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앱을 설치하고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을 받아보세요
오늘 가장 인기있는 회사생활 소식을 받아보는 방법!
글쓰기
최신글
매출을 늘리는 공식
1. 사업가들이 겪는 어려움의 기본 메뉴는 늘 매출이다. 매출을 어떻게 더 늘릴 것인가? 영원히 끝나지 않는 숙제인 듯 하다. 하지만, 해답은 늘 가까이 있다. 아직 내가 찾지 못했을 뿐. 손을 뻗어 챙기면 길은 보이게 되어있다.   2. 매출을 올리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대부분의 변수를 공식으로 한 번 정리해 보았다. 공식을 활용한 접근법이 좀 딱딱하긴 하지만, 가능한 변수들을 다 다루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낼 때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일반적으로 매출은 퍼널(깔때기) 매출과 단골매출로 구성되어 있다. A. 매출 = 퍼널매출(신규) + 단골매출(재구매) 4. 엔진 모델을 사용하든 깔때기 모델을 사용하든 상관없이 모든 비즈니스에는 반복 구매하는 사람이 숨어있다. 단지 판매자가 인식을 못할 뿐이다. 따라서 매출은 신규 매출과 재구매 매출로 구성되어 있다. 계산하기 편하게 재구매 매출을 단순히 단골매출로 표현해서 계산한다. 5. 퍼널매출(신규)을 올리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B. 퍼널매출 = 신규고객수 * 객단가 6. 퍼널매출(신규 매출)을 올리려면, 신규고객 수를 늘리거나 객단가를 늘리면 된다. 그 각각을 올리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신규고객수 증가 : 노출 및 클릭율 증가로 노출 유입 증가, 비노출 유입 증가, 구매전환율 증가 2) 객단가 증가 : 상품 가격 인상, 구매 취소율 감소 7. 신규고객수를 늘리는 방법은 크게 보면 노출 유입과 비노출 유입이 있으며, 노출 유입은 유료노출과 무료노출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방법을 좀더 살펴보겠다. 1) 유료노출 유입 : 돈을 지불하고 노출함 (광고 등)  - 검색 광고 (네이버, 구글 등) : 기존 상품 (의도를 가지고 검색) 고객이 알고 찾는 아이템 - 디스플레이 광고 (인스타그램, 페북 등) : 신규 아이템, 굳이 찾지는 않지만 눈에 띄면 구매하는 아이템 - 인플루언서 노출 - 체험단 노출 2) 무료노출 유입 : 플랫폼에 시간(노동)을 지불하고 노출함 : 콘텐츠나 정보 활용 - 내 시간 사용 : 콘텐츠를 제공하면 플랫폼에서 노출 시켜줌 (인스타, 유튜브, 블로그, 페북, 틱톡 등) - 내 정보 사용 (SEO) : 사이트 정보를 제공하면 플랫폼에서 노출 시켜줌 (네이버, 구글 등 검색엔진) - 단골 시간 사용 : 단골풀 확산 노출 증가 - 공유로 인한 오가닉 유입 증가 (확산장치, 자랑꺼리 제공) 3) 비노출 유입 - 유료나 무료 노출을 보았지만 바로 클릭하지 않은 잠재고객들이 시간이 지난 후 기억하고 유입 - 단골고객, 잠재고객의소개(바이럴)로 인한 유입 8. 단골매출을 올리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C. 단골매출 = 단골고객 수 x 단골 평균 객단가 9. 단골매출을 올리려면, 단골고객 수를 늘리거나, 평균 객단가를 늘리면 된다. 각각을 올리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단골고객 수 올리는 방법 : 단골전환고객 증가(재구매 고객 증가), 이탈고객 감소 2) 평균 객단가 올리는 방법 : 단골고객의 구매 활성율 증가, 단골상품 단가 인상, 구매 아이템 증가 등 10. 단골고객 수는 대부분 퍼널매출에 연관되어 있으므로, 단골파트에서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은 이탈고객을 줄이거나, 객단가를 인상하거나, 구매 아이템을 늘리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탈고객을 줄이려면, 단골 활성율을 올려야 하는데, 활성율은 단골풀 방문율을 올리거나 구매율과 연관되어 있다. 11. 이렇게 기본 공식과 각 변수를 해결하는 접근법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설명보다는 체크사항 위주로 정리했으니, 위의 사항들 중에서 간과하고 챙기지 않았던 부분이 있는지 한 번 살펴보고, 내가 조정이 가능한 부분이 있을 경우, 한 번 시도해 보면 매출 상승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이상훈(이봉)
금 따봉
 | 클론컨설팅
04.13
조회수
2,234
좋아요
50
댓글
7
회사 평가 및 대책방안 같이 고민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중소기업 다니는 1년차 신입사원입니다. 연봉은 3600만원 정도 되구요.. 다만, 상사가 개인 업무까지 시킵니다. 아침마다 2L 보온통에 뜨거운물을 떠다가 책상위에 올려놔야 하구요. 카드를 주면서 자기가 먹는 커피를 마트가서 사오라고 하거나. 수리가 끝난 차를 찾아오라거나. 다른 회사 업무를 시키려고 하고, 주말에도 연락을 해 스트레스를 줍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건 연봉을 13개월로 나눈다는 것 입니다. 회사가 너무 싫어 이직하려고 준비 중이구요. 나오면서 법에 위반되는 것들은 신고를 하려고 합니다. 관련하여 지식이나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부엥
04.11
조회수
798
좋아요
0
댓글
5
AI chatGPT 시대가 다가올수록
chatGPT가 점점 업무할때도 참고하는것 같습니다. 광고 표지만드는것도 AI를 활용한다고 하는데 기획팀은 AI에 완전 대체는 힘든 직무겠죠? 가끔 약국가면 약사야 말로 AI로 대체되기 쉬운 직업이라 생각됩니다. 전문직은 절대 AI 시대가 되도 문제없을까요?
Sman
04.11
조회수
1,213
좋아요
4
댓글
10
전략기획팀에서는 신입은 무엇을 하는곳인가요?
안녕하세요 전략기획팀에서 신입사원이 첫발을 딛기 좋은 업무나 내용이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므릉
04.09
조회수
1,609
좋아요
4
댓글
18
경력직 입사후 타사 합격시
곧 입사 예정인데 기다리던 곳 면접이 입사 며칠 전으로 잡혔습니다. 혹시나 경력직 입사 후 타사 합격으로 그만둘 경우 문제가 될런지요ㅜㅜ
서울2
04.07
조회수
2,488
좋아요
1
댓글
15
인플루언서와 협착 계약서 공유 해주실 수 있우신분들 부탁드려요ㅠㅠ
저희 헬스장이 이번에 인스타 인플루언서/블로그 인플루언서 와 협찬 계약을 하게 되었는데 혹시 이와 관련하여 계약서 양식 좀 공유해 주실 수 있는 분 있으실까요!!!!??! 메일로 부탁 드려요,,🥹
보릿
04.07
조회수
781
좋아요
1
댓글
1
자율주행
자율주행 코앞까지 왔네요 https://youtu.be/svA86edncO4
경영컨설턴트
04.03
조회수
934
좋아요
1
댓글
7
이른 나이에 C레벨 임원?
지금 회사에서는 조직장 (팀원 5-6명) 으로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름 업계 1위 이고 최근 투자도 마무리됨) 외국계에서 이곳으로 옮긴지도 약 2년 되어가고 있구요. 적응도 되었고 여기서 배운점도 많았습니다. 만약 비슷한 동종업계 회사에서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 저를 스카웃 하려 하는데 C레벨 타이틀을 준다고 하면 여러분은 가시겠습니까? (물론 감사한 일이죠) 나이는 85년생 - 88년생 사이. 경력은 10년 이상입니다. 이른 나이에 임원? c레벨 이게 과연 좋은 것일지 고민이 되네요. 그리고 기존 조직 구성원들과의 협업 시너지도 괜찮을지도 우려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꿈을그리다
1억 인증
04.03
조회수
2,996
좋아요
14
댓글
27
벚꽃 그늘 아래
벚꽃 그늘 아래 잠시 앉아보렴 입던 옷 신발 벗어놓고 누구의 아비, 누구의 남편도 벗어놓고 햇살처럼 쨍쨍한 몸으로 앉아보렴 직업도 이름도 벗어놓고 본적도 주소도 벗어놓고 구름처럼 하이얗게 앉아보렴 무겁고 불편한 오늘과 저당잡힌 내일이 새의 날개처럼 가벼워짐을 벚꽃 그늘로 오렴 벚꽃 스친 바람이 노래가 된 곳으로 영상: https://youtu.be/B2TjVEt5j-4 #벚꽃그늘아래앉아보렴 #이기철
해바라기2
04.02
조회수
1,070
좋아요
9
댓글
4
연봉협상시 희망연봉 금액을 어떻게 제시해야할지 도와주세요..! (사업기획 5년차)
안녕하세요 첫 이직을 준비하고 있는데 현재 대기업 사업기획팀에서 근무중인 5년차입니다. 대기업 동일직무로 오퍼가 왔는데 희망연봉 작성시 통상 희망연봉을 현재연봉의 20프로로 작성한다고들 하는데 30프로까지 부르고 협상하는 경우도 있다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채용컨설턴트가 직무제안하여 제안 받은 자리입니다
아라래
03.31
조회수
2,478
좋아요
11
댓글
10
미디어랩사 영업사원 수수료
미디어랩사 영업사원의 경우 수수료를 어느정도 받나요?
코자이
03.30
조회수
711
좋아요
0
댓글
1
안녕하세요 작년근로소득 8000만원 대출 얼마나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작년 소득 8000만원이면 5월1일이후 얼마나 대출이 나올까요? 부동산때문에 신용 대출을 좀 받아야하는데 얼마가 나올지 가늠이 안되네요 기대출은 전월세대출 4500만원 있습니다!
오웬o
03.26
조회수
4,020
좋아요
1
댓글
4
신규사업을 할때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IDEO의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 소개
기업의 신규사업 조직(SKT)에 있을때 많이 활용했던 "Ideation 및 Design Thinking" 기법입니다. "HCI(Human Centered Innovation)"나 "Ethnographic Research"도 비슷한 방식의 툴킷입니다. 내용이 많으니 전체 내용은 첨부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ps. 개별 기업이나 개인분들 중 이 기법의 적용 디테일에 관심있는 분은 연락주셔도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이디오(IDEO)의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 '창업자 데이비드 켈리David Kelly CEO' 사용자경험(UI)을 바꾸고 문제를 해결하며 조직을 혁신하는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에 집중한다. IDEO에서는 사원들로부터 최고의 역량을 이끌어 내기 위해 ‘5단계 사고법’을 활용한다. 첫째, 고객에 대한 관찰이다. 이를 통해 무엇이 문제인지를 찾고 고객이 진정 원하는 게 무엇인지를 통찰한다. 둘째, 팀 브레인 스토밍이다. 한 시간 내에 최소 100개 이상의 아이디어를 전투적으로 제시한다. 이때는 지켜야 할 몇 가지 규칙이 있다. ‘판단을 유보하라’ ‘한 번에 한 가지만 생각하라’ ‘포스트잇에 생각나는 것을 적어라’ 셋째, 프로토타이프 만들기다. 이때는 3R 원칙을 지킬 것을 강조한다. 대략적으로(Rough), 빠르게(Rapid), 톡 찍어서(Right) 당장 행동하라는 것이다. 넷째, 소비자들의 세심한 의견을 반영해 미세한 조정을 통해 최적의 해결책을 찾는 것이다. 다섯번째, 실행이다. 제품 생산과 관련한 모든 전문가를 동원해 완성품을 내놓는다. 디자이너는 통찰력과 아이디어를 머릿속에서만 구해서는 안 되고, 실제로 밖으로 나가 세상에서 구한다. 사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관찰해야 한다. 사람들이 말하는 것만으로는 잘 이해할 수 없다. 그들의 세계를 관찰하고 경험해야 한다. 다음 단계는 이 관찰을 토대로 어떤 전략적인 기회가 있을 수 있는지 도출하는 것이다. 가능성을 비주얼화하는 능력이다. 아이디에이션(ideation) 단계로,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신속하게 탐색한다. 이 단계에선 팀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팀원들이 한데 모여야 한다. 사회과학·디자인·경영·기술 등 서로 다른 분야가 섞여야 한다.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는 단순히 제품을 보다 매력적이고, 사용하기 쉬우며, 팔리기 쉽게 만드는 협의의 디자인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접근 방식으로서 광의의 디자인을 말한다. 디자인적 사고는 기업 경영은 물론 지구 온난화나 교육, 헬스케어, 보안 등 모든 문제에 적용될 수 있다. 디자인적 사고가 필요한 이유는 문제를 다른 방법으로 풀어가기 때문이다. 비즈니스에서 결정을 내릴 때 통상적인 방법은 기존에 있는 옵션 가운데 최선을 선택하는 식이다. 기존 옵션들을 분석해서 '이것이 최선이야, 이것이 우리가 실행해야 하는 것이야' 하는 식으로 고른다. 이 방법의 문제는 다른 사람들도 나와 같은 해결책을 들여다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해서는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 영리한 회사는 다른 회사가 가져보지 못한 새로운 해결책을 창조한다. 이것이 바로 디자인을 하는 것이다. 디자인은 수렴하는 것이 아니라 확산(divergent)되는 것이다.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디자인적 사고는 확산을 통해 혁신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경쟁자들이 갖지 못한 경쟁력을 갖게 한다. '아이디오의 디자인 컨설팅 다섯 단계' 관찰 → 브레인스토밍 → 프로토타입 → 정선 → 실행 (단계별 세부적인 방법은 이하 링크 글 참조) (자료출처: joongang.com chosun.com) https://lnkd.in/gj5veDCG
이인하
03.25
조회수
165
좋아요
2
댓글
0
업종 차이와 기업 차이
1. 최근 10년 간 소위 Big Tech 기업들의 경영기법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하는 현상이 퍼져 왔다. ICT 프로젝트 개발과 서비스 운영이 핵심인 이들 업종의 경영기법은 업종에 따라 회사에 따라 잘 맞는 경우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필요 이상으로 복잡한 프로젝트 관리 기반의 일하는 방식이 단순명료한 방식까지 특별한 이유 없이 대체하여 비효율을 초래하기도 한다. 2. 우리는 어떤 회사가 돈 잘 벌고 잘 나가면 그 회사의 모든 프랙티스를 업종에 관계 없이 베스트 프랙티스라고 말하고 그 회사가 어려워지면 바로 그 프랙티스 때문에 잘못 되었다고 말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된다. 한때 GE 방식, Toyota 방식 등을 업종에 관계 없이 벤치마킹하고 도입하다가 대부분 정착에 실패했던 식의 경영 유행이 잊을 만하면 반복되는 느낌이다. Big Tech 기업의 업무방식은 프로젝트 기반, 태스크 기반, 사업단위 손익 기반으로 요약된다. 3. 하지만 많은 제조업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후 공정으로 연결되어 움직인다. 예를 들어, 철강이나 반도체는 일관 프로세스에 가깝다. 조립형 제조업종도 제품단위로 긴밀히 연결된 공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고객가치 창출 방식도 확연히 다르고 일하는 방식도 역할책임 설정, 손익 측정방식도 크게 다르다. 4. GE의 6시그마는 원래 제조부문에 주로 적용된 것임에도 비제조 부분까지 일률적으로 도입되어 어려움이 있었다. GE의 7가지 경영혁신 프랙티스는 전형적인 제조업에 최적화된 것임에도 ICT 기업들까지 너도 나도 모방하다가 어느덧 GE 방식을 얘기하는 않는다. 5. 제조업들은 GE 방식에서 많은 인사이트와 효익을 얻은 것과 대조적이다. 토요타 방식은 우리나라 10대 그룹이 너도 나도 전 계열사에 확대적용을 시도하다가 몇 년 만에 조립업종에 적합한 것임을 깨닫고 철회를 하였다. 물론 조립업종에서는 효과적으로 활용한 기업들이 많다. 6. 어떤 특정 프랙티스를 굳이 언급하지는 않겠다. 언제나 변치 않는 지혜의 경영 정설들을 잊지 말아야겠다. 예를 들면 이런 진실들이다. '기본에 충실하자', '원리를 알고 실천하자', '업의 특성에 맞게 일하자', '사례는 맥락 속에서 이해하자', '벤치마킹은 동일 업종 간에 유효하다', '산업간 차이도 유의하지만 산업내 기업간 차이가 더욱 유의하게 크다(회사 하나 하나를 제대로 보아야 한다는 의미)'. '이업종 간에는 영감은 얻을 수 있지만 비교 데이터는 얻을 수 없다.' '성과에 대한 요인을 파악하는 통계분석을 제대로 하려면 산업 변수부터 통제를 해야 한다'. '모든 사례는 경로의존성을 갖기 때문에 그 사례 기업에서 고유한 실효적 의미를 지닌다.' 등등... 7. 또다른 GE Way, Toyota Way, Six Sigma 지상주의, TPS 지상주의와 같은 Big Tech 프랙티스 대유행이 다소 무비판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에도 별다른 문제 의식 없이 맹신하는 듯한 현상이 안타깝게 느껴진다. 8. 기업의 임원과 관리자께서는 CEO에게 보고할 때 새로운 타이틀의 뭔가를 도입했다는 것을 업적으로 삼으려는 유혹에서 초연할 필요가 있다. CEO께서는 새로운 프랙티스 도입은 새로운 비용을 안고 오는 것이므로 그 비용 이상의 효과가 기대되는지를 꼭 따져 보아야 한다. 고객이 원하고 고객에게 필요한 것인지를 생각해보면 더 분명해진다. 일단 결정해서 도입하면 확실한 효과를.볼 때까지 우리 회사에 특화된 수준으로 심도 있게 정착시키고 활용해야 한다. 9. 특정 이름의 프랙티스 도입은 그 자체만으로 결코 성과가 아니다 기존에 있건 새롭게 도입하건 어떤 프랙티스 자체가 아니라 어떤 고객가치와 실제 성과물을 내었는지로 어필해야 한다. 10. 일류 기업이란 크기에 관계 없이 이런 실질에 집중하는 기업이다. 스타트업이라고 해도 이런 의식으로 일을 한다면 일면, 일류 기업의 DNA를 향해 가고 있다고 본다. 우리 회사의 몸에 맞는 좋은 옷을 사서 입고 빌려 입고 만들어 입자. 하지만 힙합을 좋아하지도 맞지도 않으면서 힙합 패션만 억지로 입지는 말자. . #기본에충실 #원리에충실 #조금만생각해보면아는진실
김현주 | 성과와역량연구소
03.24
조회수
948
좋아요
10
댓글
2
안녕하세요 ~
반갑습니다
새싹이룰루
03.23
조회수
61
좋아요
1
댓글
0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Drama & Company All rights reserved.