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트 상황에서의 1 ON 1
리모트 상황에서의 1 ON 1
( 원온원 _ 일 잘하는 리더의 대화력 발췌 )
리모트 상황을 모든 구성원들이 좋아할거라 생각하는 것은 엄청난 착각입니다. 특히 주니어와 최근 입사한 경력직원, 새롭거나 난이도가 높은 과업을 처음 맡게된 직원에게는 최악의 근무 환경이라고 할 수도 있죠.
이유는 '혼자서 과업을 수행할 수 없는 역량' 때문입니다.
아무리 비대면 또는 커뮤니케이션 TOOL이 발달했다 하더라도 멘토링, 코칭, 티칭 그리고 집단 지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면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런 시간이 수시로 필요하기도 하죠.
하지만, 비대면이라는 환경을 포기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3가지를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 OUTPUT (결과물) 중심의 대화
: 기한과 결과물의 레벨.
: 언제까지, 어떤 결과물을 보여줄 수 있나요?
: 그 결과물은 기대하는 레벨에 적합한가요? (기존보다 높은 수준)
[2] WHAT, WHY 에 대한 합의
: 고객 (내부 이해관계자, 소비자)과 결과물의 영향.
: 내/외부 고객은 누구이고, 그의 니즈(NEEDS)는 무엇인가요?
: 이번 결과물은 이 고객에게 어떤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주게 되나요?
[3] 과정에 대한 합의 / 지원
: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일할 예정인가요?
: 그 과정을 통해서 OO님이 새롭게 학습하게 되는 부분은?
: 제가 지원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이 3가지의 소통을 수시로, 정기적으로 리더와 팔로워 간에 할 수 있다면 조금은 리모트 근무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요.
2가지 팁을 추가하지면
TIP 1. Support Leadership
팀원의 모든 장애물을 리더가 제거해 주기 보다는
더 잘할 수 있는 사람을 매치업 해 주고, 그들이 서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습니다. (협업 및 지식 공유 등)
“제가 A팀의 ○○님께 미리 이야 해 놓을 테니, 오후에 통화를 한번 해보면서 지난 사례를 배워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아요. 그게 지금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TIP 2. Mentoring Leadership
특히 주니어나 경력직의 경우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주니어의 경우는 구체적인 업무 지시와 함께 매일 리모트 미팅을 하거나 선배와 매칭해서 업무를 가르쳐주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경력직의 경우는 일하는 방식과 함께 회사의 문화, 과거 히스토리 등을 알려주고, 업무와 관련하여 개인적인 친분을 쌓는 것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 업무와 관련된 개인적인 친분은 경력, 지식, 스킬, 툴, 과거 사례, 비전, 강점과 약점 등에 대해 서로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