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나)는 왜 박봉임에도 디자인을 계속 하고 있는가
하다보니 할줄아는게 이것뿐이라
계속 이 일을 하고있는 공간조명디자이너 입니다.
공공공간, 건축외관, 교량 같은 외부경관의 조명을 디자인 하고 있고요,
디자이너라 부르지만
계획, 분석, 내역, 설계, 시안, 보고서 다할줄 알아야
할수 있는 일이기에
이게 디자이너인지,, 뭔지,,ㅎ
아주 포괄적인 직무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공공이라는 분야에서 디자인 하시는 분들이 계신지..
계시다면 어떤 마인드로 이 쪽을 계속 해오시는지 궁금하여 글을 써봅니다.
온갖 무형적 가치 들이대며 유의미함을 넣어가며 복잡한 심의 거쳐가며 일할수 밖에 없는 이 '공공'이라는 분야..
다루는 범위가 크기때문에 업무자체가 상당히 딱딱하고, 법령도 많고, 평가절차도 많습니다.. 건축처럼 사업비도 크기때문에 상당히 신중한 계획을 요구 하구요..
건축하시는 분들이 서브로 같이 계획하는게 빛이란 분야인 만큼
가벼운 시선으로 접근할 사업군은 아닌거지요..
그런 무게감에 비해 이 업계의 연봉 현실은 참..
개선이 안되네요.
15년이 되었는데 아직도 5천 언저리...
요구받는 난이도, 깊이감을 충족하기위해 공부할것도 많은데,
사람이, 특히 사회인이 중요하다고 여기는게 무엇이겠습니까?
가성비 이지요.
참 가성비가 떨어집니다.
무엇을 위해 이것을 해야하는가 생각하다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이 공간? 지역? 나라? 생각이 꼬리를 물고 커지면서 부담스럽고 디자인 하기가 겁이나요. 잘하고 싶어집니다.
그냥 가볍게 돈만벌면 된다란 식의 사업가들은 이런 디자이너를 또 부담스러워 합니다.
해달란대로 그려주기만 하면 되는데 생각이 너무 많고.. 그들이 보기엔...
하지만 사업자들 영리에 맞추다보면....많이 배우신 분들의 지적이 시작되고, 이걸 직면하는건 계획자가 됩니다.
업계의 영리와, 학술계의 이념이 무진장 충돌합니다.
이 업계의 디자이너는 사업가도 학자도 아닙니다.
하나 택1해보자면 학자의 마인드로 일을 해야 그나마. "미"와 "기능"을 충족하는 거고...지역이나 예산에 해를 안끼칩니다...
이런 마인드는 연차가 쌓일수록, 일에대한 책임감과 신념이 생길수록 깊이가 더해가더군요..
그저 그림과, 공예가 좋아서 시작한 미술이었는데,
지금의 현실에 와 있네요.
지난시간을 뒤집어 엎어, 다른 예술분야로 손가락빨며 살지..
이곳에서 그나마 이 연봉이라도 받으면서 부담감에 눌려 살지..
딜레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