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순서(대표이사-과장급 독대)의 문제일까요, 보고 누락(패싱)의 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정말 친했고 잘해주신 이전 사수(상사)와 점점 멀어지고 사이가 틀어지는 것 같아 어려움에 조언을 얻고 다른분들의 생각을 듣고자 첨으로 글 써봅니다..
한 회사만 지속 재직하여 입사 한지 10년이 넘어버린 저는 처음 입사하여 약 6년간 직속 상사 A님의 지도를 받고 업무 및 업무 외적인 능력을 키워올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약4년전 제가 같은 부서내 타 업무으로 배정되어 직속상사(팀장)가 바뀌었고 하는일도 달라졋습니다. 다만 사무실 공간은 동일하며 소수의 일부 업무는 여전히 A 상사의 결재를 받고 처리되고 있습니다.
그런 와중에 A상사가 팀장으로 있는 유관 업무 부분에 신규업무를 대표이사(오너)의 의지, 최관심으로 3년전부터 적극 추진하게 되었으며 과장급인 제가 대표이사의 낙점?(선택?)을 받아 단독(별동부대처럼)으로 업무를 관리/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표이사의 잦은 호출과 대면미팅, 직보(직접 대면 보고 하고), 오더를 다이렉트로 받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 단독 업무관련 팀장이라는 지위를 회사에서 부여해주지 않아 해당 업무 진행 중 문서상(서류) 결재가 필요한 경우가 생기며 이런 경우 이전 상사 A님에게 보고와 결재를 받아야하는 상황이 종종 생겼습니다. 또한 단독 추진업무 특성상 출장과 외부와의 업무미팅이 잦아 해당 내용을 같이 체크하고 추진 및 협의하는 대표이사에게 통화/구두 보고를 지속 하게 되었습니다.(대표이사가 수시로 체크 및 보고 요구, 전화함)
이런 상황에서 직속상사가 아니며 같은 팀의 팀장이 아닌 이전 상사인 팀장 A님께 모든 진행 내용을 공유하지 못하는 것 당연한 상황이 되어버렸고,
A님은 특정 케이스때 마다 제가 선별적 보고를 하고, 상사를 패스하고 있다고 화가 난 상황이 몇 차례 있었습니다...
또한 대표이사의 지시(오더)를 받고 관련하여 의사결정을 내려줄 수 있는 부서 담당 임원(본부장)님께 여쭤보거나 특정 내용을 의논, 사전 승인이 필요한 상황 들이 잦아 먼저 찾아뵈어 얘기를 나누는 경우가 여러차례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대표이사-> 나 -> 임원(본부장) 으로 지시나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나 최악의 경우 대표이사 -> 나 -> 임원(본부장) -> A 인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모든 경우에
그냥 "대표이사 -> 나 -> A -> 임원(본부장)" 의 방식으로 의논, 정보 공유가 이루어져야 맞는 걸까요?
너무 힘드네요...
사실 일을 시켜놓고 대표이사로 인해 부담감과 책임감까지 큰 상황에서 해당 업무의 책임자의 지위를 부여하지 않아줘 업무 당사자인 제가 현재의 팀장(현 직속상사 B), 이전 상사이자 단독 업무관련 결재권자인 팀장(A), 부서 총괄자인 임원, 대표이사 까지 여러명에게 출장, 업무 진행관련 얘기를 꺼내야하고 공유해야 하는 경우가 너무 잦고 허다합니다..
일을 저 혼자 100%다하고 선별, 컨택, 검토 하고 대표이사 요구에 따라 대표이사 직보후 구두 결정을 받아 실무적으로 처리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얘기가 너무 길엇네요..
여튼 결론적으로 저는 이전 사수였던 A님과 잘지내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긴 얘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