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요즘들어 멘붕이..
요즘들어 멘붕이 오고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일을 하라고 던져주는데.. 같이 일하는 사람은 없고, 실수해도 커버 쳐주는 팀장도 없고, 분명 난 개발을 해야하는 개발자인데 다른 일때문에 개발은 못하고 있고.. 처음 갓신입때는 이것저것 많이 해보면서 경험 쌓아야 한다고 해서 이것저것 열심히 햇는데.. 그 짓을 여태까지 하고 있네요.. 이제 막 개발하고 싶어지는.. 어차피 나이 들면 PM으로 빠져야 하니 PL업무 하는것도 경험상 도움이 되는데.. 요즘 PL일이 지치니 개발이 하고 싶어집니다. 어떤 일을 잡고 나가는게 맞는 걸까요?ㅠ
찡가냥
20년 08월 17일
조회수
394
좋아요
3
댓글
9
외국계 정리해고
회사가 전락을 변경하고 조직을 통폐합하면서 부서가 한꺼번에 다 날라갔네요ㅠ코로나로 해고가 더 가속화된듯... 잘알고지냈던 타부서 사람들이 하루아침에 해고통지받은거 보니 넘 허무하네요... 난생처음으로 해고당하고는거 보니 멘붕입니다.아마 내년도도 차차 몸집을 줄여갈 것 같네요. 타 외국계는 다들 상황이 어떠신지요?
도전하는자
20년 08월 17일
조회수
4,701
좋아요
10
댓글
42
회사 술자리 얼마나 자주가야하나요?
외국계벤더 파트너 조직에 근무중인 2년차 직장인입니다. 고민이 항상 있는데,선배님들 내부영업을 위한 술자리는 얼마나 자주하시나요? 평소에 술자리를 즐겨하진 않는성격이라 회식자리를 자주 갖는 스타일도 아니고 원래 저희조직 자체가 나이비슷한또래 끼리끼리 어울리는 분위기라 특히 요즘은 코로나때문에 먼저 보자고하기두 애매하구요ㅠ But, 너무 안가는것도 문제네요^^ 결국엔 속이야기 주변 판국 분석등등 저녁자리에서 이야기 나오는 경우가 많아 적당히 참석하는것도 필요한것 같네요ㅠ 나이가 어린터라 술자리 잡는것도 쉽지않네요
도전하는자
20년 08월 17일
조회수
500
좋아요
0
댓글
8
통계분석과 머신러닝 차이점
데이터를 다룰수록 통계의 중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통계분석과 머신러닝의 정확한 차이점이 뭔가요?
모카라떼
20년 08월 17일
조회수
236
좋아요
1
댓글
6
공무원 조직생활에서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합니까?
개방형직위로 임용되어 공무원 1년차입니다. 업무만족도는 매우 높은데 공무원 조직생활에 대해 조언을 구합니다. 자리가 직속 계원이 하나도 없고, 공식적 업무는 다른 계 계원들과 항상 같이 해야합니다. 다른계 계원들 입장에서는 직급만 높고 공무원 조직 경험은 없는 상사(?)를 하나 더 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업무를 할때 제 직속 직원이 아니니 잘 부탁 하지도 않지만 상사들이 지시하는 업무를 할때 어쩔수 없이 부수적인 업무를 지시할 때가 있습니다. 그때마다 느끼는 것이 것이 잘 듣지도 않습니다. 결국 시키기는 해도 저 혼자 최종정리해서 처리하고 맙니다. 문제는 제 직속 상사의 업무는 업무특성상 업무에 대한 감사이다보니 다른 계의 계원들 입장에서는 늘 귀찮거나 쓸데없는 일(?) 이란 점입니다. 직속 상사가 그런 일을 하는데 돕는 역할을 하도록 뽑은 자리이다보니 입장이 참 그렇습니다. 무슨 박쥐도 아니고 이쪽에서는 상사 편을, 저쪽에서는 같이 상사 흉을 봐야하는 상황이니... 부서 직원들이 늘 하는 말이 상사에게 너무 많은 것을 알려주지말라고 얘기합니다(많이 알면 우리가 힘들어진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어짜피 6개월마다 바뀔 사람들이니 그냥 무시하고 제 일에 충실해야 할까요? 상사도 바뀔 사람인데 오래 봐야 할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야 할까요? 사표낼때까지는 상사도, 부서원들도 봐야하고 부서원들은 순환근무이지만 저는 여기 붙박이라 옮길 곳도 없습니다. 처음하는 공무원 조직생활... 조언을 구합니다.
어공2년
20년 08월 17일
조회수
760
좋아요
1
댓글
11
방학 중 시간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회사에 있다 학교로 온지 어느덧 4년이 되었습니다. 선생님들은 요즘 시간 어떻게 보내시는지요? 저는 책 읽고 밀린 과제들 주로 하고 있습니다.
조교수 4년차
20년 08월 17일
조회수
771
좋아요
3
댓글
20
중소기업 사장님이 전산 시스템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사장님들께서는 사업성이 확실하다면 어떻게든 하겠다시면서 '내부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시라고 말씀드리면, 손사래를 치시곤 합니다. 요즘 상용 서비스들도 저렴하고 뛰어난 게 많이 있는데도 말이죠. 기존처럼 주먹구구 구두 지시와 수직적인 보고체계를 유지하시는 이유가 뭘까요? 기업 비밀이 새나간다고 생각하시나요? 세무감사라도 니온다고 생각하실까요? 그런 시스템에 익숙해지는 건 어려워서 그러실까요? 신입사원들의 입장에서는 비효율과 망조가 보여서 머릿속에 '여긴 위험해', '이건 정말 아니잖아'라는 비상경고등이 자꾸 켜지고... 중간관리자들은 시장,고객보다는 윗분들 의중을 파악하는데 더 애를 쓰고, 애를 먹는 체계... 윗분들 입장에서는 지시를 해도 직원들이 이건 이래서 어렵고 이건 이래서 비용이 든다고 해서 화만 나시는 경우를 봅니다. 직원들이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그걸로 자회사를 만들어 나가는 건 화들짝 놀라시기도 하는데요. 저는 그 분들께서 무슨 마음으로 그러시는지 잘 이해가 안 가요. 사고방식이나 가치관부터 다른 걸까요?
보건알음
20년 08월 17일
조회수
5,262
좋아요
10
댓글
140
신약 AI 회사는 어떤가요?
해당 업계가 워낙 핫하긴 합니다만 스탠다임이 국내에서 잘한다고 하고요 AI가 붙었지만 결국 신약을 만들어야 성장할텐데 그렇지않으면 프로그램을 만들어 신약사에 팔거나 리스해주는 BM밖에.안될텐데.. 대형신약사는 SK바이오팜처럼 직접 하면될것이고 굳이 데이터를 AI신약사에 공유를 안해줘도 될터인데.. 그럼 AI신약사 입장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느냐 그것이 관건일텐데요. 관심이많은사람으로서 해당 업계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고견을 듣고자합니다.
VC투자
20년 08월 17일
조회수
1,106
좋아요
2
댓글
3
창업
추경이 집행되면서 창업지원이 대단히 많아졌습니다 예비창업에서 재도전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많은 지원사업이 공고되고 있습니다 예비창업장의 경우 실전창업교육을 통해 예비창업패키지 서류심사 면제의 방법도 좋아 보입니다 예창 이후에는 초기창업 그 다음은 창업도약패키지 그와 더불어 기술사업 디딤돌사업과 콘진원, 문화체육관광부등 기관의 지원사업도 중복지원 가능합니다 또한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등도 지원가능합니다 이외에도 더 있으니 창업하기 좋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그중 일부는 저도 수혜받고 있습니다 경험공유해 드리겠습니다 010-5067-7597 이상준
주하
20년 08월 17일
조회수
294
좋아요
2
댓글
9
부동산 분야에 근무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눈팅만 하다 점점 다양하고 많은 종사자 분들이 유입되는 것 같아 글을 남겨봅니다. 일반인들에게 부동산 이라하면 '주거용' 혹은 '토지' 등 을 떠올리기 쉽지만 여러 선배님들도 아시다시피 부동산에는 참 많은 분야가 있잖아요? 일반인들에게 설명해주자니 어렵고 또 그들도 듣다보면 이해하기 어렵다는 표정을 짓기도 합니다 ㅋㅋㅋ 그만큼 특수성이 있는 분야라고도 생각이 되는데 어떻게 이 분야로 업을 선택하게 되셨는지 여러분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으랏차
20년 08월 17일
조회수
1,419
좋아요
0
댓글
19
공공기관 전산 담당자 중 ISMS 인증심사원이나 다른 일 하시는 분?
이제 커리어 쌓고 있는 초짜 보안 담당자입니다. 최근 ISMS 심사를 받으면서 ISMS 인증심사원에 관심이 생겨 준비를 해보려 합니다. 공공기관 규정에 겸직 금지 조항때문에 뭘 하기가 쉽지 않은데, ISMS 인증심사원은 겸직 조항에 해당되지 않고 자문료를 받는다고 하더군요. 혹시 심사 나가면 출장으로 나가나요? 아니면 개인 휴가 쓰고 나가나요? 심사는 자주 나가시나요? 혹시 이외에도 다른 커리어 쌓고 다른 일도 추가로 하시는 분들 계신지 궁금합니다.
db
20년 08월 17일
조회수
1,332
좋아요
0
댓글
7
질권설정과 전세권설정 어떻게 구분하나요
사무실 임대차계약시 질권설정 전세권설정 어떻게 구분하지요
톰소여의모험
20년 08월 17일
조회수
1,715
좋아요
0
댓글
20
전체회식어떻게하나요?
근로자수약60명정도인 식품제조기업입니다 코로나로 생산직직원및회사 전체회식하기가어려운데 ㆍㆍ 다행히당사는 생산량및 매출액이늘고있습니다 생산직직원들이 많이힘들어해서 회식이든 뭐든해야할듯한데요 아이디어가있을까요?
nkd초보인사
20년 08월 17일
조회수
351
좋아요
3
댓글
12
서울에서 전월세 중개만으로 월소득 많이 가져가는 법!!
부동산 자리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전월세 중개를 기본으로 하여 월 고정금을 만들고, 그 외 빌딩매매와 토지 거래 등을 취급하는 부동산을 하려고 하는데요. 전월세로 큰 수입을 올리는 것이 쉽지 않겠지만 월300백만원 이상을 달성하고 싶은데 여기 계신 분들의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1. 전월세 수요가 많은 지역 2. 전월세 손님 유입방법
김종필
20년 08월 17일
조회수
943
좋아요
0
댓글
11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