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메가마트 어떰?
메가마트 제안왔는데 처우나 분위기 어떤가요?
dkgnek
2023.08.16
조회수
215
좋아요
1
댓글
2
토스로 순찰하기
요즘 토스에서 친구가 로그인하면 10원 주는게 있는데 본의아니게 토스를 잠깐 키면 그때마다 직원들 이름이 뜨네요 ㅋㅋ 그쪽에도 홍*동 이런식으로 뜰텐데 업무시간 중 딴짓하다 걸렸다고 생각할지 어떨지 궁금하네요. 물론 그렇게 뜬다고 뭐라 하진 않아요.
늙어지면못노나니
2023.08.16
조회수
202
좋아요
1
댓글
2
투표 이직 VS 전문 자격증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로 3년차 계약직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당. 저의 업무는 회계, 인사, 총무 다 합니다 ㅎㅎ 근데 3년차가 지나면서 자기개발 욕구와 이제는 한 직무에서 경력을 쌓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두가지 방향에서 고민중입니다. 아예 인사팀으로 이직을 준비할지/남은 계약기간을 채우면서 직장병행으로 전문 자격증을 공부할지입니다. 현재 고민이 되는 부분은 1. 이직(연봉, 상여, 인센티브 현재보다 훨씬 많이 받으면서 인사 업무만 담당) 2. 계약기간동안(약 2년반 남음) 워라밸 잘되고 나름 복지좋은 현회사에서 전문자격증 공부하기
뭉쟈뭉쟈
2023.08.16
조회수
379
좋아요
0
댓글
2
퇴사 통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안녕하세요 스타트업에서 경영지원업무 1년차입니다. 최근에 갑자기 이 회사에서 하는 업무가 너무 하기 싫고 회사에 발전가능성이 보이지 않아 퇴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요즘 조금 바쁠 때이긴 한데 혹시 8월말 퇴사를 지금 통보 하는건 너무 늦은 걸 까요 ㅠㅠ 근로계약서에서는 1달전에 말하라고 하긴 했는데, 지금 상황으로는 최대한 빨리 나가고 싶어서요 .. 다른분들은 보통 퇴사 몇 주전에 통보하시나요? 그리고 저희가 워낙 소수라 .. 퇴사 통보 루트를 사직서 -> 통보 / 통보 -> 사직서 이 두가지중 어떤 루트로 진행하면 좋을까요?
국수
2023.08.16
조회수
1,146
좋아요
2
댓글
12
HR부서 담당자님들ㅜㅜ 꼭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저는 프리렌서강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분야는 문화예술분야로 개인 공방에서 오시는분들과 간혹 공공기관 단체수업으로 많이 하고있습니다 간혹 타 선생님들 경우에 사기업출강을 많이 가시더라구요 저도 기업출강을 통해 커리어업과 힐링시간을 드릴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해보고싶습니다ㅜㅜ 어떻게 하면 기업 출강을 할 수 있을까요? 기업에 인사팀을 하시는분들이 출강 수업하시는분들을 어떤 루트로 찾는지 궁금합니다ㅜㅜ 아니면 제 이력서랑 강의계획서를 여러 회사들 인사팀에 우편으로 보내면 괜찮지않을까 고민중인데 ㅜㅜ 요방법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흑흑 알려주시는분 복 받으실거에요🩷🙏 감사합니다
마음지기
2023.08.15
조회수
1,001
좋아요
0
댓글
9
중소기업 청년 대출 질문드립니다
기본급 3300으로 계약했고 인센은 제외인데 중기청 대출 소득 기준이 단독가구는 3500으로 알고있습니다 제가 전 회사(기본,인센 포함 3300)를 퇴직하고 9월 1일부터 이직한 직장에서 새로 일을 시작합니다. 전 회사 급여는 인정이 되지 않고 이직하는 회사에서 새로 두달치 급여를 기준으로 해서 연봉 계산을 한다는데, 3300을 세금 떼면 한달 245정도 되잖아요..? 만약 한달 세후 급여가 인센 포함 270이나 280으로 된다고 한다면 대출을 받지 못하는건가요? 아니면 계약 연봉이나 기본급으로만 계산이 되나요?
또띠ya
2023.08.14
조회수
2,052
좋아요
4
댓글
4
500명규모인데 3명중 1명이 팀장이상입니다
혹시 비슷한 규모의 다른 분들은 비율이 어느정도되시나요..? 직책자비율이 30프로네요ㅠㅠ
comfo
2023.08.12
조회수
1,590
좋아요
3
댓글
8
경력이직시 조기진급 연차 어떻게 산정되나요?
대기업에서 대기업 이직 준비중입니다. 제가 1년조기진급하여, 과장1년차인데(9년차) 실근무기간은 7.5년입니다. 이런경우 이직하는회사에서 연차를 9년차로 인정해주나요??
마드리드
2023.08.12
조회수
2,983
좋아요
2
댓글
16
IC Rubber socket 기술 매니저
IC Rubber socket 기술 매니저 업무 책임: 1. 전도성 접착제 포장 연구 개발 프로젝트의 설립을 완료하고 전면적으로 추진한다. 2, 전도성 접착제 포장 프로젝트 연구 개발 계획의 수립, 실행을 담당하고 제품의 전반적인 구조 설계, 도면의 제작을 완성한다. 3 전도성 접착제 제품의 생산 공정, 생산 공정을 주도하고 생산 과정에서 각종 이상 처리. 4 신제품 샘플링 처리 각 단계의 검증 및 개선을 담당한다. 5 제품 품질 검증 기준 제정을 담당한다. 6여섯, 제품 양산 추진 및 지속적인 개선을 담당해요. 7 전도성 접착제 프로젝트 자료 보관. 직무 요구 사항: 1. 마이크로 전자 및 전자 공학 관련 전공으로 전기 성능 테스트에 익숙하다. 2.3년 이상 자동화 전도성 고무 전도성 클램프 업계 동종 직무 경력 3 전도성 접착제 재료의 성능에 익숙하다. 4, 전도성 접착제 접촉 제품과 PCB 사이의 전도성 공정 관련 원리에 익숙하다. 5 다섯, 논리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이 강하고, 성실하고 꼼꼼하게 일하며, 책임감이 강하다. 좋은 대인관계와 소통 능력, 프로젝트 관리 능력, 강한 리더십과 팀워크 의식을 가지고 있다. 6 여섯, 컴퓨터 조작이 능숙하고, 중국어로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이 우선이예요. A)월금: 900만위안(세전) B) 아파트 한 채 제공 C) 입사 3개월 후 만들어진 전도성 접착제의 다양한 지표의 품질은 최소한 시중에 나와 있는 유사한 제품과 동등하거나 심지어 상대방보다 우수합니다. D) 독립적인 회사를 설립하고 일을 잘하면 소량의 실주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근무지: 중국 심천 면접 방식: 화상면접 (화상면접통과 후 현지 면접 상담 연락방식:865360422@qq.com
동신양
2023.08.12
조회수
107
좋아요
0
댓글
0
해고통지 후 실업급여
한국 사이트가 철수하게 되어 8월 초 해고되어 실업급여 수령 대상자가 되었습니다 다른 기업에 합격에서 8월 말일날 입사하기로 했는데 이 경우 실업급여 신청을 하는것이 이득인가요 아니면 신청하지 않는것이 이득인가요?
또띠ya
2023.08.09
조회수
991
좋아요
2
댓글
8
MBA는 언제 따는게 좋을까요?
일을 하면서 직장인 MBA를 취득하고 싶은데, 조금이라도 젊을 때 머리가 잘 돌아갈 때 시작해야 할까요, 아니면 어느정도 연차가 쌓이고 취득하는게 좋을까요? 저는 2년차 HR 주니어인데, 외국계기업 패스트트랙으로 입사해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일을 하면서도, 그리고 주위 선배들을 봐도 승진하거나 인사기획쪽을 하려면 석사 학위가 필요하겠더라구요. 조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애호박전좋아
2023.08.05
조회수
2,134
좋아요
8
댓글
16
산업안전기사 응시 자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전문대(경영학) 전공하고 회사에 안전 관련 업무로 재직중인데요 산업안전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하는데 4년제 졸업 자격이 필요하더군요. 그래서 학점은행제나 다른 자격을 갖춰서 시험을 응시하고 싶은데 학교를 경영으로 졸업하고 학점은행제에서 학점을 맞춘 다음 산업기사 응시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cbum
2023.08.04
조회수
1,090
좋아요
7
댓글
12
조직문화 신입 고민
안녕하세요 ~! 고민이 있어 글을 쓰게 됐습니다. 한줄 요약하자면 50명이하 기업컨설팅회사 “인사+총무+조직문화” 업무에 합격했는데 연봉이 생각보다 낮고(3,000 3개월 근무 후 협상가능), 사무실이 오피스텔입니다 조직문화 직무는 신입을 잘 구하지 않아서 총무쪽에서 비슷핰 업무경험을 쌓았습니다! 계약직으로 9개월동안 일했고 대기업이라 근무환경 복지 등 마음에 들었어요.. 지금은 다른 회사에서 총무 아르바이트 하고 있고용 잡일은 여태 많이 했었는데 또 제가 하고싶은 일보다 잡일만 하게될 지 걱정되네용.. 여러분이면 가실건가요? 아님 다시 도전하실건가요? 정리안되게 구구절절 말씀드려 죄송해용! 조직문화관련 조언도 해주셔듀 됩니다〰️
밍밍몽
2023.08.03
조회수
1,361
좋아요
1
댓글
4
수습기간이 한참남은 역량부족 직원..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ㅜ
항상 게시판에 남겨진 고민과 댓글 조언을 보면서 부지런히 공부하고 있는 스타트업 인사담당자입니다. 제가 쓰게 될 줄은 몰랐는데요 ㅠㅜ 마케팅 경력직무로 입사하여 3개월의 수습계약 중인 직원이 이제 한달 반정도 근무를 한 시점인데 업무 역량이 신입사원보다 못한 수준이라 해당 부서에서 고민이 엄청 많은 상황이에요. 당연히 3개월을 다 채워서 근무 종료하는 것이 맞겠지만 지금 남은 2개월동안 아무런 일을 드릴 수 없을 만큼 주변 동료들의 노력만 들어갈 뿐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점이 없네요.. 아르바이트생이 하는 단순 사무 업무로 직무를 돌려서 드리는 것도 고민중인데 혹 더 좋은 솔루션이 없을까 고민되네요. 당사자분께는 지금까지 계속해서 개선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드리고 설명을 드리고 해도 아침에 들은 내용인데 오후에 바로 다른 시키지도 않은 일들을 히고 있는 상황입니다. 답답.. 오랜 경험으로 이런 상황에 어떻게 인력관리를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
cmz9150
2023.08.02
조회수
2,237
좋아요
7
댓글
17
직위/직급별로 가져야할 스탠스
어떤것이 있을까요. 뭐 신입은 빈칸채우는 업무를 해나가는 것, 많이 묻고 많이 배우고, 문제가 생기면 바로 보고하는 것... 그럼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나아가 팀장과 팀원의 업무 스탠스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그 자세를 구분하기가 쉽지않네요. 어디는 대리부터 모든걸 주도적으로 해나가고 책임져야한다고 하고, 어디는 부장 언더로는 제한된 분야의 책임만 가지고 주어진 업무를 얼마나 전문적이게 하냐의 차이라고도 하고...ㅎㅎ 리멤버 분들의 고견은 어떠신지요....
suuuu
2023.07.30
조회수
1,821
좋아요
10
댓글
7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