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투표 부동산 근본 학습서 제목
부동산과 건설업의 구조를 AtoZ 작성한 이해하기쉬운부동산개발사업을 디벨롭하여 쉽게익히는부동산개발사업을 적었는데, 나중에 둘 중 하나의 제목을 선택해야한다면 뭐가 나을까요? 그리구 하나는 절판이 나을지 아니면 양이ㅡ다르니 같이 하는게 나을지도 고민이네요
최필주 | REASON EYE
2022.11.02
조회수
686
좋아요
1
댓글
0
월수입의 00퍼센트 저축 00퍼센트 소비의 의미는?
요새 유튜브나 블로그, 책들 보면 월수입의 최소 50퍼센트는 해야한다, 많으면 70퍼센트까지는 해야한다 이런이야기가있는데... 이게 어떤항목을 포함하고 제외하는 기준입니까? - 고정지출: 집세,관리비,공과금,통신비,대중교통비 등등 - 변동지출 : 식자재비, 외식비, 모임비, 생필품, 그외 쇼핑 저렇게를 월급의 절반이하로 써라 하는건이해가돼요... 근데 - 경조사비: 누구 결혼, 부조금, 명절 챙기기, 가족 생일 등 - 데이트 및 여행비 : 기념일챙기기, 여행가기, 선물 등등 - 목돈 쇼핑: 가구가전 노후교체, 결혼준비비용, 가구가전 신규구매 - 자동차보험비 : 1년에 90만원 - 건강관리비 : 헬스장 1년 등록비 락카포함 4~50만, 병원비(몰릴땐 실비처리해도 한달에 십만 이상 날라감) - 재산세 : 자동차세 등 솔직히 아래 항목들은 누군가에겐 사치이겠지만 누군가에겐 필수항목이라보여집니다. 전 아무리 해봐도 저 아래항목들까지 합해서 월 50퍼 이내 소비가 너무 힘든데.. 도대체 저아래항목들 다들 포함해서 월 50퍼이상 저축하시는건가요? 저게 월단위로 일어나긴 힘든 항목들이니 연단위로 1년 총 실수령(성과금 상여 제외) 액의 50프로이내 소비를 맞춰보려니 변동지출을 한달에 20마넌 이내로 써야합니다 ;; 집에서 먹고자고만해야죠..ㅎㅎ.. 아님 아래항목제외기준 50퍼이상 저축하다가 비상금처럼 빼서 쓰는건지... 성과금들어오면 그런거로 빼서 쓰시는건지... 수입액을 늘리라는 조언은 정중히 거절하겠습니다.. 단지 저 아래항목이 월 50프로 이내 소비에 포함인지 아닌지만 귀중한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sjfoenl
2022.11.02
조회수
1,031
좋아요
0
댓글
3
펀드 계속 넣어야할까요? 팔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매달 적금식으로 두 개의 펀드에 소액이지만 저에게는 소중한 작고 귀여운 돈을 넣고 있었습니다 어느 순간 -10%가 되더니 현재는 -20% 넘는 것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펀드를 해지하여야 할까요, 계속 넣어야 할까요, 납입을 중단하고 가지고 있어야할까요? 각 납입회차는 30회 정도 됩니다. 현명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야식이
2022.11.02
조회수
634
좋아요
0
댓글
3
50세에 자산 어느 정도면 파이어족 가능할지??
많은 분들이 파이어족을 동경하실 것 같습니다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 50을 기준으로 얼마정도 생각하는지 궁금해서 글 올립니다
흐르는 강물
2022.10.29
조회수
18,723
좋아요
50
댓글
85
사람을 찾습니다 ㅋ
다들 어디갔나. 부동산올랐다고 벼락거지되었네 하며 징징대던 사람들 직장에 꿈이 없다며 주식을 재테크라고 포장하던 사람들 부동산은 진리라고 믿는 신도들 코인나락갔는데도 또 그와중에 디지털자산 떠들던 사람 심지어 채권투자를 제안하던 은행직원 인플루언서 아줌마 신흥국 펀드 사야 한다고 하던 사람들 나락가는건 한순간이니 나대지 말라는 경고를 무시하던 사람들 그런데 말입니다. 그분들이 했던 말이 이제 맞는 말이 되고 있습니다. 단지 그 때는 틀린말이었고, 지금은 점점 맞는 말이 되고 있죠 조금 더 나락가면 주식도 사고, 채권도 사고, 주워담아야할 시간이 점점 다가 오고 있다는 거죠. 제가 좋은 정보 알려드렸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직도 모르나. 역사적으로 액티브운용이 패시브운용을 이긴 적이 없는데, 다들 자기가 워렌버핏이라도 되는줄 안단 말이지.
법사님덕에MBA
2022.10.28
조회수
2,932
좋아요
8
댓글
9
반전세 월세 40 내고 있고 재계약을 하려 합니다
지금 사는 곳은 괜찮고 좋은데 월세 5만원에 관리비 만원을 올려달라하네요 전월세 상한제 5% 적용하면 증액 2만원이 최대인데 이거 보통 쓰나요? 2년만 더 살고 나갈거긴 한데 집주인 입장에서는 이게 어떤가 싶어서 여쭙습니다
세회사
2022.10.28
조회수
796
좋아요
0
댓글
3
금리인하요구권
마통 뚫어 놓은게 구멍이 점점 커지고 올라간 금리 안내문자 오는데 오늘 이자 계산해보고 현타왔습니다 은행에서 직접 금리인하 해달라고 요청해보신 분?
원스텝투스텝
2022.10.27
조회수
691
좋아요
0
댓글
2
투표 집값 오른다? 내린다?
당연히 지역, 집마다 케바케지만 직관적으로 올 연말, 내년 상반기까지 전반적인 집값 움직임 기대치는?
case8
억대연봉
2022.10.25
조회수
637
좋아요
1
댓글
3
투표 어떤 재테크를 하고(버티고..) 있나요?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운영자입니다. 안정적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선 근로소득에서 그치는게 아닌, 돈을 잘 굴려가는 것도 중요할텐데요. 어떻게 돈을 운용하고(버티고..) 계신가요? 거듭된 금리인상으로 재테크 상황이 좋지 않으신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저 포함..😥) 📊 회원님들은 어떤 재테크를 하고 계신지 궁금해요! (중복투표 가능) 투표 후, 앞으로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할지 댓글로 의견 나눠주세요. * 참여한 분들께는 투표 종료 후 결과도 전달드릴게요.
커뮤니티 운영자
쌍 따봉
 | 리멤버
2022.10.25
조회수
1,428
좋아요
5
댓글
5
워렌 버핏의 말
버핏은 "대부분의 부는 투자자가 이해하는 불과 몇 개의 주식에서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훌륭한 기업을 찾아서 오래 보유하는 게 중요한데, 오히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장기 투자를 하는 게 그 어느 때보다 힘들어졌다고 말합니다.
집단지성
2022.10.15
조회수
702
좋아요
1
댓글
1
경제 관념 및 저축
안녕하세요 4년차 돌입하고있는 직장인입니다. 요즘 주식도 경제도 좋지않은 상황만 보여 저축에대해 관심이 많아졌는데 다들 얼마정도 하시나요? 가장 최근 정리를 해보니 월급 323 지출 주거비 41 교통비 8 보험 8 데이트통장 15 기타지출 a = 약 147만원 (323-147)/323 => 약 55퍼 저축(투자 적금 등)을 하고있는데 사회에서 흔히들리는 70퍼는 저축을 해야한다 하더라구요 다른분들은 어떻게하고 계신지 궁굼해서 글을 올려보았습니다. 댓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다라라다라
2022.10.14
조회수
2,530
좋아요
3
댓글
11
투표 전세자금대출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전세자금대출 6개월변동 4.35프로 vs 고정 5.2 프로 고민끝에 변동을 선택했습니다. CPI 나온거 보니 제 선택이 맞은 선택일까 불안하네요. ㅎ 2억 대출입니다.
킵캄
2022.10.13
조회수
832
좋아요
0
댓글
3
우크라 전쟁이 끝났을 때,변화되는 현상을 우리 같이 예측해 볼까요?
공급망이 회복 되니까 물가가 내려 가겠죠,물가가 내려가니까 소비가 늘어 나겠죠,소비가 늘어 나니까 기업들이 살아 나겠죠,기업들이 살아나니까 주식이 올라 가겠죠,또 무엇이 있을까요?
집단지성
2022.10.10
조회수
1,020
좋아요
2
댓글
3
우크라이나 전쟁 언제 끝날까요? 예측 가능한 시기를 논의해 볼까요?
전세계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우크라 전쟁,모든 경제 문제가 연결 되어 있습니다.언제쯤 끝이 날지,좋은 의견 주시고,서로 토론 하며 예측 해 보는 것도 참고가 되겠습니다.
집단지성
2022.10.08
조회수
2,860
좋아요
4
댓글
8
안심전환대출 (변동에서 고정)
요즘 안심전환대출을 할 수 있다는데 무조건 고정금리로 변경하는게 좋을까요????
asas1212
2022.10.04
조회수
519
좋아요
0
댓글
3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