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대학생 창업 실패했습니다. 이번엔 스타트업에서 먼저 경험 쌓아보고 싶은데
안녕하세요 몇 년전 IT 스타트업 창업을 했었고 향후 다시 창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입니다. 당시 팀을 이끌며 아이템 기획부터 서비스 출시까지는 직접 경험해봤지만, 그 이후 비즈니스 성장을 어떻게 만들어가는지 더 깊이 배우고 싶어 급성장하는 스타트업에서 인턴을 하며 PM, 전략, 마케팅, 영업 등 실무 경험을 쌓고 싶습니다. (기왕이면 여러 직무 맡아보고 싶기도 해요) 어떤 규모 / 성장 단계의 스타트업이 가장 적절할까요? Seed / Pre A / Series A 5명~15명 / 10~30명 / 20~40명 1~2년 / 2~4년 / 3~6년 정도로 생각해봤는데, Pre A ~ 초기 Series A, 10~30명, 2~5년차 이 정도 어떨까요? 이전 창업 당시 했던 경험은 - 시장조사/고객인터뷰/PMF 검증과정, 서비스 피봇 - BM 수립(수익모델, 차별성, 성장전략, 마케팅전략 등등)과 사계서 작성 - Flowchart, IA, midfi-wireframe, UX writing, 서비스 정책서 작성, QA - 투자 유치 전략 수립, IR 피칭 등이 있습니다. 직접 창업하며 아이템 기획~서비스 제작 까지는 경험해봤는데, 그 이후에 어떻게 실행해야하는지 처음이다 보니 막막하여 창업을 그만두었습니다. 2년 간 다른 산업에 몸 담아봤는데 다시 창업이 아른거립니다. 이번에는 다시 창업부터 하지 말고 역량부터 길러보고 싶은데 제가 멈췄던 이후 단계를 현재 잘해나가는 스타트업에서 체험해보고 싶습니다. 계속 구상만 하고 고객 반응을 못 봤어서, 고객반응 보며 린하게 실행하면서 성장시키는 경험을 하고 싶어요 1. 저 어떤 규모의 스타트업에서 일해볼까요? 2. 그리고 향후 창업자이자 대표로서 경험과 역량을 쌓으면 좋은지 커리어패스를 계속 고민하는 중인데요, 어떤 곳에서 어떤 직무를 하면 좋을지 업계 선배님들의 고견이 궁금합니다. 3. 스타트업 고르는 기준이 있을까요? 테스트/실행/PM 관련 체계가 잡혀있는 곳을 가는 게 좋을까요?
치츠덕
은 따봉
03.02
조회수
2,929
좋아요
56
댓글
31
3-4년차 퇴사시기 고민
안녕하세요. 대기업 서비스기획 직무 3년차 입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3-6개월 정도 쉬고 싶어서 퇴사를 고려하고 있습니다.(추후 이직 시도할 예정) 최대한 빨리 그만두고 싶은데 입사한 날까지 기다려서 4년을 채우고 퇴사해야하는지 아니면 그게 별 의미가 없는지… 이직과 퇴사가 처음이라 먼저해본 선배님들에게 조언을 구합니다!
열심후배
02.26
조회수
1,460
좋아요
57
댓글
51
중견PM?강소팀장?대기업계약직PM
안녕하세요. 20년이 넘게 개발자로 PM으로 이곳 저곳 파견나가서 일을 해왔었는데 그것이 지쳐서 그만뒀는데 똑같이 파견다니며 같은 업종 중견 SI PM 선택. 1번 업종은 조금 다르지만 모바일 기반의 일을 하는 강소기업 팀장 선택 2번 업종은 조금 다르지만 대기업 1년단위 계약집 PM 3번 어느곳을 선택하는것이 향후 10년뒤에 옳은 선택이었다. 싶을까요? 중견기업은 출근거리 1시간30분 : 파견 근무지에 따라 변경 대기업과 강소기업은 출근거리 1시간 이내 : 두곳은 모두 회사 내에서 근무 회원님들의 선택은 어떨꺼 같습니까?
핑마니아
동 따봉
02.26
조회수
1,249
좋아요
47
댓글
36
퇴사직전 충전되는 연차 행사 가능 여부
이번에 이직 성공하여 곧 퇴사를 할 예정인인 직장인 n년차입니다. 다만 예정퇴사일이 입사일 직후인데, 이럴경우 매년 충전되는 연차 15일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거해서 (퇴사 후 잔여 휴가 태우기던 돈으로 받던) 혹시 이런 경험하신 분들 계실까해서 질문 올립니다.
모짜치즈밥
02.26
조회수
954
좋아요
19
댓글
14
대기업 기준은 무엇인가요?
대기업 구분 기준이 무엇이죠? 너도나도 대기업이라고 해서 통상적으오 대기업으로 여기는 기준이 궁금합니다.
tuyado
02.25
조회수
1,287
좋아요
58
댓글
49
5년차에 스타트업 이직 괜찮을까요?
저는 웹에이전시에만 5년 근무한 기획자입니다. 퇴사 후 인하우스로 이직을 준비하고 있는데 많은 프로젝트를 경험했지만 대부분 탑다운 형식의 웹기획만 하다보니 성과 지표가 없고, 데이터 기반 기획 경험도 없습니다. 구축한 뒤 운영이 어떻게 되는지 추적한 경험이 없으니 인하우스 PO이나 PM, 서비스기획자로 커리어업하는게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고용시장도 너무 차갑구요 ㅠㅠ 하루에 2-3곳 겨우 올라오는 거 같아요 ㅎㅎ... 들어본 앱 운영하는 회사는 거의 서탈이고, 운 좋게 대기업 PO면접까지 갔는데 면접을 가니 제가 정말 ㅠㅠㅠ 연차대비 PO로서는 메리트가 너무 없는 거 같아 결과는 거의 반포기 하고있습니다. 인하우스 경력을 우선 쌓는게 먼저일 거 같아 욕심을 내려놓고 작은 규모의 회사에 지원을 했는데, 막상 합격이 되고나니 고민이 되네요... 기존 에이전시는 100명이상으로 어느정도 체계가 잡혀있었고 내부에 디자인 개발팀이 모두 존재했는데, 이직하려는 회사는 이제 막 서비스를 출시한 뒤 안정화 상태에 들어갔고 기획 팀원은 저 포함 단 2명입니다 ㅠㅠ 디자인과 개발 모두 외주고, 제가 체계를 잡아나가야 하는 상황이에요. 5년차라는 연차가 가장 이직을 신중히 해야되는 연차이기도 한 것 같아 더욱더 고민이 되네요...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ㅠㅠ
iiliiij
02.19
조회수
618
좋아요
22
댓글
13
경력 10년차 만 29세. 하지만 중구난방 경력을 곁들인
안녕하세요. 최근 취업문을 두드리고 있는데 생각보다 쉽지않아서 의견 듣고자 글 올려봅니다. 만 29세 여자고요, 사회생활을 일찍 시작해서 택배회사 행정부서 2년, 뷰티브랜드 온라인md 4년, 공간대여 1인 사업 창업 4년 했습니다. 사업하면서 틈틈히 회사 알바도 했고요. 직장다니면서 4년제 학사학위 취득했습니다. AI 산업에 대한 큰 관심과 PM으로의 직무 전환을 꿈꾸면서 AI기획자 부트캠프를 6개월 다니고 각종 프로젝트들에 기획자로 참여하며 포폴을 쌓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봐도 경력이 중구난방이라 이커머스, 사업기획쪽 IT 기획자 자리의 신입~경력3년차 정도의 공고에 지원해보고 있는데 영 쉽지가 않네요. 선배님들 보시기에는 어떤 것 같으신지.. 일단 지금 계획으로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참여해서 IT기획 전문성을 높여왔다 는 방향으로 가보려고 하는데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아 그걸 토대로 포폴을 다시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쟈쟈쟈
02.18
조회수
790
좋아요
24
댓글
15
창업 경험, 회사에서 경력으로 인정해주나요?
안녕하세요 길고 긴 창업의 세계 막을 내리고, 다시 조직으로 돌아가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할 땐 뼈를 갈아 했는데, 사실 남는 것은 그다지 없네요. 자체 매출로만 성장하겠다고 배짱부려 투자도 한푼 받아보질 못했네요. 지원사업 몇개와 자체 매출로 사업을 5년정도 운영했습니다. 이런 경력도 회사에서 쳐주나요? 어떤 회사들이 이런 걸 이쁘게(?) 봐줄까요? 어디 취업해서 일해본지가 벌써 8년이 넘어가 막막하긴 합니다.
유킹
02.17
조회수
634
좋아요
18
댓글
20
투표 경력직 제조업 PM은 몇살까지 뽑아줄까요?
이직을 줄기차게 준비하고있는 올해 만 40살 PM입니다. 분야는 자동차 제조업인데 이직이 쉽지가않습니다. 나이때문인것 같단 생각이 들어서 여기계신 형님들의 경험과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제가 현재있는 회사 PM부서에서는 막내입니다. ㅠㅠ
우리집히어로
02.16
조회수
408
좋아요
1
댓글
0
UXUI 디자이너 -> 기획자
로 전향하려면 신입으로 다시 들어가야할까요? 아니면 업무하면서 전환할 기회가 있을까요?
포카리스웨타
02.16
조회수
562
좋아요
4
댓글
3
투표 좋아하고 잘하는 일인데 돈 못버는 사양산업 vs 안좋아하고 못하는 일인데 돈 잘버는 유망산업
좋아하고 잘하는 일인데 돈 못버는 사양산업 vs 안좋아하고 못하는 일인데 돈 잘버는 유망산업 여러분들은 둘 중에 어떤걸 선택하실건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참고로, 저는 최근까지 교육업계에서 일했고 정말 좋아하고 잘하는 일이라 연봉이 적어도 만족했습니다. 그런데 희망퇴직을 하게 되고 업계 전망이 좋지 않아 다른 산업군으로 눈을 돌려 자격증 공부를 할까 생각하고 있는데요~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여러분이 선택한 것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댓글 부탁드립니다~~!
전문성
02.14
조회수
711
좋아요
37
댓글
30
AI시대에 개인 재무에서 어떻게 응용되는지?
실천적 PO로서 프로덕트 기획서를 공유하고 많은 교류를 바랍니다. Logit: AI 기반 개인 재무 관리 애플리케이션 기획서 1. 제품 개요 Logit은 AI 기술을 활용한 개인 재무 관리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사용자의 일상적인 금융 활동을 쉽게 기록하고 분석하며, 개인화된 재무 조언을 제공합니다. 2. 문제 정의 현재 시장의 재무 관리 앱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수동 입력에 의존하여 사용자 경험이 불편함 - 단순 기록에 그치며 실질적인 분석과 조언이 부족함 - 광고나 금융 상품 판매에 치중하여 사용자의 실제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함 3. 해결책: Logit의 핵심 기능 3.1 AI 기반 자동 기록 및 분류 - 음성 인식을 통한 지출 기록 - 영수증 사진 인식을 통한 자동 입력 - 머신러닝 기반 지출 카테고리 자동 분류 3.2 대화형 인터페이스 -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쿼리 시스템 - 예: "이번 달 식비는 얼마나 썼어?"와 같은 질문에 답변 3.3 개인화된 재무 분석 - 사용자의 소비 패턴 분석 - 예산 대비 실제 지출 비교 - 장기적인 재무 건강 지표 제공 3.4 AI 기반 재무 조언 - 개인의 소비 패턴과 재무 목표를 고려한 맞춤형 조언 - 절약 가능한 영역 식별 및 제안 - 장기 재무 계획 수립 지원 4. 기술 스택 - 프론트엔드: React Native (iOS/Android 크로스 플랫폼 지원) - 백엔드: Node.js, Python - 데이터베이스: MongoDB - AI/ML: TensorFlow, PyTorch - 클라우드 인프라: AWS 5. 사용자 시나리오 시나리오 1: 일상적인 지출 기록 사용자: "오늘 점심에 김밥천국에서 8,000원 썼어." Logit: "네, 기록했습니다. 오늘 점심 식비 8,000원을 '식비' 카테고리에 추가했습니다. 이번 주 점심 식비 총액은 37,000원입니다." 시나리오 2: 월간 재무 분석 사용자: "이번 달 재무 상황을 분석해줘." Logit: "이번 달 총 수입은 3,000,000원, 총 지출은 2,500,000원입니다. 주요 지출 카테고리는 주거비(40%), 식비(20%), 교통비(15%)입니다. 지난달에 비해 식비가 10% 증가했습니다. 외식을 줄이면 월 50,000원 정도 절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나리오 3: 재무 목표 설정 및 조언 사용자: "3개월 후 여행 가려고 하는데,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 Logit: "현재 저축 상황과 지출 패턴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월 300,000원씩 3개월간 저축하면 여행 자금 900,000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외식비를 20% 줄이고, 온라인 쇼핑을 30% 줄이는 것을 제안합니다. 또한, 여행 경비를 위한 별도의 저축 계좌를 만드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6. 차별화 전략 1. 광고 없는 순수 서비스 제공 2. 사용자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중시 3. 지속적인 AI 모델 개선을 통한 정확도 향상 4.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기능 개선 및 개인화 7. 향후 개발 로드맵 - 1단계 (3개월): 기본 지출 기록 및 분류 기능 개발 - 2단계 (3개월): 대화형 인터페이스 및 기본 분석 기능 추가 - 3단계 (6개월): AI 기반 재무 조언 시스템 구축 - 4단계 (지속): 머신러닝 모델 개선 및 새로운 금융 데이터 소스 통합 8. 성과 지표 (KPI) - 일간 활성 사용자 수 (DAU) - 사용자 유지율 (1개월, 3개월, 6개월) - 자동 분류 정확도 - 사용자 만족도 (NPS) - 재무 목표 달성률 9. 결론 Logit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재무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자 합니다. 단순한 기록을 넘어 실질적인 재무 개선을 도모하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꾀합니다.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사용자 피드백 반영을 통해 더욱 스마트하고 유용한 재무 관리 도구로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Logit #AI가계부 #스마트재테크 #광고없는재무관리 #기술혁신
Aaron Kim | LIAOZI CHINA
02.13
조회수
265
좋아요
3
댓글
2
AI E2E 자소설 형성 앱: LogLife
님이 생각은? 삶의 모든 순간을 기록하고 영원한 기억을 남기세요 빠르게 변하는 정보 시대에서 우리의 삶은 풍부한 순간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 중 일부는 따뜻하고 소중하며, 또 다른 일부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이들을 기념하거나 자신의 삶을 기록하는 것, LogLife는 여러분이 이 소중한 기억을 단편적인 사진과 영상으로만 남기지 않고, 단편 비디오, 글, 오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영원히 저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고인이 된 사랑하는 이들의 따뜻한 기억을 기록하다 모든 사람의 삶은 독특하며, 우리는 가족과 친지와의 추억을 결코 잊을 수 없습니다. LogLife는 고인이 된 이들의 삶을 디지털화하여 추억의 보물창고로 변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단순히 사진과 영상뿐만 아니라, AI가 시간축, 인물 특성, 장면, 감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따뜻한 이야기로 풀어내는 방식입니다. 그들의 웃는 얼굴, 기억에 남을 순간들을 LogLife와 함께 영원히 보존할 수 있습니다. 살아있는 사람들의 전통을 남기다 인생은 짧지만, 우리의 이야기는 반드시 기억될 가치가 있습니다. LogLife는 여러분이 자신의 삶의 전반을 기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제품은 단순한 자서전이 아니라, 여러분의 삶의 궤적을 동영상, 책, 드라마 등 다양한 형식으로 기록하게 합니다. 이 기록은 단순히 지나간 이야기가 아닌, 시간 속에서 영원히 남는 흔적입니다. AI 기반: 스마트 분석으로 더 깊이 있는 기억을 담다 LogLife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뒤에 숨은 강력한 AI 기술입니다. AI는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닙니다. 사진과 영상 속 인물, 표정, 장면, 시간 등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개인의 시간축과 삶의 궤적을 생성하고,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감성적인 이야기까지 창조합니다. 각 사진 뒤에는 이야기가 있으며, 각 영상은 단순히 기억의 그릇이 아닌 감성적인 서사로 풀어낼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식으로, 영원히 보존되다 LogLife는 텍스트, 단편 비디오, 기사, 책 등 다양한 형식으로 개인의 추억을 기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신만의 자서전을 만들거나, 고인된 이들의 기념 영상을 제작하거나, 가족에게 후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귀중한 자산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LogLife는 그 모든 과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세상과 함께 여러분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삶의 궤적, 영원히 새기다 LogLife는 단순한 기록 도구가 아닙니다. 그것은 각자가 가진 삶의 가치와 순간을 영원히 남기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LogLife를 통해 우리는 한정된 시간 속에서 끝없는 가치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고인이 된 친지, 살아있는 자신, 모두 이 제품을 통해 자신의 삶을 오래도록 남길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LogLife를 통해 삶의 모든 순간을 기록하고, 추억을 영원히 보존하세요. 사랑과 이야기는 영원히 살아갑니다. #LogLife #인생이야기 #기억영원히 #자서전식기록 #시간축 #스마트분석 #고인기념 #감성서사 #디지털기억 #영상과글결합 #생활기록 #시간축이야기 #소중한기억 #가족전승 #AI기억 #삶의흔적 #개인전기 #AI생성이야기 #영원한기억 #삶의조각
Aaron Kim | LIAOZI CHINA
02.13
조회수
50
좋아요
1
댓글
0
임상 CRO 개인이 혈액검사 체크
건강기능식품 먹고 바이오마커 어떻게 변하는지 갠적으로 피뽑으면서 추적관리 해보고싶은데 개인이 하긴 어려울까요? 정식 기업의 임상요청은아니고 개인적인 데이터 정리차원이에요! 아시는분이나 병원 추천좀 부탁드려요!
돈벌고이바닥뜬다
02.13
조회수
183
좋아요
2
댓글
1
왜 전화하는게 무서울까요....
예전에는 메일보다는 전화를 선호했는데 몇번 트라우마 생길 전화를 받다보니... 전화할 때마다 한숨 한 3번은 쉬고서 전화하는데ㅠㅠ 그렇다고 메일을 보내면 답장들도 안해주고.... 물론 제 뜻대로 되는건 없겠죠...
또금사빠
쌍 따봉
02.07
조회수
1,514
좋아요
59
댓글
34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