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글
매주 월, 목 업데이트
전체보기
글쓰기
회원님, 지금 회사에서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새글피드
[가끔은 실소] 새가 한숨 쉬는 것을 세 글자로 표현하면?
넌센스 퀴즈 (아재 개그) === 새가 한숨 쉬는 것을 세 글자로 표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버드 * 힌트: 하 버드 === 피식했다면 댓글 고고! 신박한 기출변형이 있다면 댓글 고고! 좋아요 반사해드려요! ## 넌센스 퀴즈 더 보기: 커뮤니티에서 '가끔은 실소' 검색 =) 화장실에서, 식곤증에 좋아요 😂 === 우하하 🤣🤣🤣 웃음 가득한 하루 되세요!
싱싱한 회사원
억대연봉
쌍 따봉
어제
조회수
450
좋아요
37
댓글
6
새로온 사람이 나보다 연봉 높은거 너무 짜증난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너무 짜증난다. 나보다 업계 경력도 짧고 내가 훨씬 더 전문가인데, 연봉협상 잘한건 그사람 능력이고, 그 사람한테는 미운 감정이 들 필요는 하나도 없지만 연봉에서 적당히 차이가 나야되는데 너무 차이가난다 단순히 그 사람이 최근에 입사한건데, 열심히 하면 뭐하냐 회사에서 그래서 이번년에 처우개선해준다고 했다가 갑자기 말바꾸고 내년에 처우개선 해준다고 하는데 그것도 못 믿겠고 아 사람인지라 너무 화가난다. 내년까지 기다리는것도 짜증나고 갑자기 너무 짜증나서 새벽에 깼다. 이번년에 경제도 안좋고 회사도 안좋다고 급여동결 시킨것도 아무말도 안하고 그냠 넘어갔는데, 회사 실수령은 세금떼고 뭐하면 오르지가 않는것같다 윗대가리들 자기가 그입장이 되보면 지도 존나 열불낼거면서 하 그냥 조용히 이직준비 하는게 맞을까 이 짜증남을 어떻게 해야할까 정말 너무 화가난다
까까까
은 따봉
어제
조회수
10,069
좋아요
82
댓글
62
요즘 일 쉬고 계신분들
몇개월째 쉬고 계신가요? 전 번아웃와서 실업급여 받으면서 무지성으로 쉬다가 3개월 전부터 이직 준비했는데,, 공백기로 치면 약 7개월 쉬었네요 🫥 요즘은 주말에 소일거리로 알바중인데 면접 한번 떨어질때마다 감정소모가 크네요 다들 하반기엔 꼭 취업해요 🙌
아포카툐
동 따봉
2일 전
조회수
1,165
좋아요
19
댓글
12
이직 서류에 대학원 재학중 여부 적는 것이 나을까요?
금융업계로 경력직 이직을 고려중 입니다. 그리고 현재 금융업계 경영분석 포지션으로 경력 이직 서류를 작성하고자 하는데, 대학원 재학중인 것을 적는 게 유리할까요 아니면 쓰지 않는 것이 유리할까요? 대학원은 업무와 연관성이 있고 야간대학원이라 업무시간과 겹치거나 그런 건 없습니다. 걸리는 점은 대학원에 다니는 것이 업무에 지장을 준다고 생각할까봐 그게 걸리네요..
얀구직
2일 전
조회수
112
좋아요
1
댓글
0
회계사 자격증은 땄는데 현실은 파견직… 회계사 커리어 이렇게 시작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저는 작년에 외국 대학교 졸업 후 외국 회계사 자격을 취득하고, 회계법인 빅4에 들어가기 위해 준비했지만 취업이 잘 되지 않아 현재는 외국계 기업의 회계/자금팀에서 파견직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일한 지는 이제 한 달 조금 넘었습니다. 입사한 지 얼마 안 됐는데 벌써 다른 곳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게 저도 좀 조심스럽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인더에서 커리어를 시작하는 게 나중에 다시 회계법인을 지원할 때 좋게 보일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실적으로는 빅4에 들어갈 실력이 부족해서 인더에서 시작하게 된 거고, 저 스스로도 그 점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도 저는 회계사로서 제대로 성장하고 싶고, 배우고 싶은 것도 많기 때문에 여전히 빅4에 도전하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이 자리에서 최소 1년은 채우고 옮기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바로 다시 빅4에 도전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한 가지 더 속상한 건, 외국 회계사 자격을 따느라 정말 열심히 공부했고 나름 자부심도 있었는데, 회계법인에서는 별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 같다는 점입니다. 그렇게 어렵게 자격증을 땄는데, 첫 직장이 대기업 정규직도 아니고 파견직이라는 현실이 좀 허무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지금이라도 대기업 공채를 준비해보는 게 좋을까요? 선배님들의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글)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새벽에 너무 답답한 마음에 용기 내어 쓴 글이 이렇게 많은 분들께 읽히고, 조언까지 받을 수 있을 거라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먼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 하나하나 읽으면서, 때로는 위로 받고, 때로는 뼈아픈 지적도 새겨들었습니다. 제가 이 글을 추가로 쓰는 이유는, 몇몇 분들께 제 마음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 같아 조심스럽게 제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려는 것입니다. 저는 회계사가 되고 싶었습니다. 누군가에겐 흔한 꿈일 수도 있지만, 제게는 간절한 목표였습니다. 제가 가진 여건 속에서, 해외 유학 시절부터 스스로 가장 잘할 수 있다고 믿었던 회계를 붙잡고 공부했고, 4년 넘게 달려와 외국회계사 자격을 취득했습니다. 누군가는 ‘외국 자격증’이라 가볍게 여길지도 모르지만, 저에겐 그게 전부였습니다. 제가 이 분야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유일한 증거였고, 스스로를 증명하고 싶어서 밤새워 책을 붙잡았던 시간들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회계법인 문턱은 생각보다 높았고, 결국 저는 외국계 회사의 회계팀에서 파견직으로 커리어를 시작하게 됐습니다. 물론 일할 수 있음에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 다만, 제가 고민했던 건 단 하나였습니다. “이 선택이, 회계사로서의 커리어를 이어가기 위한 올바른 시작점일까?” 혹시 이 파견직이 장기적으로 마이너스로 작용하진 않을지, 그렇다면 조금 더 늦기 전에 다시 도전해야 하는 건 아닐까… 그런 마음이었습니다. 어떤 분들은 “그럴 거면 외국에서 일하지 왜 한국에 있냐”고 하시지만, 저는 한국에 있어야 할 이유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유 때문에, 지금은 제가 가진 자격과 경험으로 한국에서 어떻게든 커리어를 만들어 가고 싶습니다. 제가 감히 한국 회계사님들과 비교하겠다는 뜻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그 치열한 과정을 거쳐오신 선배님들,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저는 단지, 제 방식으로 정말 열심히 달려온 지난 시간을 부정당하고 싶지 않았던 것뿐입니다. 저는 질타도 당연히 받아들이겠습니다. 하지만 그 속에서 혹시라도, “이 친구, 진심이 있구나”, “어디서부터 다시 시작하면 좋을지 알려주고 싶다” 그렇게 느껴주시는 분이 계시다면, 저는 그 말씀 하나하나에 다시 일어설 힘을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모든 조언 하나하나 새겨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늘하늘1
은 따봉
2일 전
조회수
3,704
좋아요
65
댓글
48
회계팀 현직자분들 의사소통중 어려운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회계팀으로 취준중에 있습니다 유통기업에 지원할 예정인데, 현직자 분들께서 업무중 소통하실때 힘든점이 있으실까요??? 저는 막연하게 생각했을때 타부서에서 비용처리 안하거나 임원께서 결재 지연 비용마감 지연 등등 으로 갈등상황이 굉장히 많을것같은데 (겉으로는 웃겠지만요) 현직자분께 여쭈어봤는데 마감은 당연히 기한내에 되는거라 크게 갈등상황을 느껴본적이 없다고 하시더라구요.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이 소통을 엄청나게 강조하고있어서 회계팀에서 소통, 타부서나 부서내에서 혹은 외부업체도 좋으니 어려웠던점이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려요!!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택이d
2일 전
조회수
621
좋아요
9
댓글
11
퇴사 시기 및 이직회사 입사 시기
현재 다니는 회사는 약3개월 조금 더 되었습니다. MD직무로 일하고 싶어 AMD를 지원하여 입사하게 되었고 전혀 다른 직종으로 오게 되어 연봉은 50% 가까이 줄여서 입사했습니다. AMD로 입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 과중이 너무 심해 퇴사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몰 5개 넘게 제가 직접 기획, 제안, CS, 발주를 다 맡고 있습니다. (해당 분야는 처음이라 솔직히 버겁습니다.) 최종 관리자 조차 퇴사를 하는 바람에 컨트롤 타워는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이후로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 퇴사 마음 먹고 조용히 이곳 저곳 반차를 쓰고 면접을 보러 갔다가 더 좋은 회사에 합격 발표를 받았습니다. 그 쪽에서는 최대한 빠른 출근을 원합니다. 다음주 중으로... 원하시는 것 같습니다. 퇴사는 최소 2주 전이라고는 알고 있지만 사측과 협의하면 빠른 퇴사도 가능할까요. 인수인계는 이미 제 일을 맡으셨던 분은 회사에 계셔서 다시 맡아 그 분들의 일이 늘어날 것 같습니다.
i00i
2일 전
조회수
188
좋아요
2
댓글
1
이직? 휴식?
감사합니다^^
딸기몬스터
2일 전
조회수
639
좋아요
26
댓글
9
중간관리자인데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조직의 중간관리자입니다. 신입으로 입사 후 5년만에 승진해서 말단을 벗어난지 7개월된 동갑내기 직원이 있습니다. 저와는 대략 3직급 정도 차이가 납니다. 이 직원이 장점도 있지만, 제가 참기 어려운 업무상 단점이 있습니다. 1) 어려운 일을 만나면 문제를 회피하려고 하고, 문제 해결 노력은 하지 않고 제게 떠넘깁니다. 그게 중간관리자가 해야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담당하는 사업이 있고 그 사업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추진 담당자이고(저희 회사 구조상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문제 발생 시, 대안을 찾아보고 안을 가지고 와서 저와 논의를 하고 제가 의사 결정을 하도롣 하는 것이 적절한 행동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친구는 매번 제게 떠넘기네요. 2) 업무 지시를 했는데 본인이 하기 싫거나 못하겠으면 제게 얘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제 앞에서 타팀 팀장을 찾습니다. 본인이 저의 도움이 필요하면 아양을 떨면서 팀장님이 해주셔야지요 하면서, 제가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그건 대리님이 해야하는 일이라고 업무지시를 하면 잠시 하는 척 하다가 같은 공간에 있는 타 팀장에게 물어보는 짓을 오늘도 하는데 정말 화가 너무 났습니다. 감정적인 사람이라 본인잘못은 생각하지 않고 싫은 소리를 무조건 상대방이 자신한테 잘못한 것으로 소문을 내기도 합니다. 달면 삼기고 쓰면 뱉는 그 이상입니다. 저희 팀 직상위자에 대해서 제게 자주 그렇게 말하곤 해서 잘 알고 있습니다.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지 않도 남탓을 하고 (승진 누락 사유가 다른 동료들이 봐도 업무역량 부족인데 본인만 남탓을 합니다) 점심 때 저를 의도적으로 배제하기도 하고 자기가 해야할 일을 미루고 문제에 대한 솔루션도 제시히지 못해서 나이가 적지 않은데(40대) 인격이 성숙하지 않았고 업무 역량도 나이 어린 같은 직급에 비해 낮다는 것이 저의 판단입니다. 장점도 있는 직원이지만 솔직히 저는 업무 역량은 둘째치고 인격이 안 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함께 일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저와 동갑이데 한 직급 아래 성별이 다른 직원 편의상 B가 있는데, 이 직원은 성숙한 인격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태스크를 잘 추진하고 안 되는 것을 자신이 생각하는 대안을 가지고 저와 논의를 합니다. 대안을 찾기 어려울 때는 제게 솔직하게 얘기를 하고 도움을 청합니다. 이렇게 역량 차이가 나는데 A는 자신이 부족한 게 아니라 제가 안 도와준다, 중간관리자로서 할 일을 안 한다 생각을 합니다. 도와주면 고마운 줄 모르고 당연히 해줘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정당한 업무지시에 대해서 이걸 왜 자기가 해야하나 생각을 합니다.. 이런 하급자 어떻게 대하시겠어요?
핼리혜성
동 따봉
2일 전
조회수
212
좋아요
3
댓글
2
중간관리자입니다. 어떻게 하시겠어요?
안녕하세요. 조직의 중간관리자입니다. 신입으로 입사 후 5년만에 승진해서 말단을 벗어난지 7개월된 동갑내기 직원이 있습니다. 저와는 대략 3직급 정도 차이가 납니다. 이 직원이 장점도 있지만, 제가 참기 어려운 업무상 단점이 있습니다. 1) 어려운 일을 만나면 문제를 회피하려고 하고, 문제 해결 노력은 하지 않고 제게 떠넘깁니다. 그게 중간관리자가 해야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담당하는 사업이 있고 그 사업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추진 담당자이고(저희 회사 구조상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문제 발생 시, 대안을 찾아보고 안을 가지고 와서 저와 논의를 하고 제가 의사 결정을 하도롣 하는 것이 적절한 행동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친구는 매번 제게 떠넘기네요. 2) 업무 지시를 했는데 본인이 하기 싫거나 못하겠으면 제게 얘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제 앞에서 타팀 팀장을 찾습니다. 본인이 저의 도움이 필요하면 아양을 떨면서 팀장님이 해주셔야지요 하면서, 제가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그건 대리님이 해야하는 일이라고 업무지시를 하면 잠시 하는 척 하다가 같은 공간에 있는 타 팀장에게 물어보는 짓을 오늘도 하는데 정말 화가 너무 났습니다. 감정적인 사람이라 본인잘못은 생각하지 않고 싫은 소리를 무조건 상대방이 자신한테 잘못한 것으로 소문을 내기도 합니다. 달면 삼기고 쓰면 뱉는 그 이상입니다. 저희 팀 직상위자에 대해서 제게 자주 그렇게 말하곤 해서 잘 알고 있습니다.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지 않도 남탓을 하고 (승진 누락 사유가 다른 동료들이 봐도 업무역량 부족인데 본인만 남탓을 합니다) 점심 때 저를 의도적으로 배제하기도 하고 자기가 해야할 일을 미루고 문제에 대한 솔루션도 제시히지 못해서 나이가 적지 않은데(40대) 인격이 성숙하지 않았고 업무 역량도 나이 어린 같은 직급에 비해 낮다는 것이 저의 판단입니다. 장점도 있는 직원이지만 솔직히 저는 업무 역량은 둘째치고 인격이 안 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함께 일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저와 동갑이데 한 직급 아래 성별이 다른 직원 편의상 B가 있는데, 이 직원은 성숙한 인격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태스크를 잘 추진하고 안 되는 것을 자신이 생각하는 대안을 가지고 저와 논의를 합니다. 대안을 찾기 어려울 때는 제게 솔직하게 얘기를 하고 도움을 청합니다. 이렇게 역량 차이가 나는데 A는 자신이 부족한 게 아니라 제가 안 도와준다, 중간관리자로서 할 일을 안 한다 생각을 합니다. 도와주면 고마운 줄 모르고 당연히 해줘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정당한 업무지시에 대해서 이걸 왜 자기가 해야하나 생각을 합니다.. 이런 하급자 어떻게 대하시겠어요?
핼리혜성
동 따봉
2일 전
조회수
1,807
좋아요
24
댓글
25
드디어 팀원이 퇴사합니다
진짜 꼴도보기 싫은 팀원이 퇴사합니다. 언제 나가나 했는데 드디어 나가네요. 저랑 사이 안좋은건 모두가 아는사실인데 팀원중 한명이 그래도 farewell 식사는 해줘야 하지 않겠냐. 다른팀원들이 그래도 이렇게 한번 하면 너를 다르게 볼거다 라고 하는데 굳이 해야 할까요? 아 진짜 하기싫어서 올립니다.
iiilili
억대연봉
2일 전
조회수
468
좋아요
1
댓글
4
경력이직 시, 회사 규모 다운에 대한 조언 요청
안녕하세요 2년 경력의 인사 주니어입니다!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하고자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이직하려고 하는 회사가 핀테크솔루션 기업으로 약 150명 내외, 200억대 it업계입니다 현 직장은 900억대, 약 250명 제조업입니다 연봉의 조건이나 복리후생 등의 처우는 비슷한 조건인데 HR이 보통 규모, 사람수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해당 이직이 적절한지에 대해 조언을 구해보자고 합니다 당연히 짧은 경력으로 현 직장과 동일하게 인사운영 포지션입니다, 이직 사유는 경영악화입니다 조금 더 기다리면서 더 좋은 이직처를 찾아봐야할지 많은 조언을 해주십사 글 남겨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hr새내기
2일 전
조회수
114
좋아요
0
댓글
0
최종면접 후 건강검진
2차 면접 완료 후, 합불 여부가 아닌 레퍼체크 및 건강검진 진행, 연봉협상 자료 제출하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긍정적인 신호라고 봐도 될까요? 이런것도 2인 이상에게 받아보고 최종합격여부가 결정될 수 있나요?
목도로구
2일 전
조회수
177
좋아요
2
댓글
1
인생 길게 봐야하는거겠죠??
같은 팀 대리가 너무 잘나가는거 같아요...물론 이 회사 벗어나면 도긴개긴이겠지만 팀 내에선 그나마 잘 하는 축에 속해서 거들먹거리는게 은근히 스트레스받네요ㅋㅋㅋㅋㅋ 이 분이 안 되기를 바라는건 아니고 저도 늦었지만 노력하면 따라잡을 수 있을지ㅠ 더 좋은 회사 갈수있을지 걱정입니다
ijijjji
은 따봉
2일 전
조회수
8,638
좋아요
71
댓글
38
이직후 다른회사 면접
5년경력을 가지고 지난주 이직한 회사로 출근한지 일주일 조금 넘었습니다. 입사하기 전 지원했던 회사에서 연락이 와서 면접의사를 물어봐서 일단 간다고 했지만 연차도 없고 거짓말을 해서라도 가야할 회사인지 너무 고민됩니다. 현 회사 20명내외 규모 중소기업. 5년간 기존에 하던 업무랑 비슷. 과장급 직책으로 입사. 이전보다 연봉상승. 면접 회사 90명내외 규모 중소기업. 인테리어 직무로 전공과는 맞음. 사원급으로 업무 습득해야함. 이전보다 연봉 하락예상. 일을 할 때 연봉이 중요할까요. 도전이 좋을까요. 전공을 다시 살려보고싶다는 생각에 인테리어 직무로 여기저기 넣어보고 면접도 봤는데.. 잘 안되다가 지금 회사에 경력살려서 넣어 바로 합격하긴했어요 면접이라도 볼면 후회안할까요? 아님 뒤도 안돌아보고 지금상태로 앞으로 나아갈까요?
송편
2일 전
조회수
258
좋아요
2
댓글
3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송기홍)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