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마케팅과 무관합니다만
국군장병 힘내라...
lIllIllI
억대연봉
20년 08월 18일
조회수
44
좋아요
1
댓글
1
빅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사고력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기술은 사실 중요한게 아니고. 콘텐츠와 데이터 활용에 대한 사고력이 중요하다는 실감을 절실하게 하는 요즘입니다. 문제는 이걸 기르기가 쉽지 않다는 건데요,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코스타
억대연봉
20년 08월 18일
조회수
160
좋아요
0
댓글
4
직무 발명 기여도에 관해서
이공계에 계신 교수님들은 보통 직무발명시 기여도를 어떻게 나누시나요? 석사생 1명과 제가 논문 쓴 내용을 특허 출원하려고 하는데 학생 25%를 인정해주었는데 너무 적은건가요? 졸업생인데 본인이 최소 50%는 되어야 겠다고 해서 좀 당황스럽네요.
JLee37
20년 08월 18일
조회수
233
좋아요
0
댓글
5
보험업법 어떻게 될까요?
이게 정권 분위기로는 나라가 망해도 통과시킬 것 같은데 사실 삼성 입장에서는 거의 목숨을 걸어야 하는 법이라... 뒤에서 엄청 네고하고 있을 것 같은데... 여러 펀드들도 걸려 있는 핫 이슈라...좀 전망을 하고 싶은데 한치 앞을 모르겠네요. 여기 계신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컴플컴플
20년 08월 18일
조회수
367
좋아요
1
댓글
5
디지털 채널 브랜딩 kpi 설득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형님 누나 동생님들.. 현재 유통업에서 전사 디지털 채널(sns, 커뮤니티, DA 일부) 관리하고 있는 쭈임 나부랭입니다 다름 아니라 브랜드 인지도 증대의 kpi를 어떻게 선정해야 윗분이 이해하실까해서요.. 저희 팀의 kpi가 브랜드 인지도 증대에 있는데, 기준을 세울 수 있는 게 인게이지/조회수, 광고 진행시 클릭률 정도로 세우고 있습니다 요즘 윗분께서 이러한 조회수, 인게이지가 어떻게 도움이 되냐로 계속 챌린지를 주고 계십니다.. 이걸로 매출이 일어나냐, 댓글 많으면 뭐가 좋냐.. 등 결국 매출에 기여가 되냐 안되냐를 따지시는 거겠지요.. 장표를 정리하여 이를 보고해야하는데 답답하네요 정리하자면.. 브랜드 인지도를 표현하기에 어떤 수치가 필요할까요? 그리고 그 수치를 어떻게 표현해야 이해가 되실까요? 형누나동생들의 아낌없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디마디마
20년 08월 18일
조회수
599
좋아요
2
댓글
4
중진공 사업계획서 제출에 관하여
중진공에 사업계획서 제출 해보신분 어떻게 쓰면좋은지 한수 알려주세요
빛나라인생아
20년 08월 18일
조회수
3,036
좋아요
6
댓글
13
시스템 도입과 구조조정
안녕하세요, 폐사는 여러회사를 합병한 외국계 회사인데, 시스템 통합이나 최신버젼을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당연히 수 많은 메뉴얼잡이 발생하고 human error도 많습니다. 그래서 시스템 통합 및 최신버젼으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판단되는데, 위에서는 의외의 생각이 있으시네요. 시스템 통합 및 최신버젼으로 업그레이드하면 사람을 내보내야 한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보직변경이나 평소 못하던 분석이나 서비스 레벨업 등 방법은 있을건데, 그렇게 생각하니 당황스럽네요.
바스코
억대연봉
20년 08월 18일
조회수
153
좋아요
2
댓글
4
아 코로나 큰일입니다
확진자가 다시 200명 넘게 나오네요. 재택근무하는 곳도 늘고 페업하는 곳도 더 늘거같고 큰일이네요
정재
20년 08월 18일
조회수
811
좋아요
3
댓글
17
혹시 B2B 마케팅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책이나 블로그가 있을까요?
B2C에 대해서는 인터넷이나 브런치에 자료도 많고 한데 B2B 자료는 영 찾기가 힘드네요. 혹시 B2B 마케팅에 대해 잘 정리된 책이나 블로그, 강의 등 있으면 소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어를 잘 하진 못하지만 영문도 가능합니다...
바람만이
20년 08월 18일
조회수
155
좋아요
1
댓글
5
큰 기회가 찾아왔는데, 잘 해낼 자신이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업부 중 하나의 리더 자리가 공석이 되면서 저에게 오퍼가 들어왔습니다 연차나 경험에 비추었을때 과분할 정도로 좋은 기회이나 걱정이 앞섭니다 분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론 leading 자체에는 자신이 있고 이 회사에서 보여준 것도 많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으나 해당 도메인에는 지식이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게다가 도메인 특성상 그 분야 종사자들의 ego도 상당히 높을 것이고요. 경영진에서도 생각이 있어 제게 오퍼를 줬겠으나 저는 좋은 기회다 vs 내가 가서 망칠 수도 있다 이 두 생각이 싸우네요. 어찌해야 할지요. 참고로 해당 분야는 엔터 쪽입니다.
남hae
억대연봉
20년 08월 18일
조회수
843
좋아요
2
댓글
26
PASS 앱 깡패네요
안깔면 너무 불편해서 깔았더니 안에 무슨 토스처럼 금융상품 내차시세 다 넣어놨네요....ㅎㅎㅎ 진짜 대기업들... 스타트업이 죽어라고 해놓으면 이래 강 배껴가버리고..ㅎㅎ 다만 궁금한게 앱의 목적(본인인증)과 앱에서 판매하는 제품(금융제품)이 다를 때 전환율이 나올지 궁금하네요.
분노분노
20년 08월 18일
조회수
136
좋아요
0
댓글
7
재택근무 재돌입..
해야겠죠? 하루 하루가 고비이고 힘든데, 지금 상황에서 안하면 안되겠죠? 연휴 끝나고 출근했는데 직원들이 레이저빔을 쏘네요. 에휴...정신나간 사람 한둘 때문에..나라가 왜 이렇게 되는지 안그래도 힘든데 (정치 얘기 아닙니다)
네이부
20년 08월 18일
조회수
864
좋아요
7
댓글
5
워렌 버핏이 금이 아닌 '금광회사'에 투자한 이유
워렌 버핏은 금에 대한 투자에 회의적이었습니다. '가치 평가에 잣대가 없고 사람들의 호불호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자산'이라는 게 이유였죠. 그랬던 그가 최근 금광 회사에 투자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혹자는 이를 두고 "버핏도 생각을 바꾸고 금값 상승에 베팅한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금과 금광 회사는 다른 투자대상"이라는 의견이 더욱 설득력이 높아보입니다. 금을 사는 것과 금광 회사를 사는 것은 여러가지 면에서 다릅니다. 금은 버핏의 말대로 그 자체로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없고 그러므로 내재가치를 측정할 수 없습니다. 가격의 등락을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죠. 하지만 금광회사는 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나오고 배당이 지급되므로 금의 가치와는 무관하게 별개의 투자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버핏의 투자는 좋은 선택이라고 봐야 할까요? 단언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손해는 보지 않을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금광 회사가 이익을 내려면 채굴 비용보다 팔아서 버는 돈이 많으면 되는 것인데, 금 값이 어느정도 영향을 받더라도 채굴비용보다 낮은 가격대가 오래 지속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다만 워렌 버핏이 금광회사를 산 것이 앞으로 금값이 계속 올라 미래의 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인지, 아니면 금값이 지금 수준에서 유지되거나 조금 하락하더라도 금광회사의 미래 이익대비 주가는 저평가된 상태라고 판단해서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후자라면 "버핏도 이제 금의 가치를 높게 생각한다"라는 것은 틀린 해석입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오늘 자 리멤버나우를 참고해주세요. 👉https://now.rememberapp.co.kr/2020/08/18/9634/
리멤버 | (주)리멤버앤컴퍼니
20년 08월 18일
조회수
418
좋아요
0
댓글
0
돈 찍어 풀면 경기가 나아지나요~?
고약한 코로나가 확산되며, 또 일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이 나쁜 상황에 몸과 마음이 또 다시 움추러듭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요즘 주가가 최고점 근처를 오르내리는게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주가가 올라 좋긴하지만..) 여튼, 이번 코로나 확산 소식에 사람들의 경제활동이 위축되면, 경기는 다시 얼어 붙을거 같아 걱정스러운데... 그런데 혹자는 말합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다시 돈을 찍어 풀면 된다"고.. 과연 그런가요~? 이론상 돈을 풀면 경기 진작에는 분명 효과가 있을거 같은데, 그렇다고 별 부작용은 없을까요. 이것 때문에 실적 뒷받침 없이도 주가도 오르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현명한 정책으로 괜찮은 걸까요.?
이타자리
20년 08월 18일
조회수
627
좋아요
1
댓글
10
모자를 쓰고 일하는 직원
제가 나이가 있어서 꼰대라 그런가 봅니다... it회사이며 여사원이고 신규입사자인데 사무실에서 내근직이라고는 하지만 모자를 쓰고 출근해서 앉아서 일하고 있습니다.(마케팅부서) 저도 it기업에서 15년 근무를 했지만 이런경우가 없었고, 혹시 다른 직원들에게까지 전파될까 노심초사하면서 요즘은 이런문화가 일반적이라면 받아들여야 할지 고민이 깊어지네요... 여기 계신분들은 모자 허용하십니까?
자리야
억대연봉
20년 08월 18일
조회수
1,110
좋아요
0
댓글
21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