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입사지원시
다른분들은 여러곳 지원 한 뒤 면접보고 하는것일까요?
H군
2024.01.20
조회수
801
좋아요
0
댓글
3
인사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HR종사자분들의 의견을 요청드립니다
댓글로 의견들을 좀 부탁드리고싶어서요. 현재 회사의 인사평가를 진행해보니 무엇이 맞는건가 하는고민이 들었습니다. 해당기간동안의 실질의 성과를 측정하고 그 성과에 대한 평가와 보상을 연계하려고 많은 고민을 했는데..실제 과정에서의 결과는 해당 기간의 성과보다 전반적인 지금까지의 업적이나 퇴사를 방어하기위한 결과가 우선시 되는것 같아서 머리가 복잡하네요.. 이것을 개선하기위해 계속 노력해야하는게 맞는건지 받아들이고 조직이 운영되기위해 보조적장치로 활용하면서 진짜 고성과자나 핵심인재를 지키기 위한 평가로 생각해야하는건지 속이 시끄럽습니다^^;; 현업에 종사하시는 다른분들은 어떠신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구름위산책
2024.01.19
조회수
1,152
좋아요
9
댓글
9
ㅠㅠㅠ
경영지원해도 일이 끝이 없음 다들 그러시나요
완전행복
2024.01.19
조회수
1,627
좋아요
9
댓글
10
HRD 주니어 커리어
이제 1년차된 스타트업 주니어입니다! 팀장이 HRD를 해보라고 해서 온보딩과 교육분야를 조금씩 시작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주로 총무 업무와 연차관리만 했었구요! 다만, HRD쪽으로는 아직 아무것도 없어서 정말 제가 다 처음부터 끝까지 해야하는 상황이고 제가 주도해서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물론 저도 장기적으로 HRD를 하고 싶은 건 맞지만, 스타트업에서 맨땅에 헤딩하듯 하다보니 아직 경험의 깊이가 낮아 한계가 느껴지네요.. 여기서 얼마나 다닐지 모르겠지만 주니어의 스타트업 HRD경험이 이직시장에서 매력적인 커리어가 될까요?
주다움
2024.01.18
조회수
1,425
좋아요
1
댓글
4
투표 프리랜서나 에이전시를 통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 있는 회사가 있을까요?
투표외에도 번거로웠던 부분, 개선할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HRerr24
2024.01.17
조회수
63
좋아요
0
댓글
0
창업자 출신 연봉 어느정도 될까요?
경영지원/전략기획/사업기획으로 합류 예정이고 회사 규모는 시리즈 A, 10~20인 규모에요 저는 3년차이고 대표님께 스카웃 제의를 받았어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혜베
2024.01.16
조회수
1,031
좋아요
0
댓글
2
투표 어느팀에서 하는게 맞을까요?
회사 사옥을 보유하고있고 건물내 공실을 임대관리하고 있어요 그중 아래의 업무를 어느부서에서 하는게 맞을 까요? 1. 임대계약관리 업무 2. 업무용차량관리, 재물관리 업무 3. 대관(회의실)시설 운영관리 업무
일반총무
2024.01.16
조회수
1,029
좋아요
3
댓글
4
총무, 인사 인사평가서
안녕하세요 작년도 처음 입사하여 개인 인사평가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적다보니 금년목표에 대해 작성하는 부분이 있는데 몇개 적다보니 어떤걸 적어야할지 감이 잘 안 잡히더라구요. 세부 내용까지는 아니더라도 좋은 내용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rrrrl
2024.01.15
조회수
657
좋아요
2
댓글
1
복지팀으로 발령이 났는데, 기금법과 근로복지기본법 등 학습할 수 있는 사이트나 교육기관 등 조언 부탁드립니딘.
안녕하세요. 회사내에서 복지팀으로 발령이 났습니다. 새팀에서 새로운 업무를 받아 열심히 해보려고 합니다. 실무는 다행히 팀원분들과 전임자분을 통해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있는데, 지금 하고 있는 업무가 왜? 하는 건지? 정확하게 규정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건지 등 고민이 많습니다. 또 지금 시행하고 있는 것들을 보완하고 더 발전시키고 싶기도 하구요.^^ ㅇ 추천 원하는 것 1. 우리사주 관련 참고할 수 있는 카페나 사이트 2. 복지 관련 기금법과 근로복지기본법등에 대새서 실무적인 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이나 교육업체 복지업무를 새롭게 시작하는 새내기에게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내일처럼 생각
2024.01.15
조회수
497
좋아요
0
댓글
1
차라리 징계를 받고싶네요
안녕하세요. 실수로 시작된 고민이 있어서 글을 남겨봅니다. 제 업무 중 하나가 시스템에 급여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그러던 중 하나의 지사 일부 인원에 대해 작년 연봉을 잘못 입력했던 것을 이제야 확인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과지급이 된 것이니 제 팀장님께 우선 보고드린 후 팀장님께선 지사의 담당자에게 직원분들께 설명과 작년 근로계약서 재작성을 요청하셨습니다. 그 때부터 지사의 담당자분의 꼬집기가 시작됐습니다. 이미 시스템을 보고 계약서를 작성했으면 그냥 줘야하는거 아니냐, 어차피 줘야하는걸 왜 해야하는거냐, 시스템에 있는대로 작성했는데 왜 우리가 욕을 먹어야 하는거냐, 회입에 대한 명시된 근거들을 달라 등등... 팀장님께선 저에게는 나는 실무할 때 더 큰 실수도 해봤다 괜찮다 해주시지만 그분에게는 계속 실수한 부분은 죄송하게 생각합니다로 말씀을 하시고 메일을 보내시니 너무 마음이 불편하네요. 최종적으로 회입해야 하는 금액이 100만원 정도로 계산됐는데 차라리 제 급여에서 차감해주고 징계라도 받는게 속이 시원할 것 같네요. 물론 실수의 사유는 확인해서 재발방지 대책을 보고하고 시행 중입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5년차 짤은 다이아몬드 멘탈이던데 저는 왜이리 약한 유리멘탈인지 모르겠습니다. 퇴근하며 넋두리로 써봅니다....
히리스
2024.01.12
조회수
3,147
좋아요
21
댓글
10
사내 공모(JOB Rotation)
현재 인사팀에 중견기업 인사팀에 재직중입니다. 사내 공모 (잡로테이션) 제도를 운영을 해보고자 합니다. 혹시 현 회사에서 운영하시는분들 프로세스 자료 등 공유받을수 있을까요?
꿍잇
2024.01.05
조회수
857
좋아요
1
댓글
0
야근교통비 기준
안녕하세요! 올해 야근교통비 지원제도 신설을 검토하고자, 타 기업 야근교통비 지원 기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혹시 야근교통비 기준(절차, 방법, 퇴근시간 등)에 대해 공유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로, 유튜브 프리미엄을 구성원에게 복지로 제공하는 기업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삐약약
2024.01.05
조회수
1,214
좋아요
3
댓글
8
명절준비
구정 선물세트 준비 언제부터 하시나요?
오너십
2024.01.05
조회수
152
좋아요
0
댓글
2
개발 빼고 다 하는 직원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지금 지방으로 출장와서 모텔방에서 뒹굴다가 갑자기 커뮤니티 글들을 읽다가 한번 용기내어 글을 적어봅니다. 2017년 행정직 신입사원으로 스타트업은 아니지만 체계가 많이 없는 주먹구구식 it 업체에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운영하던 해외직구 쇼핑몰을 관리하다가, 어느순간 정부지원사업 관리에 지원서 접수, 인사 총무, 회계법인에게 자료 전달, 각종 물건 구입 및 개발 소통, 고객사 상담, 개발 요구사항 조율, 고객사 미팅 99% 참여, 앱 화면 기획, 학습용 데이터 구축 관리, 지금은 대학교 교육에서 서비스 소개 수준이지만 짧게나마 강의도 했네요. 각종 인사 업무, 직원 근태 관리, 신입사원 교육, 법인 등기 신청.... 등등등 진짜 개발 빼고 항상 전부 다한다고 말하고 다닙니다. 사실 개발도 2달 정도 했었어요. 컴공과를 그래도 좋은 학점으로 졸업했지만 개발은 영 하기가 싫기도 해서 막 잘하고 그러진 않았어요. 윗 분들이 퇴사하면서 제가 자연스럽게 업무를 떠맡게 되어서 여기까지 온 것 같습니다. 안 하는 게 있다면 마케팅, 대면 영업 정도겠네요. 홈페이지 홍보나 회사 소개 자료도 조금씩 만들긴 하지만요. 최근 2~3년 동안은 회사가 힘들어서 닥치는 대로 개발 용역을 받다보니 관리할 고객사들도 많고, 혼자서 감당이 너무 안돼서 번아웃 비슷하게 의욕이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저보다 대표님이 더 밤낮없이 일하시고 힘든 걸 뻔히 알아서 사실 투정도 못 부려봤고요. 이런 업무를 하면서 사실 빠지면 안되는 박힌 돌이 된 것 같아 이직의 생각을 하면서도 뚜렷한 준비는 안 하고 있습니다. 급여는 연차에 비해, 중소에 비해 많이 받는 편이긴 한데 그 동기부여의 힘도 많이 약해진 듯한 느낌을 요즘에 많이 받습니다. 요즘 직장인답지 않게, 제 성격도 있겠지만 안정적인 걸 좋아해서 맡은 일이나 자리를 쉽게 떠나지 못합니다. 회사 사정이 항상 어렵고 불안한데 떠나고 싶기도, 예전에 대표님이 말씀하신 떠나면 안된다는 말이 족쇄처럼 저를 붙잡는 느낌도 있습니다. 여기 계신 분들은 어떤 생각이실지 궁금하기도 하고 그냥 한번도 꺼내보지 않은 생각을 여기에라도 풀어보고 싶은 마음도 있네요. 너무 글이 길어졌는데, 그냥 공감해주시는 분이라도 있다면 좋겠고, 어떤 말이라도 의견을 들어보고 싶네요. 끝까지 읽어주신 분이 있다면 감사합니다. -------추가------ 제가 5년차에도 글을 썼었군요... 완전 잊고 살았는데, 지금이 8년차인데 나아진 게 있나 싶어서 속이 좀 쓰리군요...
떡춘
2024.01.04
조회수
751
좋아요
2
댓글
8
마케터 분기별 성과금 제도 고민...
이번년 부터 연매출 목표 액을 정해서 분기별 성과금 제도를 만드려고 하는데 보통 성과금 기준을 어떻게 잡나요? ex) 분기별 목표매출 추가달성 금액에 5% , 목표 매출 달성 시 연봉에 10% 이런 성과제도에 지급 기준이 궁금합니다.
오오호호도
2024.01.03
조회수
1,006
좋아요
9
댓글
7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