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당근 pm 연봉 라인이 어떻게되나요?
개발자는 최소 6500이던데 경력자로 지원하는거라 전직장 연봉대비 협상하겠지만 포지션의 전반적인 처우가 궁금합니다 또한 연봉인상률도 높게쳐주는지 궁금해요
지표중독
2024.06.04
조회수
2,834
좋아요
8
댓글
7
대기업은 희망연봉을 얼마를 써야할까요.
중소기업에 근무하고있고 9년차 연봉은 5천입니다. 관련직무와 우대조건 등 적합성 높은 대기업 공고가 있어 지원해보려고 하는데요. 희망연봉을 얼마를 써야하는건가 싶어서요. 6천정도를 기입하려니 그회사 연봉레인지보다 낮을것 같고 그렇다고 7천 8천을 쓰려니 상승률이 너무 높아보이네요. 합겹 한다면 제가 기입한 희망연봉 기준으로 제 연봉을 산정하는지, 회사에서 가지고있는 직급별 연봉으로 산정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알고계시는분 있으실까요 !
쵸코하임
2024.06.02
조회수
4,077
좋아요
13
댓글
22
lg전자 임원면접 다대다 인가요
1대1로 맞다이 하는게 속편한데 개드립도 좀 쳐볼수있을거 같고 다대다로하는거면 개드립뇌세포 아예 빼고 가려구요...
eyes
2024.05.31
조회수
2,179
좋아요
4
댓글
14
전 직장 연락 문제
이직 하면서 경력증명서가 필요해서 여러번 연락했는데 계속 답이 없다가 대표님한테 직접 연락하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대표님 메일로 연락을 했는데 제 메일주소를 차단했더라구요.... 이런 경우에도 노동청에 신고해서 받을 수가 있을까요?ㅠㅠ
요래요래
2024.05.29
조회수
1,295
좋아요
5
댓글
12
이커머스 사업기획과 PM PO 그 사이에서..
저는 현재 대기업 이커머스 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지금 “사업기획” 포지션인데, 이 포지션이 정말 애매합니다. 아시겠지만 사업 관점과 개발 관점의 기획이 다르잖아요. 저의 경우에는 사업 관점의 기획자이며, 서비스 기획자와 협의해서 요건을 정의하는 정도로 일하고 있습니다 즉 개발 쪽은 거의 모르고 개발 일정/스케쥴 관리 정도만 가능한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 포지션이 언제 어느시기까지 경쟁력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경쟁력을 갖추려면 개발향의 서비스기획으로 포지션 변화를 해야 할 것 같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개발을 배워야 하는것인지 아니면 이론수업 같은 것을 들어야 할지 ...? 조언 부탁드립니다
삐깨쮸
2024.05.28
조회수
1,731
좋아요
14
댓글
16
사내 정치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사내 정치 없는 회사가 없다는 건 알지만, 사내 정치와 관련될 수 있는 범위가 보통 일반 실무자들 까지 인가요? 예를들면 리더급 아니더라도 인턴~평사원 전부 다 사내 정치에 휘말리는 게 흔한 일인가 궁금합니다.
오듕이
2024.05.24
조회수
1,556
좋아요
4
댓글
5
솔루션회사에서 서비스회사로 가신 선배님들 계신가요!
현재 중견 솔루션회사에서 제품기획을 하고있는 주니어입니다. 고객사에서 요구사항을 받아서 기능별 정책부터 uiux를 설계하고 유관부서와 커뮤니케이션하면서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솔루션 특성상 특정 고객사의 요구사항과 c레벨의 요구사항으로 제품의 방향성이 정해지는데, 일반적인 서비스회사에서 말하는 것 처럼 데이터로 보고 분석하고 가설을 세워서 요구사항를 정의하고 실패와 성공이 눈에 보이는 그런 경험을 해보고싶습니다. 조금 힘들더라도 서비스회사로 이직을 도전하는게 맞을지, 힘든 경험을 먼저 해보신 선배님들께서는 얼마나 어려우셨었는지 경험을 듣고 싶습니다.
aaavbb
2024.05.24
조회수
912
좋아요
7
댓글
1
사내 영어 강사
임직원 어학(영어)역량 강화를 위해 사내에 원어민을 채용해서 활용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채용을 한다면 아래 정도의 일을 맡길 수 있을 것 같은데, 유사하 사례를 아시는 분께 댓글 부탁드립니다. - 임원 대상 1:1 강의 - 직원 대상 어학 클래스 운영 - 직원 대상 인강 콘텐츠 제작
디지털컴
억대 연봉
2024.05.23
조회수
123
좋아요
0
댓글
2
제가 개발 업무중 DB암호화에 대해 궁금해서 여기에 질문 남깁니다.
서버 호스팅사나 클라우드 쓰면 DB보안이라는 옵션이 있던데 우리가 개발할때 직접 sha256등 방법으로 암호화 하는거랑 서비스 신청시 옵션에서 선택하는 DB암호화 랑 무슨 차이인가요?
전설의한국인
2024.05.23
조회수
267
좋아요
1
댓글
1
서비스기획으로 이직하고싶은 주니어입니다..ㅠㅠ
저는 커리어 방향을 잡은 게 플랫폼에서 서비스기획 (신규 기능 추가, 개선, UXUI 등등)을 하고 싶다는 생각입니다. 웹 에이전시에서 UIUX 기획, 운영 업무를 하고 있는데 플랫폼으로 넘어갈 길이 막막해 고민입니다. 대행사 특성상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나 정량적 성과 측정이 어려워 서류 합격률이 떨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요.. 고민하던 와중에 큰 회사 인하우스 브랜드 콘텐츠 마케팅으로 입사할 기회가 생겼는데요. 콘텐츠 기획이 마케팅류이다 보니 서비스기획이랑 별 연관성이 없을 것 같긴 합니다만 이게 서비스기획으로 직무전환에 도움이 될지요 ㅠㅠ 아니면 현 회사에서 조금 더 데이터 관련 업무(운영 효율, 서비스 품질 지표 개선 등)나 솔루션 개선, 구축 등.. 역량 쌓으면서 핏한 서비스기획 직무로 가는게 맞을까요? 너무 고민이 깊어서 현명한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1. 브랜드 콘텐츠 기획으로 간다 2. 좀 더 서비스기획 역량을 쌓는다
enndjs
2024.05.15
조회수
1,003
좋아요
4
댓글
5
투표 Project manager 직무는 비개발직군이 수행 가능하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케이기획자
2024.05.13
조회수
1,066
좋아요
1
댓글
7
디자인 에이전시 프로젝트 매니저 하는일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요번에 제가 신입 디자인 에이전시 프로젝트 매니저로 입사하게되었습니다~ 이전엔 인하우스 pm업무 1년정도 경험했지만 에이전시는 처음인지라 감을 못잡겠네요 ㅠ (대기업 프로젝트 위주) 디자인이나 개발지식을 어느정도 알고있어야 업무가 순조로울수 있을까요? html,css 끄적거려본 정도라서 프로젝트 매니저로써 어떤 역량이 젤 중요한지 선배님들께 여쭤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PMP 공부도 조금씩 해보고있긴 합니다, 아직 입사전이라 배울것도 많고 갈피를 못잡겠네여 ㅠㅠ
잘부탇드려요
2024.05.12
조회수
559
좋아요
1
댓글
7
경력 2차면접후 면접결과 일주일 넘나요
안녕하세오 한창 이직준비하는 5년차입니다 N군데정도 1차면접보고 1군데는 연협중이고 나머지는 진행중인데요 제가 제일 가고픈 기업이 2차면접이후 일주일지났는데 아직 합불 연락이안옵니다 제가 경험한 기업들은 서류는 늦게 알려줄지라도 전형진행되면 일주일 내 거의 알려줬거든요 내부hr문의시 우선 기다리라고하고 아직 면접진행중이라 하는데 흠 뭔가 확실하지 않아서 홀드당한 느낌입니다 아무래도 마음비우는게 좋겠죠 ㅠ 너무 가고픈 곳이라서 아쉬운 마음에 의견여쭤봅니다 보통 늦게 발표할수록 합격과 거리가 멀어지는거같은데.. 그럴까요..
아바라아아
2024.05.09
조회수
1,932
좋아요
2
댓글
3
스타트업 pm 이직 연봉 1천 깎고 스톡+지분 3% 5년베스팅 어떤가요
스타트업 - 시드 투자 마무리 하였고 - 10인 이하 수준으러 팀 빌딩 완료 - cto 포함 개발직군 3명 - 월몇천만원 수준의 매출 발생중 글쓴 경력 - 스타트업 초기멤버로 경력 10년 - 엑시트 완료 - pm 리더 - 관리중인 서비스 연매출 100억 규모 - 영업이익 흑자로 계속 성장중 - 그러나 엑시트 완료 하여 추가 수혜 없음 제안받은 내용 - 현재 연봉에서 1000만원 깍고 - 스톡옵션 1.5% + 구주 1.5% - 5년 베스팅 - 도메인 다룸 현재 대기업에서 이직 제안을 받은 상태고 현 직장에서 내부에서 입지는 나쁘지 않으나 스타트업 다시 도전해보고 싶은데 선택 상황에서 고민이 많이 됩니다. 우선 제안받은 조건이 괜찮른 조건인지 판단이 서질 않네요 ( 회사 경험이 엑시트한 스타트업 하나뿐이라) 조언부탁드립니다
스타트업do
2024.05.09
조회수
1,449
좋아요
0
댓글
4
pm의 산출물은 어디까지인가요..?
it계열 서비스 기획자로 일을 하고 있는지 5년차인데 시니어로 넘어가는 단계가 되어가면서 pm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기존에 wbs, ia 기능,요구사항 정의서 명세서 sb, qa, 테스트 시나리오 등등 까지의 범위는 작업을 하였는데 연차수가 올라 갈수록 산출물 관리가 많아지는데 코드 정의서나 아키텍처, 품질관리 테스트 보고서, 과업대비표, 요구사항추적표와 같은 것들을 pm이 작업하나요? 코드 정의서나 아키텍처는 많이 어렵던데 시니어쯤 되면 다들 하시는 역량인지 궁금합니다.
기획자7374
2024.05.06
조회수
2,798
좋아요
18
댓글
17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