 대금은 LC진행인데요. LC 지불이 선적 서류 제공시 한건이 아니라 선적 서류 제공시 XXX원, 그후 업무 진행 완료시 또는 특정 기간후내 XXXX원을 제공과 같은 형태입니다. 이렇게 몇개의 지불이 하나의 LC에 들어 있는 경우를 처음보니 매우 헷갈리네요. 제 생각에 업체는 4개국가에서 다른 포트를 이용해 선적한다면 1. 각 선적별 선적서류와 원산지증명서 등을 제공해야 하는게 아닌가요? 2. 1이 맞다면 LC 오픈시 선적 서류는 4개를 다 받는 걸로 명시되어야 하지 않나요? 아니면 대표 선적 1건만 진행이 되는게 맞을가요? 코로나로 함든 시기에 다들 힘내세요!
무진장
20년 09월 23일
조회수
739
좋아요
2
댓글
11
콘텐츠 아이디어 어디서 얻으시나요?
페이스북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는데, 콘텐츠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네요 ㅠ ㅠ 다들 콘텐츠 만드실 때 어디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이탈리아순록
20년 09월 23일
조회수
511
좋아요
0
댓글
10
여러분은 팀장 운 어때요?
누구의 리딩을 받느냐에 따라 커리어가 천차만별이구나... 라는걸 느끼고 있는 주니어입니다. 여러분의 리더는 어때요? 어떤 장/단을 갖고 있으며 그게 내 성장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요? (물론 제가 잘 해야하는 것도 있지만, 팀장과 팀원의 관계에서요 ㅎㅎ)
연날리기
20년 09월 23일
조회수
268
좋아요
0
댓글
1
건설 현장 휴무의 건.
대기업은 주5일 시행에 따라 현장에서도 휴무를 조정해서 직원들 휴무를 보장한다고 들었습니다. 현장 직원의 수가 많지 않은(10명 미만) 현장에서는 직원 휴무를 어떻게 실시하고 있나요? 10여년 전 1군 건설사 근무시에는 격주로 1주는 1일, 1주는 2일 휴무를 실시 했었는데... 지금 현재는 어떻게 휴무를 실시하는지(회사 규모, 현장 직원 수 등 포함) 알려주세요. 제가 다니고 있는 현재 회사는 본사는 주5일. 현장은 매주 일요일 휴무. 매월 1회 토,일요일 휴무 실시 중 입니다. (현장직원 수는 한자리 수 이하 입니다.)
건설인90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340
좋아요
1
댓글
14
탄소배출권거래소 국내설립은 괜찮은가?
탄소배출권거래소 ess 타겟으로 국내설립한다고 하여 투자유치 상담을 받았습니다 앞으로 국내 성장성 있을까요? ㅎㅎ
신호진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47
좋아요
0
댓글
1
재난지원금 정책은 누굴 위한 정책일까요?
국민을 위해? 정책을 입안한 사람의 자기만족? 민원 일선에서는 힘이드네요. 어떤 정책을 당연히 전체를 만족시킬순 없어서 만들면 욕은 먹겠지만 비대면일거고 대면 행정하는 일선에서는 정책을 공감못하는 사람들을 대면해야하니 곤혹스럽네요. 1차 재난지원금 지원때도 욕받이 신세였고 이번에도 본의아니게 욕을 받아 낼게 보이네요...모든 정책을 만들때 현장의 목소리도 듣고 반영해주면 좋겠습니다. 걱정이 크네요.
askdlfja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43
좋아요
4
댓글
0
로펌 사무원 근무중이신분 계실까요
이번에 로펌 사무원으로 이직 고려중인 사회초년생입니다.. 현재 재직중인 회사가 있지만 직무가 너무 맞지 않기도 해 다른 진로를 찾아보던 결과 제가 원하는 분야에서 일을 할수있겠구나 싶은곳이 로펌 사무원입니다. 혹시 재직중이신분 계신다면 근무여건이나 기타 정보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남자라서 채용이 별로 없지 않을까도 걱정입니다..
어찌해야할까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72
좋아요
0
댓글
0
조건이 평등한 환경시장의 경쟁을 유도합시다.
폐기물이 있습니다. 이것을 그냥 태우면 소각이랍니다. 그런데 잘게 부셔서 털거나 성형을 하면 연료랍니다. 그란데 시멘트 소성로에 들어가면 재활용이랍니다. 똑같이 태우는 시스템인데 가장 법규가 강하고 규제가 심한쪽이 소각업인데 단순 소각이라고 하고 고형연료를 사용하면 보일러시설이라하고 시멘트소성로로 들어가면 재활용이라네요. 모두가 소각아닌가요? 소각은 재활용이 아니니깐 처분부담금을 내라고 합니다. 물질재활용 되지 않는 잔재물들은 방치해 버리는 사태가 비일비재합니다. 왜냐면 에너지로 가치가 떨어지니깐요. 그러니 소각하려면 열량이 떨어지고 재가 많이 발생해서 원가가 많이 들수 밖에 없습니다. 재활용업체에서 나오는 토분은 중간과장을 거처 성도재나 건폐처리업체로 들어갑니다. 그런데 소각업체에서 발생하는 토분은 재위탁이니 그냥 소각하라고 합니다. 누가봐도 소각이 비쌀수 밖에 없는 구도를 만들고 있으면서 각종 뉴스나 환경하는 분들은 소각단가가 비싸서 처리되지않아서 방치폐기물이 생긴다고 합니다. 방구낀 사람들이 성냅니다. 폐기물은 신고후 반출, 처리, 재고란 단순한 시스템입니다. 처리되지 않으면 남습니다. 물질재활용, 에너지재활용 간딴합니다. 재활용은 온전핫 처리(사라지는게)가 아닙니다. 처리해야 재고(방치)가 줄어듭니다. 쓰레기는 발생량이 줄거나 처리량이 늘어야 재고량이 줄어듭니다. 산수를 과학으로 착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폐기물처리업체는 소각업체, 시멘트업체, 제지업체, SRF업체입니다.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을 하도록 해야합니다. 편견을 버리고 제발 안전한 깨끗한 나라를 만듭시다.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져주십시오. 그리고 제발 쓰레기를 줄입시다.
항웃행사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88
좋아요
0
댓글
1
기업 sns 채널 어떤 걸 운영하시나요?
요즘 채널 트렌드도 바뀜에 따라 기업 채널도 움직임이 있어보이는데요. 어떤 채널을 주로 운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꼰머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85
좋아요
0
댓글
5
산업단지 근처 아파트 개발
자꾸 시행사에서 이상한 개발건을 물고 오는데 위에서는 분양성 조사를 하라고 합니다. 작은 산업단지 근처 신축 아파트.. 읍내도 아닌 근처 면내(?)에는 20~30년된 20평대 아파트 8000만원에 거래되고 있구요.. 아무리 분양가를 싸게 책정하더라도 당장 똑똑한 1채 수요하려는 심리가 팽배해진 지금 누가한테 분양할까요.. 돈이 될 것만 가져와야지.. 메이저가 아니라 이것저것 다 먹으려고 하네요. 체할 것 같습니다
코기월킹
20년 09월 23일
조회수
539
좋아요
0
댓글
2
상관운 있으신 분들, 직장생활은 어떠신지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혹시 사주 믿으시나요? 사실 저는 사주를 잘 믿지 않았는데, "상관운"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상관운 링크(https://shinmyo.tistory.com/5) 내용을 보니 제 상황과 너무 맞더라구요... 특히... "내가 뭘해도 밖에서 구박받고 시비당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 제 능력을 키우고 노력해도 가끔은 별것도 아닌 것을 문제 삼는 불편러들 때문에 회사생활이 조금 힘드네요 ㅎㅎ (아, 물론 업무성과적인 측면에서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저처럼 남자 상관운 있으신 분들... 조금만 더 힘내고 회사생활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홈넌볼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097
좋아요
0
댓글
2
블로그 대행사 어디가 잘 하나요?
안녕하세요. 핀테크 관련 스타트업에서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저희 어플은 투자 관련한 서비스인데요. 이번에 인플루언서 블로거를 통해 마케팅을 진행하려고 해요. 직접 인플루언서와의 접촉은 리소스가 많이 소요돼서 대행사를 끼고 하려고 하는데요. 추천해주실 만한 업체 있으실까요?
이탈리아순록
20년 09월 23일
조회수
700
좋아요
1
댓글
8
젊은 직원들 추석 선물로는 어떤 것이 좋을까요?
20대 후반이나 30대 초중반 직원들에게는 어떤 추석 선물이 좋을까요? 금액대는 5만원대 전후 정도... 10만원정도 까지도...
캔버스
20년 09월 23일
조회수
436
좋아요
0
댓글
14
창업 프로그램에서을 운영하면서 지원기업 선정시 심사그룹이 여러개 있을 경우 평가방법에 대해 여러분들의 의견을 묻고자 합니다.
창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다. 지원기업이 많을 경우 서류평가를 통해 2~3배수로 1차 선정을 합니다. 심사위원 몇명이 전체를 심사하지 못하는 경우 심사그룹을 여러개로 편성하여 평가를 진행하게 됩니다. 평가 전에 사전교육을 통해 선정기업에 가이드라인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심사위원들마다 후하게 주기도 하고 박하게 주기도 합니다.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기준이나 달라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A 그룹은 80~90점 정도를 평균적으로 주고 B 그룹은 70~80점 정도를 평균적으로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다 보면 A그룹이 대부분 2차평가 대상으로 선정되고 B그룹은 거의 떨어지게 됩니다. 심사위원들에게 어떻게 가이드를 주어야 제대로 선정할수 있을까요? 여러분들의 의견을 묻고자 합니다.
물류창업대부
20년 09월 23일
조회수
124
좋아요
0
댓글
6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