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동료 비난하는 동료
관리자들끼리 비난하고, 전임자 욕하는 친구가 있습니다. 그런데 여성이라 그런지 늘 남성 임원들께 고과를 잘받아왔어요. 동료 관리자들과 관계는 최악입니다. 이런분들 다 많으시죠. 다른 회사는 어떤지 궁금하네요.
rocket78
23년 03월 13일
조회수
433
좋아요
1
댓글
1
투표 하고 싶은 일 vs 돈 잘주고 안정적인 일
제목 그대로입니다. 지금은 후자에서 근무하고 있는데 하고 싶은 일 (잘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경력도 좀 있구요)으로 연봉 삭감하고라도 옮겨갈지 고민입니다. 가슴 뛰는 일을 해야 더 많이 배우고 결국에 성공한다 하는 분들도 있고 한살한살 먹을수록 결국 돈 벌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맞다는 분들로 갈리네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chkwij
23년 03월 13일
조회수
513
좋아요
1
댓글
2
기자님 혹은 방송국 분들 도와주세요..
저희 가족에게 일어난 일에 대하여 도움을 구하고 싶어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이 일은 저희 아버지께서 겪고 계신 일인데요. 저희가 파헤치고 싶어하는 인물은 A라는 인물입니다. A라는 인물이 연예인과의 관계, 대기업과의 관계, 수주업자들과의 부당이득금 등 (돈세탁)의 관계가 명확하여.. 도움을 구하고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혐위인 건설면허대여로 인한 부조리" 이 부분에 대해 파헤칠 방법이 여의치 않은 부분을.. 기자님들이나 방송국 에서 취재 도와주실 분 안계실까요?
컨텐츠가답이다
23년 03월 13일
조회수
597
좋아요
2
댓글
2
기구설계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저는 이번에 대학교입학하는 후배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기구설계일을 3년가까이 하고 학교에 입학하는 후배입니다. 제가 기구설계일을 3년가까이 하다보니 3D업종인걸 깨닫고 업종변경겸 배우고 싶은게 있어 학교에입학하였습니다. 여기 기구설계 현직에 계신 선배님들 선배님들은 기구설계를 하면서 느낀점 그리고 후배들에게 기구설계라는 직종을 권하고 싶으신가요?
익명1999
23년 03월 13일
조회수
2,647
좋아요
25
댓글
53
매월 미용실 가기 귀찮은 숏컷 분께 ! 머리 출장 서비스 어때요??
남편 머리 깎아주면서 생각난 점입니다. 다만, BM이 좀 약하고. 수수료도 약해서.. 좋은 BM은 아니지만 꼭 필요한 서비스일것같아서요. 만약 단골 미용원 쌤에게 집에서 깎는 서비스 비용을. 얼마면 이용하시겠어요? 단, 샴푸나 헤어드라이기는 집에 있는 것을 사용하여 말려드립니다.
차도끼
23년 03월 13일
조회수
940
좋아요
2
댓글
6
조언 구합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여기 계실 수도 있겠지만요.. 공직에 있다가 사기업으로 가신 분들 있나요? 공무원도 못 버티면 아무데서도 할 거 없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는데 정말 그런가요? 아니면 모르고 아는 척 하는 소리인가요?? 제가 전주시청 신규 공무원 자살하는 거 보고 좀 이해가 안가서요. 그냥 다른데로 이직 하면 되지 않나 했어서요...
nj12
23년 03월 13일
조회수
366
좋아요
1
댓글
2
급!!! 현장대리인 선임 질문
30억 미만 생활시설 공사라 초급도 가능한 현장인데요 1. 제가 현장경험 없는 건축기사 + 초급인데 현장대리인 들어가 지나요?? 2. (직무분야 건축- 구조 2년 7개월 건축-시공. 5개월 째) 그외 잡다 도면 10년). 인데 3년 이상 직무분야 실무 쳐주나요?
본사공무119
23년 03월 13일
조회수
3,358
좋아요
5
댓글
14
이직을 준비중입니다..조언구합니다.
요리를 좋아하여 20대 중반에 뛰어든 요식업 . 함께하는 사람없이 모든걸 혼자하기에는 요식업의 미래성이나 개인적인 한계? 가 너무 뚜렷합니다. 이번에 동업하던 가게가 정리되면서 큰 결심을 하고 이직하려 합니다. 관심있는 직무는 인사 물론 스펙이 다른사람들처럼 엄청 화려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유학했던 경험 그리고 사람들을 많이 상대하고 직원교육을 맡아했던 점들을 강점으로 지원해보고 싶은데요. 인사 쪽 업무로 지원할때 어떤 기준으로 회사를 고르고 이력서를 넣어야 하나요? 쓴소리도 감사합니다. 정말 진지하게 마지막으로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요식업 동지
23년 03월 13일
조회수
397
좋아요
1
댓글
6
스타트업.. 직장동료들이랑 사이가 좋아야할까요
전직원 15명 내외인 스타트업입니다.(저희 팀은 저 포함 6명) 다른 팀 직원들은 협업에 필요하니 원만히 지내는데 같은 팀 사람들과 어느선까지 가까워지는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직원수가 적고 미래를 개척해야하는 스타트업 특성상.. 서로 친밀한게 좋을 것 같은데 제가 전 직장에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던 팀장에게 통수를 맞고 당일퇴사를 한 적이 있어 그냥 직장동료랑은 아주아주아주 건조한 관계를 유지하고 싶습니다. 팀원중 한 분은 저를 상당히 각별히 생각해주시는데 종종 저를 뒷담화 들어주는 인형으로 쓰는 것 같아요 저랑 비슷한 인원 규모의 스타트업에서 종사하시는 분들은 대인관계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밈뭄
23년 03월 13일
조회수
700
좋아요
1
댓글
0
정규직에서 계약직
대기업에서 헤드헌터로 제안이 들어와서 현재 서류 통과된 상태입니다. 현재는 200명 정도 규모의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데요. 이직 조건은 연봉 20% 상승, 대학생때부터 정말 하고 싶었던 업체 마케팅, 대기업 복지 및 인프라 But 계약직 입니다. 매우 고민 됩니다 ㅠㅠ 어떡하면 좋을까요
뽀그리그
23년 03월 13일
조회수
906
좋아요
1
댓글
4
퇴사를 언제 얘기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점심 맛있게 드세요! 항상 리멤버에서 많은 분들께 좋은 생각을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슬슬 퇴직을 얘기를 해야하는데 언제 말씀드려야 할 지 가늠이 가질 않네요ㅠ 지금 제 상황은 최근 이직에 성공하여 3월초에 최종합격 통보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채용검진이 일주일 뒤여 있어서 바로 말씀은 못드렸어요. 지금은 채용검진 받은 지 하루가 지난 상태입니다. 갈 회사의 입사일은 5월중순입니다. 아직 꽤 기간이 많이 남아있는데요. 갈 회사에 전화해 보니 채용 검진시 이상이 없으면 딱히 전화는 없다고 하더라구요. 많은 분들께서는, 근로계약서 및 연봉 협상등 확실한 내용이 있은 뒤에 말할 것을 추천하시더라구요 저도 그러고 싶은데 지금으로 채용검진 이상이 없으면 따로 연락도 안오며 채용 날 이후에 교육을 하면서 근로계약서를 쓰나봅니다. 지근 상황에서는 저는 채용검진이후인 일주일 뒤에 말씀 드려볼까 하는데 리멤버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아닌것같습니다
23년 03월 13일
조회수
2,516
좋아요
1
댓글
8
문화는 전략을 아침식사로 먹는다?
Peter Drucker는 실제로 이 말을 하지 않았다. “Culture eats strategy for breakfast.” 문화는 전략을 아침거리로 먹어 버린다. 그의 견해가 아님에도 말이 잘못 퍼져서, 전략을 어떻게 전개하건 문화 때문에 될 것도 못되고 안될 것도 된다는 식으로 잘못 인용되어 왔다. 해석하기에 따라 본질이 왜곡될 수 있는 메세지이다. Peter Drucker가 실제로 한 말은 이것이다. “Culture—no matter how defined—is singularly persistent.” 문화는 어떻게 정의가 되건 간에 독특한 형태로 지속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니 새로운 문화로 단기간에 바꾸려하기보다는 존재하는 문화를 활용부터 하면서 변화를 도모해가야 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이다. 출처: 1) The Wall Street Journal (1991), “Don’t Change Corporate Culture—Use It!” - Peter Drucker 2) https://www.drucker.institute/did-peter-drucker-say-that/ - The Drucker Institute
김현주 | 성과와역량연구소
23년 03월 13일
조회수
597
좋아요
3
댓글
0
문화는 전략을 아침식사로 먹는다?
Peter Drucker는 실제로 이 말을 하지 않았다. “Culture eats strategy for breakfast.” 문화는 전략을 아침거리로 먹어 버린다. 그의 견해가 아님에도 말이 잘못 퍼져서, 전략을 어떻게 전개하건 문화 때문에 될 것도 못되고 안될 것도 된다는 식으로 잘못 인용되어 왔다. 해석하기에 따라 본질이 왜곡될 수 있는 메세지이다. Peter Drucker가 실제로 한 말은 이것이다. “Culture—no matter how defined—is singularly persistent.” 문화는 어떻게 정의가 되건 간에 독특한 형태로 지속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니 새로운 문화로 단기간에 바꾸려하기보다는 존재하는 문화를 활용부터 하면서 변화를 도모해가야 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이다. 출처: 1) The Wall Street Journal (1991), “Don’t Change Corporate Culture—Use It!” - Peter Drucker 2) https://www.drucker.institute/did-peter-drucker-say-that/ - The Drucker Institute
김현주 | 성과와역량연구소
23년 03월 13일
조회수
1,233
좋아요
9
댓글
4
투표 거래처 달라는 새로운 분
기존 저희 회사에 다니셨다가 다시 팀장으로 들어오신 분이 있습니다. 그 분께서 거래처 리스트를 달라고 하시더니 갑자기 이중에 내거래처로 달라고 하네요. 안된다고 했는데 일단 거래처들한테 전화하겠다고 통보하네요....이거 제생각에는 선넘는거 같은데....아닌가요? 의견 부탁드릴깨요
쇼미터머머니
23년 03월 13일
조회수
1,657
좋아요
4
댓글
15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