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자전거 케이스 대여 서비스, VC분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안녕하세요? 저는 VC업계 종사자는 아니고, 스타트업에 재직 중인 9년차 개발자 입니다. 직원은 5~6명정도에 현장직 아르바이트 분들까지 하면 10명 정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종종 이곳 커뮤니티에 와서 관심있게 글을 보곤 했었는데, 오늘은 제가 재직중인 회사가 투자자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어떤지 궁금해서 여쭈어 보고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먼저 서비스는 자전거를 가지고 항공기 이용시 수화물 규정에 맞도록 자전거를 포장하고 보호하는 케이스를 대여하는것 입니다. 자전거 케이스 대여라.. 저도 입사할때 이게 되는건가? 별것도 아닌것 같은데? 근데 스타트업 치고 매출이 꽤 되네? 반신반의 하면서 입사를 했었습니다. (엔젤 투자를 받은 상태였구요) 하지만 지난 1년간 지켜보니 경쟁자도 없고, 자전거 여행에서는 필수에 가까워서, 국내/해외 여행시 자전거 타시는 분들에게 인기 있는 서비스더라구요. 자전거 관련 인플루언서들 사이에 인기도 있어서 스스로 인스타나 유튜브에 리뷰도 해주시는 등등 입소문도 잘 나있는 상태구요. 케이스 자체도 수화물 규정이나 자전거 구조에 맞게 설계 부터 제작도 직접해서 케이스 종루별로 특허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태 입니다. 매출도 작년 기준 1억 중반 정도에 나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다만 이 매출은 서비스 유지만 가능한 정도 입니다) 곧 앱도 출시 예정과 동시에 무인화와 자동화도 진행예정 이구요. 자전거와 연계된 여행 상품등도 유명 여행사와 협업해서 앱과 통합 예정입니다. 무인화와 자동화가 진행 되면 서비스 공항도 현재 국내 4곳에서 최소 인력으로 빠르게 확장 가능하구요. 이렇게 준비가 되어가는데, 이상 하게 계속 투자를 못받네요? 대표님에 능력과 IR도 한 몫 했겠지만 지난 1년간 투자를 받지 못해 전전긍긍인 상황에 연속이였습니다. 그동안 계속 급여도 밀려 받으며 버텨왔죠. 그러던 중 작년말~올해 초쯤 한 인플루언서분 소개로, 중견 자전거 회사에서 투자와 이용권 매출을 약속해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회사가 약속한 투자금을 뜨문뜨문 한두달에 한번씩 소액으로 나눠서 주었고, 자꾸 이런저런 핑계를 대더니 약속한 투자금1/3정도 지급후 지금은 이제 못주겠다고 한상태구요. 대표말로는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려는거 같다. 당한거 같다.. 라고 하는데 내막은 잘 모르겠습니다. 어쨋든 현재는 뜨문뜨문 들어오던 투자금도 끊겼고, 계속 급여가 밀리는 원점인 상황에서 대표는 다시 투자 유치에 나선 상황 입니다. 안타까운것은 관광 관련 정부지원 사업이 선정된 상태인데 자부담 입금을 못해서 급여 지급도 못하고 있고, 계속된 장마로 가장 비수기인 시기라 매출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상태라는 점입니다. 요즘 스타트업이 어려운 상황인건 인지하고 있어서 그러려니 해 왔는데, 무엇이 문제 일까요? 제가 보기에 이대로 없어지긴 아쉬운 서비스인데, 설명이 부족하지만 다른 전문가들이 보시기에 무엇이 문제로 보이시나요? 시기의 문제가 크겠지만, 지난 재직했던 스타트업 중 돈한푼 벌지 못하고 현재 스타트업 보다 여러가지로 못 하다는 생각이 드는 스타트업이 수십억에 시리즈A 투자를 받았던 적도 있었고... 그 외에도 몇몇 비슷한 사례가 있었었는데... 정말 단순히 시절에 문제일까요? ㅜㅜ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장문을 쓰기가 꽤나 힘드네요. 오타가 있어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슈퍼셀
2023.07.11
조회수
1,547
좋아요
11
댓글
25
상장하기 어렵나요?
상장 난이도 관련 조언 구하고 싶습니다. 저희는 5년차 모바일 예약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입니다. 야놀자, 캐치테이블과 유사한 사업 모델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2022년도 실적은 매출액 30억, 영업이익 -5억, 매년 성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올라오는 공모주를 관심있게 보는데요. 저희 회사 사이즈와 비슷하거나, 혹은 재무구조가 더 안 좋은 회사들도 기술특례 등으로 상장되는 걸 보면서, 우리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여쭤봅니다. 창업 후 시리즈B 단계까지 벤처 투자를 받은 모바일 스타트업이 상장을 준비한다면 미리 준비해야할 중요한 것이 있을까요? 실제로 마음 먹으면 할 수 있는걸까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난나니요
2023.07.11
조회수
933
좋아요
6
댓글
5
국내 VC직급
안녕하세요. 한국 출장 계획이 있어서 명함을 따로 파야할것 같습니다. 북미 VC에서 Partner, Principal, Associate, Analyst 직급이 한국에서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미국VC
2023.07.10
조회수
1,707
좋아요
0
댓글
3
데이터룸 뭐 사용하세요?
제목 그대로 입니다, 업계에서 보통 뭐 많이 쓰시나요? 예를 들어 뭐 datasite, intralinks 등등
KMp
2023.07.10
조회수
789
좋아요
1
댓글
3
전문성을 키우고 싶은데 향후 어느 대학원의 무슨과를 전공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는 다양한 딜을 업종 구분없이 취급하고있습니다. 그때그때 회사를 공부해서 투자하다보니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보는 안목이 쌓이는 느낌은 들지만, 전문성이 부족하여 진흙속에 보석과 같은 회사를 찾아내는 안목이 부족하는데서 오는 갈증이 있습니다. 학부 전공은 경영학, 언어학, 뇌과학 쪽입니다.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두부한모
2023.07.08
조회수
971
좋아요
3
댓글
2
aicpa cfa frm중 그나마 쉬운것
그나마 그나마 굳이 고르자면...뭘까요??
앤디12345
2023.07.04
조회수
4,355
좋아요
10
댓글
31
PEF 출자세금 문의
PEF에 출자한 법인이 나중에 그 PEF지분을 통으로 사게되었을때 보통 시가평가나 IRR%로 LP합의된 금액중에 큰 금액으로 사게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이때 자기출자지분 상승분은 현물로 분배받는것과 같아보이는데 출자시점과의 차액에 대해 배당소득으로 법인세가 부과되는것인지요? 아니면 최초취득부터 가지고있는것이므로 세금이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moneobal
2023.07.02
조회수
1,011
좋아요
2
댓글
3
패밀리오피스는 어떤가요?
패밀리 오피스쪽은 분위기가 어떤가요?
망고복숭아
2023.06.29
조회수
1,874
좋아요
4
댓글
4
이직시 퇴사 이유
짧은 기간 1-2년 일한 곳에서 이직하게 되는 경우 퇴사이유를 모라고 하는게 좋을까요??
프리미엄1
2023.06.27
조회수
523
좋아요
1
댓글
2
투자계약서
스타트업 창업 예비자입니다. 개인 투자를 받기로 하였는데, 일반적인 투자계약서 양식을 받아볼 수 있을까요?
홍홍이1
2023.06.26
조회수
411
좋아요
1
댓글
3
CJ 대한통운 CVC에 대해서
회사는 어떤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경력직으로 어떤 사람을 주로 뽑나요? 나이는 어떻게 보는지도 궁금합니다.
프리미엄1
2023.06.23
조회수
1,542
좋아요
3
댓글
1
창업을 준비중 입니다. 네트웍이 부족해요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부동산업에서 근무하는 평범한 직장인 입니다. 20대 초반 부터 창업을 꿈꾸며 항상 시장 변화를 유심히 살피고 조사하며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살았습니다. 드디에 이번에 제가 꿈꾸던 창업을 실제로 해보려 하는데 아직은 저 혼자만의 생각이겠지만 단순 장사가 아닌 시장을 흔들 수 있는 사업구조를 만들었고. 그 규모가 어마어마 하다 판단하여 조심스럽게 준비를 해보려 합니다. 아직은 사업계획서도 없고 오직 제 머릿속에만 있어서 과연 내가 이 아이템으로 준비를 하면 시장에 나갈 수 있는지, 비젼이 있는지 구조가 좋은지 등 전문가의 입장을 한번 들어보고 싶은데 함부로 아이템을 노출하자니 불안한 생각도 들고 어떤 단계부터 밟아 가야하는지 아무것도 모르겠어서 조심스럽게 도움을 구해봅니다. 이미 제 주변 네트웍을 활용해서 자문을 구해본 결과 긍정 그 이상의 반응이 나와서 직접 투자를 진행하겠다는 분들도 있었는데, 지분 관계 등 경영에 있어 너무 지식이 없어 어떤식으로 시작을 해야할지가 막막하네요...
립승
2023.06.23
조회수
1,444
좋아요
10
댓글
22
대략 밸류 1000억 이상 수준으로 성장한 기업의 대표자 대상 지원 프로그램
당연한 얘기로 초기 단계 스타트업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멘토링, 데모데이, 교육 및 세미나 등)은 많은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혹시 대략 밸류 1000억 이상 혹은 직원 수 70여명 이상 정도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기관 등에서 하고 있는 각 분야별 지원사업 등은 제외하고 해당 스타트업의 대표자 혹은 임원급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궁금해서요. 해당 단계에 들어선 스타트업의 대표님들의 경우 비즈니스 운영이나 조직 운영/관리 측면에서 지원 프로그램이 있다 하더라도 시간 상 참여가 어렵지 않으실까 싶기도 하고, 반면에 해당 단계에서 맞게 되는 조직 운영에 대한 변화 대응이나 관리, 인재 영입이나 권한 위임, 시장 확대 등에 대한 고민도 있으실 것 같아서 이런 부분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하실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해당 부분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고민하고 있는 입장에서 계신 분들의 편하게 자유롭게 주시는 의견이 궁금하여 글 올려봅니다.
호대기
2023.06.21
조회수
386
좋아요
3
댓글
2
혹시 뉴패러다임인베 아시는 분 계신가요?
그냥 지나가다가 본 회산데, 아직 사회 초년생 이기도 하고 VC업 준비하기도 했어서 커리어 초반에 스타트업 분들 만나고 다니면서 일배우기 재밌고 좋을 것 같아서 지원 해볼까 생각이 드네요! 혹시 아시는 분 계신가요?? ㅎㅎ
애기심사역
2023.06.21
조회수
923
좋아요
4
댓글
4
cfa랑 frm 명함에 파시나요?
변호사 회계사야 당연히 하는게 맞고 혹시 상기 자격도 기재하시나요... 굳이 오버하는건가 싶기도 하고 해야하나 맞는게 싶기도하고 겸손이 미덕인지...
앤디12345
2023.06.20
조회수
5,084
좋아요
9
댓글
35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