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앱을 설치하고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을 받아보세요
오늘 가장 인기있는 회사생활 소식을 받아보는 방법!
글쓰기
최신글
업무의 주도성 정립?
분야 스터디 유관부서와 협업 자료화 정도인데, 다른분들 노하우 알고싶네요
Jake2022
2022.08.13
조회수
1,244
좋아요
4
댓글
1
서비스 운영 차원, 어떤 데이터를 주로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개발PM으로 근무 중인 휴학생입니다 ㅎㅎ 산업군 상관없이, 어떤 종류로든 서비스를 운영하시는분들! 서비스 관리 차원이든,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서든, 주로 어떤 데이터를 보기 위해, 어떤 부분에 로그를 찍을 수 있는 액션을 심으시나요? 또한 어떤 채널로 해당 액션들을 받고 계신가요? (저희 회사의 경우 유저의 가입 절차 및 에러 사항들에 대해 모든 로그 찍을 수 있도록 세팅이 되어있으며, 슬랙 웹훅으로 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sskpilot
2022.08.11
조회수
748
좋아요
5
댓글
1
이익율계산에대한 문의
영업이익율 계산에 관련 문의입니다 영업이익율계산시 판촉비가 문의인데요 저희회사는 연초 사용가능 판촉비를 정해줍니다 이거이상 더 쓸수도 없습니다 그런데 신제품 출시시 영업이익율 계산시 판촉비를 원가항목에 넣어서 계산하더군요 인건비나 물류비등은 변동예산으로 판매량에 연동되니 맞지만 판촉비는 집행여부에 따라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고 더욱이 연초에 픽스된예산을 정해줬기에 기획에서 보는 손익에는 모두 선반영이 되어있습니다 이거 이중반영해서 계산된거 아닌가요?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술퍼맨
2022.08.09
조회수
1,004
좋아요
0
댓글
6
해외시장조사 업체 추천 및 비용
외주로 해외시장조사업체를 써야하는데 바이어발굴까지 리스트가 나와야하고 매칭까지 지원해준다면 더 좋구요. 비용이 추가 되겠지만요... 1. 코트라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지만 저희가 피컨설팅 기업이 아니여서 이용은 어려울듯 합니다. 근데 코트라도 어느선까지만 무료겠죠? 혹시 써보신 기업 있으신가요? 2. 네이버나 구글 치면 너무 많이 나와서......비용은 어느정도인지 어느정도 알고 문의하고 싶거든요. 실제 이용해보시면 만족도가 어느정도 인가요? 이쪽은 처음인지라 유경험자분들의 친절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망고복숭아
2022.08.08
조회수
896
좋아요
0
댓글
6
팀에 힘이 빠진 것 같을 때, 어떻게 동력을 불어넣으시나요?
팀원들이 다들 훌륭하고 잘합니다. 다만 외부 변수에 너무 팀이 계속 흔들려서 모티베이션이 땅에 떨어졌습니다. 그냥 회식하고 아자아자 하는 것으로는 상황 해결이 안될 것 같고.. 그렇다고 리더로서 좋은 해결책을 제시하고 좋은 목표를 설정하고 다시 달리자고 독려하자니 그것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고... 어떻게 동력을 불어넣으시나요? 팀에..
라이코넨
2022.08.02
조회수
1,692
좋아요
8
댓글
12
제너럴리스트의 경쟁력?
T자형 인재가 되라고 하던데 저는 일하다보니... 늘 항상 "쓰일 수 있다면 무엇이든"의 마인드로 살아온 사람이라.. (제 잘못이겠죠) 가끔 내 직무가 뭐지 내 경쟁력은 무엇인지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제너럴리스트도 시장에서 팔릴 수 있을까요.
토마토달걀볶음
2022.07.29
조회수
1,156
좋아요
14
댓글
5
MOU의 진정한 효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기업 간 MOU를 맺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요. 진정한 효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단순히 보도 거리, 사업 파트너십 확장의 첫 걸음, 순서 등등 말고요..
개굴이
2022.07.26
조회수
1,366
좋아요
6
댓글
6
퇴사한다고 복리후생 받은거 토해내라는...
복리후생은 1년 만근자에 제공되는거라며 제공된 복리후생비를 이것저것 계산해서 차감한다네요 원래 그런거죠?
로랑머리
2022.07.26
조회수
2,472
좋아요
8
댓글
25
기능 조직 VS 목적 조직
전자는 디자인, 마케팅 개발이 각각의 팀으로 기능하며 필요시 협업을 하는 조직 후자는 목적(사업부)에 따라 각각의 기능들이 모여 일하는 조직 어떤 것이 효율적이고 더 잘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디티가뭐이지
2022.07.26
조회수
2,175
좋아요
3
댓글
4
(의견구함) 기타공공기관 연구원 계약직 VS 재단법인 연구원 정규직 선임연구원
안녕하세요. 이직 앞두고 선후배님들 의견 구해봅니다. 국립대부설 연구소(기타공공기관) 위촉연구원(계약직) 재직중 VS 재단법인 연구원 정규직 선임연구원 당연 정규직으로 가는게 맞는거죠? 현재 계약직 사업이 5년이상 안정적이고 일은 힘들지 않습니다. 연봉은 이직하는 선임급 자리가 조금 많구요… 지금까지 공공기관만 다녀봐서 재단법인도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어떨까요? @.@ 조언 구해봅니다…
탑건매버릭
2022.07.25
조회수
1,389
좋아요
7
댓글
23
주니어 -> 시니어 차이점
개인적 취미보다 일이 취미인 기획자입니다. 뭔가 제 손 끝에서 오롯이 새로 만들어내는 성과물을 보며 뿌듯하고, 그걸 다른 사람들이 잘했다고 하면 기분이 좋더라구요. 현재 회사는 3년차 인데요, (합치면 13년 경력) 계속 시간과 에너지를 쏟으며 갈아넣다가, 어느 순간 '어? 왜 칭찬 안하지, 내가 이렇게 했는데 왜 뭐라 그러지?' 상사의 반응에 시무룩 해지더라구요. 그동안 알아서 99개를 잘했는데 1개 잘 모르겠다고 질책하는 게 서운하게 느껴져서, '아.. 나의 가치를 모르는 상사네' 라는 생각에 열정 줄이고... 적당히 하며 다른 데 찾아봐야겠다. 라는 생각을 하던 찰나에 아는 분과 대화를 했는데... 그게 주니어 -> 시니어의 과도기일 수 있다고 하시더라구요. 업 경력 10년 이상이고, 주니어처럼 팀 안에서 팀장의 칭찬을 먹고 사는게 아니라, 다른 사람의 평가가 아닌, 알아서 꾸준히 잘해나가고 스스로 가치를 가져가야 하는게 시니어가 된거겠죠? 커뮤니티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통섭
2022.07.24
조회수
4,764
좋아요
24
댓글
31
전략기획으로 커리어패스 고민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6년차(석사학위 2년 인정) 대리입니다. 약 2만명이 있는 제조업 대기업 직원으로 제조 Smart Factory 추진전략 수립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는 제조업보다는 IT(특히 시뮬레이션과 AI)를 전공하였으나 입사 후 관련 신기술을 조사하거나 경영층 수명사항을 현장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과제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고민은 IT 기술적인 능력은 줄고있다는 생각이 강하게듭니다. 입사부터 지금까지 보고서가 주업무였으며, 코딩이나 현장경험은 상당히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전략기획업무에 대해 부정적이지는 않지만(사내에서도 해당업무에대해서는 제이름이 반드시 나오는 수준) 앞으로 제 커리어패스를 생각했을 때 지금이라도 기술업무에 중점을 둬야하지는 않을지 걱정입니다. 선배님들께 문의드리고 싶은 질문은 하기와 같습니다. 많이 두서없이 작성하였습니다만, 미리 이 길을 걸어보신 선배님이 계시다면 어떠한 조언이든 부탁드립니다. 1. 현장경험이 없는 공대출신 직원의 전략기획업무의 미래와 경쟁력 (전략기획에 대해 흥미는 있습니다) 2. 전략기획업무가 가질 수 있는 강점과 강화방안 (해당업무가 단지 사람의 성향에 따라 잘할 수 있는지 없는지 결정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메롱메롱
2022.07.23
조회수
3,206
좋아요
18
댓글
14
문장을 간결하게 만드는 훈련
이메일 하나를 쓸 때건 발표를 할 때건 보고를 할 때건 너무 장황하게 말을 하게 됩니다. 제 머릿속에서 할 말이 제대로 정리 안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자신감이 부족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구요. 미생에서 강하늘이 훈련하는 것처럼 문장을 간결하게 만드는 연습이라도 따로 해야 할까요? 어떻게 간결하게 핵심만 짚어서 말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많이 부족해서 선배님들 고견 듣고자 글 남깁니다.
떡락
2022.07.22
조회수
2,782
좋아요
27
댓글
21
회사가 매출액이 5천억인데,
여기서부터 백두산을 갈 건지 히말라야 산을 갈 건지는 기업의 어떤 걸 보고 판단하나요?
러블리라
억대 연봉
2022.07.21
조회수
3,165
좋아요
4
댓글
30
리더에게 몰리는 책임을 분산시킬 수 있나요?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조직 안에서 리더의 무게가 너무 무겁습니다. 실제로 굉장히 무거운 사람들이 리더의 자리에 있고 그만큼 책임도 리더에게 크게 몰립니다. 그러다보니 다른 직원들은 리더의 자리를 기피합니다. 가까스로 리더의 자리에 오른 직원도 오래 못 버티는 경우도 많고요. 여러모로 악순환인 듯 한데, 책임을 분산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보다 근본적인 부분부터 손 봐야 할까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BT
2022.07.19
조회수
1,171
좋아요
10
댓글
20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Drama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